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당굿
: 걸립패들이 집안 마당에서 벌이는 조그만 판굿.
마당밟이(답정굿·지신밟기)
: 정초에 농악대들이 집집마다 돌며 치는 농악. 농악을 치며 집안 구석구석을 누비면
'터를 누른다'하여 지신을 진정시키고 잡귀가 물러가며 가신의 축복을 받는다고 한다.
마당밟이와 걸립굿은 같은 것이나 걸립은 목적으로 하는 고사굿을 따로 걸립굿이라 부른다.
마을문굿
: 들당산굿에 딸린 문굿. 그 마을에서 걸립패의 솜씨를 가늠해 보고자 할 때,
동구 밖에서 걸립패들이 벌이는 판굿의 일종. 마을의 허락을 받고 들어가는 적차가 따른다.
매구
: 섣달 그믐날 잡귀를 쫓는 굿. 이러한 굿은 주로 호남지방 농악에서 볼 수 있다.
머리장단
: 상쇠가 장단을 넘길 때, 새로 장단을 주는 것을 말한다.
멍석말이(방울진·고동진·도래진)
: 잽이들이 1열횡대로 서서 나선형으로 행진하는 것으로 원(圓)을 말았다 푸는 것을 말한다. 일종의 진풀이이다.
메나리토리
: 경상도, 강원도, 함경도, 충청도 동부지방 민요와 경상도 동북부, 강원도 동부, 함경도 지방 무가(巫歌)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선율 형태. 일명 메나리조. 선율의 구성음은 미, 솔, 라, 도, 레이고,
주요음은 미, 라, 도이며 미 또는 라로 마친다.
경상도에서는 통속민요와 무가의 선율은 물론이고 민속기악곡, 토속민요, 곡소리, 장사꾼 외치는 소리 등에
메니리토리가 두루 쓰인다. 민속기악곡에 메나리토리 허튼가락으로 연주할 경우에는 니나니가락 이라고도 한다.
민요 가운데 쾌지나칭칭, 옹헤야, 강원도아리랑, 정선아리랑, 한오백년, 신고산타령, 궁초댕기, 영동, 영남
풍물의 호적가락, 경상도, 강원도, 충청도의 고사소리, 범패 등에도 메나리토리가 널리 쓰인다.
면돌이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운 다음 부포를 쓰러지지 않게 가누며 얼굴을 돌려 부포도 함께 돌게 하는 재주.
모가비
: 농악대의 총무. 주로 경남지방에서 쓰이는 말이다.
무동놀이
: 판굿에서 무돌들이 춤추는 놀이. 경기·전라도에서는 어린 소년에 성인의 어깨 위에서 춤을 추고,
강원도 영동지방에서는 땅 위에서 춤을 춘다.
경기도 남서당패들은 '사미'라 하여 승복을 입은 소년들이 사미놀이를 하기도 한다.
무동춤
: 어른무동과 어린이무동들이 추는 춤을 말한다.
문굿
: 입동(入洞)할 때나 집돌이 때 문간에서 치는 굿.
미지기(밀치기)
: 잡이들이 몇 쌍씩 마주서서, 한편이 나서면 다른 편이 물러서고 한편이 물러서면 다른 편이 나서는 놀이
밑놀음
: 상체운동(下體運動), 즉 고갯짓을 하지 않는 춤.
------------------------------------------------------------------------------------------------------
반멕이
: 고사(告祀)소리의 하나. 낭걸립패들이 마을에 들어가 그 마을의 노인들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서 부르는 노래이다.
독창과 합창의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일정한 장단은 없으나 ┠┤┠┤의 리듬이 기본단위이며,
미, 솔, 라, 도, 레, 미의 5음계로 구성된다.
발림
: ①판소리 연주에서 창자(唱者)가 소리의 가락이나 사설의 극적인 내용에 따라서 손, 발, 온몸을 움직여
소리나 이야기의 감정을 표현하는 몸짓. 일명 과(科), 너름새, 사페라고도 한다. 요즈음 판소리계에서
사체라고 흔히 불리는 발림이라는 명칭은 조선말기 고종(1864∼1907)때만 하여도 너르매라는 말로 쓰였고,
구한말이나 일제 때부터 쓰인 듯하다. 신재효(1812∼1884)의 '광대가(廣大歌)'에 의하면 근래 발림의 뜻으로 쓰인
너름새가 인물, 사설, 득음과 함께 소리광대의 네 가지 필수요건 중 하나로 지적되었다.
'광대가'의 일부를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너름꿡라 하느거시, 귀셩끼고 ꏳ시 잇고, 경각(頃刻)의 쳔티만상(千티萬象),
위션위기(爲仙爲奇), 쳔변만화(千變萬化), 좌상(座上)의 풍류호걸(風流豪傑), 귀경하는 노쇼남녀(老小男女),
울게 하고 웃게 하는, 이 귀셩이 이 ꏳ시가, 엇지 아니 어려우며(이하 생략)"
②전통 미속 놀이의 춤연주에 나타난 특정한 춤사위를 뜻한는 말. 농악무 중 장구놀이에서 장구 연주자가
한 장단을 치고 춤추는 동작을 할 때 그 춤사위를 가리키기도 하고, 송파산대놀이에서 전복자락을 양손으로 쥐고
활개를 폈다 내렸다. 하는 춤사위를 가리키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경기 서도 지방의 산타려을 부를 때 소고(小鼓)를 치며 추는 춤을 일컫기도 한다.
방구
: 모내기를 할 때의 소고놀이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못방구 또는 못방고라도 한다.
배밀어기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운 다음 고개짓과 발짓으로 부포 끝을 밀어내 부포가 퍼지게 하는 재주.
버슴새
: 버슴새는 남사당패에서 사용하는 말이다. 치배들이 아기를 연주하다가 극도에 오르게 되면,
망아의 경지에서 갖는 치배의 본질적 모습이다. 그래서 선인(善仁)의 모습을 하기도 하고,
악인(惡人)의 모습을 하기도 한다. 예술의 경지를 드러내는 용어이다.
법고
: 소고 또는 매구북이라 하는데, 농악에서 법고라 함은 절걸립 때 나온 말이다.
법고놀이(소고놀이)
: 판굿에서 법고잡이들이 나와서 소고를 치며 춤을 추고 여러 채상모놀이와 연풍대,
허궁잡이를 하는 놀이. 법고잡이가 고깔을 쓰고 상모 놀음은 없고 춤사위로 판을 짠다.
변
: 농악인들 사이에서 쓰이는 암호말.
별달거리
: 12차에서 사용하는 가락으로 달리 영산다드래기, 자브랑갱이라고 부르며, 12/8박자로 빠른 박자이다.
복색(服色)
: 농악꾼의 옷.
복판치기(해바라기)
: 산치기로 부포를 세웠다가 고개짓으로 부포의 복판(중등)을 꺾는 재주.
부들상모
: 상모의 물체를 부드럽게 하여 부포를 이리저리 흔들 수 있도록 만든 부포상모.
본래 상모는 부들상모였으나 뻣상모가 생긴 뒤, 예전 것을 부들상모라 부른다.
영남과 호남 좌도풍물굿에서 써왔으나 차츰 뻣상모로 바뀌어 가고 있다.
부포놀이
: 농악대의 쇠잡이가 부포상모를 쓰고 이리저리 재주부리는 놀이를 부포놀이, 부포짓이라 하며 호남농악에서 발달되었다.
부포놀이에는 일사(외상모), 이사(양산모), 사사, 퍼넘기기, 전치기, 전조시, 산치기, 연봉놀이, 불모디기,
돛대세우기, 이슬털이, 면돌림, 복판치기, 배밀어기 등이 있다.
부포상모
: 쇠꾼들이 쓰는 상모. 깃털로 꽃처럼 만든 상모. 고니의 날개가 깃털이 가장 좋다.
부포상모가 쓰는 것으로 호남지방에서 먼저 시작한 것 같으며, 부포를 다는 물체의 형태에 따라
뻣상모와 부들상모가 있다.
북시말이
: 완도(莞島)지방 농악에서 쓰이는 말로 '상모놀이'라는 뜻이다.
불넘기
: 판굿의 끝판에 농악수들이 농악을 치며 차례로 모닥불을 뛰어넘는 놀이.
붙힘새
: 장단에 맞게 리듬을 붙이는 것을 말한다. 엇붙힘, 임아걸이, 완자걸이, 교대죽 등이 있다.
비조리
: 경기도 이천에서 쓰이는 말로, '개인놀이'라는 뜻이다.
뻣상모
: 상모의 물체를 뻣뻣하게 하여 부포를 세우도록 만든 부포상모이다. 호남 좌도농악의 쇠잡이가 쓴다.
----------------------------------------------------------------------------------------------
사물(四物)
: 북·장구·쇠·징 등의 네 가지의 기본 악기.
사미놀이
: 사미는 중애라고도 부른다. 승복의 어린 소년으로 경기도 판굿에서 무동놀이에 사미를 무동에 세우고
이리저리 던지는 놀이가 있다.
사사(사사윗놀이)
: 왼편에 두 바퀴, 오른편에 두 바퀴씩 교대로 상모를 돌리는 상모놀이.
4통배기(4진굿)
: 네 군데서 차례로 도진을 짜는 놀이, 세 군데 짜면 삼통배기, 다섯 군데 짜면 오통배기가 되고
두 군데 짜면 쌍진굿, 좌우각진, 두통배기가 된다.
삼채
: 풍물에서 징을 3점 치는 쇳가락을 일컫는 말. 느린 것은 긴 삼채 또는 느진삼채, 빠른 것은 자진삼채 또는 된삼채라고 하며
대개는 박으로 구성된다. 그 명칭과 쇳가락은 판굿의 종류, 지역, 변주방법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며,
동리삼채·벙어리삼채·응매깽깽 등이 이에 속한다.
상모
: 돌모, 꼬꼬매라 부른다. 농악대의 쇠잡이나 법고잡이가 쓴다. 꼬꼬매는 상모를 꼬꾸라미라 부르는 데서 나온 것 같다.
상모는 형태에 따라 나비상모, 부포상모, 채상모, 12발상모가 있다.
상모놀이
: 농악수들이 상모 달린 벙거지르 쓰고 상모를 이리저리 돌리며 재주를 부리는 놀이.
상모놀이에는 부포상모를 쓰고 부리는 부포놀이, 채상모를 쓰고 부리는 채상모놀이가 있다.
샘굿
: 걸립패가 마을 공동우물이나 집안 우물에서 치는 고사굿. 농악을 치고 나서 경상도에서는 '이 샘물이 좋소.
벌떡 벌떡 잡수시오. 만인문 먹더라도 수명장수 비나이다'하고 경기도에서는 '뚫어라, 뚫어라, 샘구녁만 뚫어라'
고사반을 외친다.
서낭
: 밀양농악의 큰 기(旗)
서낭옷
: 서낭기(城隍旗)의 기폭.
선반
: 서서 연주하는 풍물굿의 형태를 지칭한다.
설장구
: 판굿에서 장구잡이가 놀이판 가운데 나와 장구를 독주하며 여러 가락과 춤 솜씨를 보여 주는 놀이.
옛날에는 상쇠, 상장구가 서로 마주서서 쇠가락을 주고 받았으나, 정읍지방에서는 장구를 혼자 치는 설장구가 생겼다.
설장구가락은 구정놀이, 덩덕궁이, 굿거리 등 여러 가락을 엮어 나간다.
설장구는 즉흥적인 가락을 치는 것이나, 요즘은 판을 짜서 설장구, 5장구를 세우기도 한다.
성진
: 통영농악의 원진(圓陣)을 말하는데, 전쟁에 나가는 것을 상징한다.
성주굿
: 성주신을 모시는 굿.
성주풀이
: 전라도 신청걸립패에서는 고사소리군이 삼현육각의 반주로 성주풀이를 고사소리에 이어서 부른다.
이 성주풀이는 민간에 퍼져서 민요화되었다.
성황기(城隍旗)
: 경북지방의 기(旗)
소금(小金)
: 꽹과리.
소리굿
: 판굿 가운데 잡이들이 둥글게 서서 일제히 소리 부르는 놀이. 경기도에서는 '상사소리'를 부르고 전라·경상도에서는
'에헤야 소리'를 부른다.
소삼
: 움직임을 작게 어르라는 뜻.
쇠가락
: 농악 장단을 쇠가락이라 부른다. 농악의 음악은 상쇠의 쇠(꽹과리)가 주도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흔히 쓰이는 쇠가락에는 길굿(길군악), 덩덕궁이, 다드래기, 굿거리 등이 있다.
쇠놀이
: 판굿에서 상쇠, 부쇠, 종쇠 등 쇠잡이가 하나씩 나와 갖가지 가락을 치며 여러 가지 상모놀이를 한다.
경기도에서는 쇠발림을 하기도 한다.
쇠발림
: 상쇠가 추는 춤. 판굿의 쇠놀이에서는 쇠잡이가 상모놀이를 한 다음, 꽹과리채를 거꾸로 쥐고
쇠채수건(너설)을 휘저으며 추는 춤으로 경기농악에서 볼 수 있다.
쇠옷
: 농악에서의 복장.
수령수
: 영기(令旗)를 든 사람.
신농원업(神農遺業)
: 전북 충청농악의 큰 기(旗).
신청걸립패
: 호남지방 세습무들이 영기를 들고 그들의 당골판에서 시주를 걷는 걸립패
전문적인 예인들로 조직되었기 때문에 잡이 솜씨가 훌륭하다.
삼자육각·고사확대가 딸려 고사창과 성주풀이를 부른다.
쌍장구놀이
: 판굿에서 장구잡이 둘이 놀이판 가운데 나와 서로 마주서서 설장구와 같이 노는 놀이.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를 세우고 판을 같게 짜면 손놀림이 함께 움직여 보기에 좋다.
---------------------------------------------------------------------------------------------
얼림굿(어림굿)
: 농악에서 농악대들이 연주를 시작하기 전에 얼르는 쇳가락이나 판굿의 명칭.
농악을 시작하기 전에 상쇠가 농악대들을 모아 놓고 정해진 장단없이 "덩덩덩덩……"라고 연타하면
다른 잽이들도 이와 같이 따라치는데, 본래 서낭대나 영기(令旗)를 세워놓고
신(神)을 받는다는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엇부침
: 장단을 하나 먹고 들어가는 것. 따라서 장단과 장단 사이에 노는 것을 말할 때 이렇게 말한다.
역진 당산굿
: 농악꾼들이 문굿을 하려고 입동(入洞)할 때 뒷걸음으로 들어가는 것.
연봉놀이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운 다음 발짓, 고개짓으로 부포를 놀려 부포가 마치 연꽃 봉오리가 피었다 오무렸다
하는 모습과 같이 하는 재주.
연풍대
: 좌우로 도는 춤사위. 검무와 승무 같은 춤에도 쓰인다. 농악에서는 매우 빠르게 도는 사위를 쓴다.
판굿에서 법고잡이 또는 장구잡이가 연풍대를 많이 한다.
12발상모
: 채상의 길이를 매우 길게 만든 상모를 12발이나 길다 해서 12발상모라 부른다.
12발상모가 달린 상모는 고사굿이나 길굿에서는 쓰지 않고, 판굿의 개인놀이 중 12발상모놀이에서만 쓰인다.
열채
: 장구에서 있어서 오른쪽의 높은 음이 나는 채.
영산
: ①호남풍물굿에 쓰인 쇳가락의 하나. 길군악·품앗이굿·된삼채·일자신굿·인사굿과 함께 우도굿의 들당산굿에서
사용되었으며, 좌도굿에 쓰인 영산이란 가락은 연주되는 속도에 따라서 늦인영산·자진영산·조른영산으로 나뉜다.
좌도굿에서는 영산가락에 맞추어 농악대원들이 노는 놀이를 영산이라고도 하는데,
이 놀이에서 상쇠와 부쇠가 소쩍새가락을 연주하면서 서로 교대로 춤을 춘다.
앉은영산·돌림영산 같은 농악 놀이도 연주되는데, 이때 상쇠는 늦인삼채를 치면서 상쇠와 부쇠는
마당의 중앙에서 멋진 가락을 주고 받을 때 다른 농악대원들은 환진(環陳)으로 돌며 춤을 춘다.
그리고 상쇠가 소쩍새가락을 치면 부쇠가 춤을 추고, 부쇠가 소쩍새가락을 치면 상쇠가 춤을 추는데,
이때 소고잽이는 나비상을 하면서 논다.
②경남풍물굿에 쓰인 쇳가락의 하나. 황일백의 연주에 의하면 풍물굿 12차 중에서 열두번째의 가락이름으로 쓰였다.
영산다드래기
: 경상도 남부지방 쇳가락의 하나. 또는 판굿의 한순서, 박자. 굿거리 장단에 맞는다 ,
판굿에서 영산다드래기 순서는 우물놀이 다음에 행하여지는데 집이들이 영산다드래기가락을 치면서
상쇠와 소고수들이 외상쇠놀음·양산쇠놀음·사사놀음·전치기웃놀음·쌍전웃놀음 등
여러 가지 상모놀음을 하고 반다드개기가락으노 쇳가락을 치다가 자진다드래기가락으로 더욱 모아쳐서 마친다.
오방진
: 동서남북, 중앙 오방에 방울진(달패이진)을 짜는 놀이.
오채질굿(우질굿)
: 호남 우도농악 판굿의 첫머리에만 연주되는 쇳가락으로 징이 다섯 점 들어가는 행진가락이란 뜻.
오른편으로 돌며 쇳가락을 치기 때문에 우질굿이라 부르기도 한다. 매우 빠른 3박과 2박이 2·3·3·2(┠+┡+┡+┠),
2·3·3·2(┠+┡+┡+┠), 3·2·2·3(┡+┠+┠+┡), 3·3·3(┡+┡+┡)의 혼합박으로 형성된다.
이때 첫 강박에만 징이 들어간다. 그리고 매 첫 강박을 징만 치고 꽹과리는 치지 않고 돌 때는 벙어리오채라 한다.
외양간굿
: 마굿간에서 치는 고사굿. 경기도에서는 '매었네 매었네 금송아지 매었네',
경상도에서는 '신농임 본을 받아, 대오임 본을 받아 연년 농사 잘지기르 소원 성취 비나이다'하고 고사반을 부른다.
용기
: 용을 그린 기를 용기 또는 용당기, 용둣기라 부른다. 두레패의 대기, 동제 굿패의 대기에 용기가 쓰이며 군기에도 용기가 있다.
용솟음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우고 발짓, 고개짓으로 부포를 놀려 연봉놀이처럼 부포를 폈다 오무렸다 하는데,
이 부포를 힘있게 늘였다 당겼다 해 용이 힘차게 솟아오르는 모습과 같이 하는 재주.
용트림
: '之(지)'자로 걸어가면서 춤추는 것. 호남농악에서 쓰이는 말.
윗놀음
: 말뜻 그대로는 상체(上體)놀음이나, 실제로는 꽹과리나 소고잽이들이 하는 고갯짓(상모놀이)이다.
음양성
: 음양의 소리.
이슬털이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우고, 다시 제쳐서 풀잎이 이슬을 털어내는 시늉을 내는 재주.
일광놀이
: 호남농악에서 하는 연극놀이.
일사(외사·외상모·외상모놀음)
: 부포상모·채상모·상모를 한 방향으로 돌리는 상모놀음.
상모놀이를 배울 때 먼저 배우는 기초적인 동작이다.
일진(一進)·이진(二進)·삼진(三進)
: 완도(莞島)농악에서 쓰이는 말로, 陣을 싼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