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희명(洪羲明)
[진사] 순조(純祖) 10년(181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48위(78/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D64DD76CBA85B1777X0
자(字) 상옥(尙玉)
생년 정유(丁酉) 1777년 (정조 1)
합격연령 34세
본인본관 풍산(豊山)
거주지 원주(原州)
[관련정보]
[음관] 진신보(搢紳譜)
[이력사항]
초직 갑술(甲戌) 혜릉(惠陵)
관직 군수(郡守)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홍대호(洪大浩)[進]
품계 : 어모장군(禦侮將軍)
관직 : 행용양위부사직(行龍驤衛副司直)
[조부 - 조부1:부의 부]
성명 : 홍철보(洪哲輔)
[증조부 - 증조부1:조부1의 부]
성명 : 홍중후(洪重厚)
기타 : 견순호파(見醇浩派)
[외조부(外祖父)]
성명 : 이유만(李濡萬)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최해우(崔海羽)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서제(庶弟) : 홍희신(洪羲新)
[출전]
『숭정3[4]경오식사마방목(崇禎三[四]庚午式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일산古6024-69])
『진신보(搢紳譜)』 1‧2‧3‧4(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 929.3-Eu55])
홍대호(洪大浩)
[문과] 순조(純祖) 3년(1803) 계해(癸亥)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8위(18/35)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D64DB300D638B1755X0
자(字) 강중(剛中)
생년 을해(乙亥) 1755년 (영조 31)
합격연령 49세
본인본관 풍산(豊山)
거주지 원주(原州)
[관련정보]
[진사] 정조(正祖) 7년(1783) 계묘(癸卯)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64위(94/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5명 [甲3‧乙7‧丙25]
전력 진사(進士)
문과시제 어제(御題) 명(銘):벽옹(辟雝)
타과 정조(正祖) 7년(1783) 계묘(癸卯)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64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홍철보(洪哲輔)
[조부(祖父)]
성명 : 홍중후(洪重厚)[生]
[증조부(曾祖父)]
성명 : 홍만기(洪萬紀)[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송각(宋珏)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
본관 : 미상(未詳)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卷之九(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홍중후(洪重厚)
[생원] 숙종(肅宗) 45년(1719) 기해(己亥)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17위(47/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D64DC911D6C4B1687X0
자(字) 성관(聖寬)
생년 정묘(丁卯) 1687년 (숙종 13)
합격연령 33세
본인본관 풍산(豊山)
거주지 원주(原州)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자시하(慈侍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홍만기(洪萬紀)[生]
품계 : 통정대부(通政大夫)
관직 : 승정원우부승지(承政院右副承旨)
[안항(鴈行)]
형(兄) : 홍중교(洪重敎)
제(弟) : 홍중효(洪重孝)[進]
[출전]
『기해대전입기로소증광별시사마방(己亥大殿入耆老所增廣別試司馬榜)』(국립중앙도서관[古6024-188])
홍만기(洪萬紀)
[문과] 숙종(肅宗) 15년(1689) 기사(己巳)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12위(22/38)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D64DB9CCAE30B1650X0
자(字) 여장(汝張)
생년 경인(庚寅) 1650년 (효종 1)
합격연령 40세
본인본관 풍산(豊山)
거주지 원성(原城)【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1650년(효종 1)~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여장(汝張)이다.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거주지는 강원도 원성(原城: 현 원주(原州))이다.
증조부는 홍리상(洪履祥)이고, 조부는 홍탁(洪𩆸)이며, 부친은 통훈대부(通訓大夫) 홍주진관병마절제도위(洪州鎭管兵馬節制都尉) 홍주문(洪柱文)이다. 외조부는 최륙(崔稑)이고, 처부는 심광사(沈光泗)이다. 형으로 홍만종(洪萬鍾)과 홍만옥(洪萬玉)이 있다.
1687년(숙종 13) 식년시 생원 3등 26위로 합격하였고, 1689년(숙종 15) 증광시 문과에 병과 12위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문학(文學)‧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종성부사(鍾城府使)‧승지(承旨) 등을 역임하였다.
1696년(숙종 22) 헌납 시절 장희빈(張禧嬪)의 오빠 장희재(張希載)와 한중혁(韓重爀)에 관한 처분이 장기간 길어진다며 이에 대해 상소하자, 집의(執義) 홍수점(洪受漸)과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유중무(柳重茂) 등이 억지 공론을 펴고 있다며 파직할 것을 청하여, 파직된 후 더 이상 서용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1702년(숙종 28) 종성부사(鍾城府使)로 다시 임용되었는데 병을 핑계로 나아가지 않자 체차(遞差)되었지만, 우의정(右議政) 신완(申琓)이 다시 등용할 것을 청하여 관직에 나아가 승지가 되었다.
사후에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생원] 숙종(肅宗) 13년(168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26위(56/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8명 [甲3‧乙7‧丙28]
전력 황산도찰방(黃山道察訪)
관직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
문과시제 표(表):의당회서민인등사급복2년(擬唐淮西民人等謝給復二年)
타과 숙종(肅宗) 13년(168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26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홍주문(洪柱文)
[조부(祖父)]
성명 : 홍탁(洪𩆸)[進]
[증조부(曾祖父)]
성명 : 홍이상(洪履祥)[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최륙(崔稑)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심광사(沈光泗)
본관 : 미상(未詳)
[주 1] 거주지 : 『기사원자정호증광별시문무전시방목(己巳元子定號增廣別試文武殿試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朝26-28-21])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卷之十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홍탁(洪𩆸)
[진사] 광해(光海) 5년(1613) 계축(癸丑)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31위(61/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D64DD0C1FFFFB1597X0
자(字) 행가(行可)
생년 정유(丁酉) 1597년 (선조 30)
합격연령 17세
본인본관 풍산(豊山)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홍이상(洪履祥)[生]
품계 : 가의대부(嘉義大夫)
관직 : 개성유수(開城留守)
[안항(鴈行)]
형(兄) : 홍방(洪霶)[文]
형(兄) : 홍립(洪雴)[生]
형(兄) : 홍집(洪)[生]
형(兄) : 홍영(洪霙)[生]
형(兄) : 홍담(洪霮:改𩅿)【補】
[출전]
『계축【만력41년】증광사마방목(癸丑【萬曆四十一年】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03-237])
홍이상(洪履祥)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호조참판(戶曹參判)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D64DC774C0C1B1549X0
자(字) 원례(元禮)
호(號) 모당(慕堂)
시호(諡號) 문경(文敬)
문무구분 문관
생년 미상(未詳) (미상)1549년(명종 4)
졸년 미상(未詳) (미상)1615년(광해군 7)
시대 조선중기
왕대 미상
본관 풍산(豊山)
활동분야 관료
항목 호조참판(戶曹參判)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시대 이조참의, 대사성,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초명은 인상(麟祥). 자는 군서(君瑞)·원례(元禮), 호는 모당(慕堂).
홍철손(洪哲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좌승지 홍세경(洪世敬)이고, 아버지는 부사직 홍수(洪修)이며, 어머니는 백승수(白承秀)의 딸이다.
1573년(선조 6) 사마시를 거쳐 157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장원급제하였다.
그 뒤 예조와 호조의 좌랑을 거쳐, 정언·수찬·지제교·병조정랑 등을 두루 지낸 뒤 사가독서(賜暇讀書:문흥을 일으키기 위해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만 전념케 하던 제도)하였다.
그 뒤 이조정랑을 거쳐, 호당(湖堂)에 있을 때 왕이 유신(儒臣)들을 선발해 경서(經書)를 교정(校正)할 때는 꼭 참여하였다.
이어 집의·응교를 역임하고, 태복시정(太僕寺正)이 되었다가 사간과 사인 등을 거쳐, 황해도안무사(黃海道安撫使)가 되었다.
1591년 직제학을 거쳐 동부승지가 된 뒤, 다시 이조참의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예조참의로 옮겨 왕을 호가(扈駕)해 서행(西行)하였다. 그리고 곧 부제학이 되었다가 성천에 도착해 병조참의에 전임하였다.
1593년정주에서 대사간에 임명되었고, 이듬 해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좌승지가 되었다가 곧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 비변사와 긴밀하게 연락해 일본군 장수 고니시(小西行長)와 가토(加藤淸正) 사이의 이간을 계획, 추진하기도 하였다.
1596년 형조참판을 거쳐 대사성이 되었다. 그러나 영남 유생 문경호(文景虎) 등이 성혼(成渾)을 배척하는 상소를 올리자, 성혼을 두둔하다가 안동부사로 좌천되었다.
1607년 청주목사가 되고, 1609년(광해군 1)에는 대사헌이 되었다.
1612년 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의 일파에게 밀려나 개성유후사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된 뒤 그 곳에서 죽었다.
저서로는 『모당유고』가 있다. 고양의 문봉서원(文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홍이상(洪履祥))]
[문과] 선조(宣祖) 12년(157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1[壯元]위(01/34)
[생원] 선조(宣祖) 6년(157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54위(84/100)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사인(舍人)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이조전랑(吏曹銓郞)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부제학(副提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독서당(讀書堂)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홍문관(弘文館)
[지방관] 조선중기 지방관 강원도(江原道) 춘천부사(春川府使) 1599[기해(己亥)] 10월
[지방관] 조선중기 지방관 경기도(京畿道)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 1596[병신(丙申)]
[지방관] 조선중기 지방관 경상도(慶尙道)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1594[갑오(甲午)]
[지방관] 조선중기 지방관 경기도(京畿道) 개성유수(開城留守) 1612[임자(壬子)]
[관인정보]
[관력 정보]
관직 대사헌(大司憲)
[비고]
비고 정조(正祖) 17년(十七年) 계축(癸丑) 증시(贈諡) 문경(文敬)
[출전]
『참판선생안(參判先生案)』(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8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