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미해진 마을을 찾고 싶었다.
지금 이 순간 대전에서 사라져 가는 공간에 관한 기록
도시라는 말에 묻힌, 마을을 찾는 시간
당신의 골목은 안녕하신가요?
한국의 대부분 도시는 비슷한 모양이다. 이런 현상은 ‘아파트’로 채워진 철저히 계획적이고 획일적인 공간에 가면 그 정도가 더 심해진다. 대전이라는 도시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주거공간의 소멸과 탄생, 쇠락과 번성은 전국 어느 도시에서나 흡사하게 발견되는 패턴이다. 한국에서 사는 사람이라면 자기가 살던 익숙한 골목이나 집, 소소한 풍경들이 개발로 인해 순식간에 사라져 버리는 경험이 한 번 정도는 있을 것이다. 소비재로 전락해 버린 공간은 개성과 정겨움을 잃어버리고 만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도시에도 다양한 형태의 주거공간들이 공존하고 있다. 허름해 보여도 오랜 시간이 쌓인 정겨운 공간들이 남아 있는 것이다. “우리가 사는 공간과 그 위에 펼쳐진 삶을 기록하는 작업은 그것이 어디건 누구건 소중하다.”는 이용원 저자의 말처럼 하루아침에 익숙했던 골목이 개발로 사라지거나, 의미를 지닌 건물이 자본의 논리로 그 본모습을 잃어버리거나, 혹은 마을의 역사를 기억하는 이들을 점차 찾기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기록이란 존재를 되살려 내는 유일한 방책이다.
저자 이용원 편집장은 대전이라는 지역에서 2007년부터 문화예술잡지 《월간토마토》를 창간하며 ‘대전여지도’라는 꼭지를 지금까지 이어 오고 있다. 그는 이 시대 자본의 때가 덕지덕지 묻은 도시 곳곳에서 희미해진 마을을 찾아다닌다. 이 책은 여행기도 아니고, 그렇다고 전문적인 지리서도 아니다. 그보다는 사람살이의 최소 주거 단위인 ‘마을’이라는 정겨운 무형의 이름을 찾아가는 과정 그 자체이다. 이 골목, 저 골목 헤매다가 맞닥뜨린 우연한 풍경이 소소하게 말을 건다. 그것은 획일화와 반대되는 ‘다름’과의 만남이다. 예상 밖의 풍경, 이 집과 저 집, 이 골목과 저 골목은 저마다 다 다른 개성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매순간 흥미롭다. 그런 발견의 과정이 글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데, 이는 길과 집으로 이루어진 ‘마을’이라는 이름의 삶을 그리는 과정과 같다.
저자 이용원의 문장은 그런 골목길과 꼭 닮아 있다. 기자 특유의 절제되고 무심한 듯한 문장 속에 따뜻함이 공존한다. 길에서 우연히 맞닥뜨린 모든 것이 글의 대상이 된다. 마을 경로당을 지키는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느른한 시선이 있는가 하면, 골목에서 바라본 ...(하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