⑧ 소건중탕(小建中湯)
◦ 구성 : 계지6 대추6 생강6 감초6 작약12 교이40 ◦ 출전 : 상한론(傷寒論) 금궤요략(金匱要略) |
소건중탕은 계지가작약탕에 감초의 양을 늘리고 교이를 加한 처방이다. 건중(建中)이란 중초, 즉 소화기능을 건립한다는 의미로 평소 비위 기능이 약하여 복통이 있고 신체가 허약할 때 사용한다. 평상시 어린아이들이 밥을 잘 먹지 않고 배가 아프다고 하면서 약간의 변비가 있을때 좋은 효과를 낸다.
어린 아이들이 추위를 많이 타거나 감기에 자주 걸리면서 식사량이 적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식사량의 저하는 변비를 유발하므로 아랫배가 아프다는 증상을 많이 호소한다. 식사량과 대변은 일정해야 배출도 원활하고 변비가 발생하지 않은데, 식사량이 적음으로써 장(腸)에 대변이 원활하게 생성이 되지 않고 그에 따라 변비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비는 실증(實證)이 아니라 허증(虛證)에 해당이 된다.
⑨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
◦ 구성 : 계지6 작약12 감초4 대추6 생강6 교이(膠飴) 황기 ◦ 출전 : 금궤요략(金匱要略) |
소건중탕을 쓸 사람인데 허한 땀이 나고 체력이 저하되어 황기(黃芪)를 더하여 만든 처방이 바로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