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고려 가요 개념, 특징, 의의, 주요작품 정리
에몽 ・ 2024. 6. 16. 15:46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전문학 중 고려 가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려 가요는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가사리, 청산별곡 등이 바로 고려 가요입니다.
우리 역사에서 잘 알려져 있으면서 엄청 중요한 문학 장르죠.
그럼 고려 가요의 개념, 특징, 의의 ,주요작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 가요의 개념
고려 가요란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성격이 강한 서정가요를 말합니다.
이후 고려 말에 궁중의 속악 가사로 수용되었다가 조선 시대에 훈민정음 창제 이후 성종 대에 기록되어 문자로 정착되었습니다.
고려 가요의 특징
① 형식 : 일반적으로 3음보의 분연체 형식 / 다양한 율조가 있지만 주로 3·3·2조의 율조 / 후렴구, 조흥구, 감탄사 등이 발달
※ 분연체 : 여러 절 또는 연(聯)으로 나누어져 있는 형식의 시
② 작가 : 대부분 작가 미상의 작품, 일반적으로 문자를 모르는 평민 계층에서 창작 및 향유
③ 기록 : 평민 계층에서 구전되어 오다가 고려 말에 궁중의 속악 가사로 수용, 훈민정음 창제 이후 성종 대에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에 기록되어 문자로 정착
④ 내용 : 평민들의 진솔한 일상 생활 감정이 주된 내용 / 남녀 간의 사랑, 이별의 정한, 자연 예찬 등
⑤ 수록 : 「악학궤범」에 4편, 「악장가사」에 8편, 「시용향악보」에 2편 수록
고려 가요의 의의
①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리듬의 결을 자연스럽게 잘 살린 점
② 당시 고려 평민들의 삶과 진솔한 생활 감정들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
③ 다양한 율조와 리듬, 후렴구 등을 통해 문학적 기교를 드러냈다는 점
고려 가요의 주요 작품
가시리
내용 : 임과 이별하는 슬픔이 잘 드러난 노래, 이별의 정한을 잘 표현함
형식 : 전4절,1절은 2행, 3·3·2기조, 후렴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악학편고」
동동
내용 : 일 년 열두달, 월별에 따른 자연의 변화와 풍습에 맞춰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함, 월령체 노래의 효시
형식 : 서사(序詞) 포함, 전13절, 월령체
출전 : 「악학궤범」
만전춘별사 (만전춘)
내용 : 남녀 간의 사랑을 노골적으로 적나라하게 표현한 노래, 남녀상열지사
형식 : 전5절, 시조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의 시가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사모곡
내용 : 부모의 사랑을 호미와 낫에 비유하여 어머니의 사랑이 큼을 노래한 작품
형식 : 6구체 단련, 고려 속요 중 가장 짧음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상저가
내용 : 방아를 찧으며 부른 노동요, 부모에 대한 효심을 표현한 노래
형식 : 비분절체(비연시)
출전 : 「시용향악보」
쌍화점
내용 : 남녀 관계의 음탕한 내용, 고려 후기의 퇴폐적이고 노골적인 성 윤리가 직설적으로 드러난 남녀상열지사
형식 : 전4절, 반복적인 내용이 많음
출전 : 「악장가사」, 「대악후보」, 「악학편고」
서경별곡
내용 : 대동강을 배경으로 한 남녀 간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
형식 : 전14절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대악후보」
이상곡
내용 : 인간의 유한성을 전제로 한 남녀 간의 애정을 적나라하게 노래한 남녀상열지사
형식 : 10구체, 향가의 변형
출전 : 「악장가사」
정과정곡
작가 : 정서
내용 : 산접동새에 빗대어 임금을 그리워한 노래, 조선시대에 궁정음악으로 불림
형식 : 10구체, 향가의 변형
출전 : 「악학궤범」
정석가
내용 :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여 임과 이별하지 않겠다는 의지와 영원한 사랑을 표현한 노래 / 태평성대도 노래함
형식 : 전6연11절, 3·3·4조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처용가
내용 : 향가 <처용가>에서 발전된 무가, 역신을 몰아내는 축사의 노래, 희곡적 요소가 특징
형식 : 희곡적 구성
출전 : 「악학궤범」, 「악장가사」
청산별곡
내용 : 고려 후기 유랑민의 고달픈 삶과 고뇌 등을 표현한 노래, 현실 도피적 성격과 인생무상, 낙천적인 성격이 특징
형식 : 전8절, 1절이 4구, 연속음조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유구곡
내용 : 비둘기와 뻐꾸기를 비교하여 신하들의 바른 소리를 촉구한 작품
형식 : 비분절체(비연시), 7행
출전 : 「시용향악보」
[출처] [고전문학] 고려 가요 개념, 특징, 의의, 주요작품 정리|작성자 에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