이방인
까뮈
1942년 발표
삶의 부조리란 개인의 욕구와 사회의 현실의 불일치에서 오는 것이며, 이 부조리를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참된 인간의 기본조건이라고 카뮈는 역설하고 있다. 뫼르소는 여러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고, 어머니의 죽음이나 애인과의 사랑에서도 별다른 의식을 못하고, 죽기 직전에서야 의식이 깨어나고 행복을 느낀다는 것이 이 작품의 아이러니이자, 백미, 그리고 비극적인 면모다. 마지막 장면을 통해, 뫼르소는 인간의 기본적 깨달음을 성취한다.
줄거리는
평범한 직장인으로 살던 프랑스인 뫼르소는 양로원에 보낸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 장례식장을 가게 된다. 남자는 슬픔 같은 별다른 감정의 변화를 드러내지 않는다.[2] 장례 때 어머니의 시신 주변에서 담배를 피우고 장례를 치른다. 다음 날 마리와 이야기하며 희극 영화를 보며 시간을 보냈다.
소설은 1부의 이야기와 2부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1부는 뮈르소가 자기의 감정을 숨기지 않는다.(어머니의 장례식). 자연과, 인간의 감정에는 가식이 없다.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부조리가 없다.
2부는 해안에서 아랍인을 살해하고(우리의 의식구조로는 죽일 이유(문화적인 입장에서 판단컨데) 가 없다.), 법정에서 재판을 받는다. 재판받는 법정은 사회질서, 도덕, 법이 지배하는 인위적인 공간이다. 부조리로 가득찬 공간이다. 자연이 아닌 정신세계의 상징이다.
뮈르소는 인간세상에서 살면서 부조리를 느낀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부조리를 느끼지 못하면서 살고 있다. 뮈르소처럼 반항하는 것은 자신의 현존을 끊임없이 나타내는 것이다. 까뮈는 반항에 삶의 가치를 부여했다.
소설 이방인은 ‘어머니의 장례에서 보여준 그의 태도’가 핵심이다. 이때 그가 보여준 태도는, 뫼르소는 세상 일에 별 관심도 없다. 어머니의 죽음마저도 대수롭잖게 여긴다. 이러한 뫼르소의 무감수성은 현대인의 모습을 잘 반영한 실존주의 문학의 면모라고 볼 수 있다.
첫댓글 참 오래 전에 읽었던 까뮈의 이방인을 접합니다...
옛 기억을 새록새록 뜨오르게 해주셨서 감사합니다...
책은 읽을 수록 좋은 데 이젠 시력마저 흐리니 그 행복도 떠나는 것만 같습니다... 휴... ^^*...
까믜를 높이 평가하게 되는 것은
인류의 앞날에 대한 예지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생명을 가볍게 여기는 주인공처럼
훗날
공동체의 규율을 따르지 않고
무감수성 인간이 되어
이유없이
살인을 저지르는 이들이 많아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