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산시의 풍도(豊島)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섬.
개설
동경 126°17′, 북위 37°08′에 위치하며, 대부도에서 남서쪽으로 17㎞,
안산시에서는 44.5㎞ 지점에 있다. 면적은 1.84㎢이고, 해안선길이는
5.5㎞이다. 직선거리로는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이 가장 가까운 육지이다.
명칭 유래
섬 주변에 수산자원이 풍부하여 풍도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1914년 이전에는
‘단풍나무 풍(楓)자’를 써서 풍도(楓島)라고 하였다가,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
으로 부천군에 편입되면서부터 현재의 풍도(豊島)로 표기되기 시작하였다.
자연환경
섬의 모양은 대체로 타원형이며, 해안선이 지극히 단조롭고 산지(최고 높이 176m)가
많다. 동북쪽과 서북쪽에 약간의 완경사지가 형성되어 있는 정도이다. 해안은 대부분
암석해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1월 평균기온 -2.6℃, 8월
평균기온 25.7℃, 연강수량 1,541㎜이다.
형성 및 변천
본래 남양군 대부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부천군에 편입되었다
. 1973년에는 옹진군에 이속되었으며 1994년 9월에 경기도 안산시에 편입되었다.
현황
2011년 기준으로 풍도동의 인구는 95세대에 169명이 거주하고 있다. 취락은 섬의 동북쪽
해안가에 집중해 있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02㎢, 임야 1.18㎢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콩·감자·땅콩 등이 생산된다
. 근해에서 조기·민어·새우·갈치 등이 잡히며, 굴양식장에서 굴을 채취한다.교육기관으로는
대남초등학교 풍도분교장이 있다. 인천에서 풍도로 여객선이 운항한다. 풍도에는 은행나무
전설이 전해진다. 은행나무는 661년(신라, 문무왕 1) 소정방(蘇定方)이 백제를 멸망시키고
당나라로 돌아가던 중 풍도의 경치에 반하여 머물며 심었다는 전설과 조선 중기 인조(仁祖)
가 이괄(李适)의 난을 피하여 한양에서 공주로 파천(播遷)할 때 들러 심었다는 전설이 있다.
참고문헌
『대동지지(大東地志)』
『안산통계연보』(안산시, 2010)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국토지리정보원, 2008)
『한국도서백서』(전라남도, 1996)
『도서지』(내무부, 1985)
『한국지지: 지방편Ⅰ』(건설부국립지리원, 1984)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국토해양부 연안포탈(www.coast.kr)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왜목마을 에서 아침 식사 후 삼길포항 도착 (오전 10시 10분)

이것은 낚시꾼 요금표..우리는 대절 유람선(개인
왕복 25.000원,풍도 입도비 3.000원) 합계 28.000원


우리 일행이 승선 할 (창원호) 유람선 입니다.


오전 10시 50분 출발

풍도항 도착 (약 50분 소요)


풍도 마을 전경 입니다.


하얀 등대

빨간 등대






풍도 은행나무



풍도 야생화 (복수초)

노루귀

풍도바람꽃

풍도대극









후망산 (176m)



군인부대

솔밭을 지나서...

북배
















물이 빠졌기에 북배딴목 (등대) 가는길 입니다.







등대 도착






등대에서 빽으로 나갑니다.




아주 멀어진 등대

채석장이 사막 같아 보입니다.


채석장 규모가 아주 큰 것 같아요.




이제부터 해안도로를 따라서 걸어 갑니다.

해안선이 아름답죠?


언덕위의 하얀 등대가 보입니다.


계속되는 해안로...


풍도마을 도착 합니다.


풍도항 하얀등대가 보입니다.

산책길의 이쁜 아가씨

거북바위??

허허!! 추우신가?아님 단독주택 얻어셨남...(아무튼 편안해 보입니다.)

긴 기다림 끝에 우리을 태워 갈 (창원호) 유람선이 왔습니다.


풍도항 에서 전 회원 45명 승선이 끝나고 (오후 4시15분) 삼길포항 으로 출발 했습니다.

잠시 지루함을 달래보기 위해...

무인도..

대난지도 전망대도 보입니다.

드디어 삼길포항이 보이기 시작 합니다.


삼길포항 도착 입니다.(오후 5시) 약 45분 소요

창원호 유람선과 작별 하고 육지로...

우리 일행을 기다려 준 갈매기떼 입니다.

약 1시간의 자유시간을 갖고 (오후 6시20분) 서울로 상경. 지금 풍도엔 야생화가
절정 입니다.하지만 담 달 (4월2일 부터...내년 12월 말까지 일시 개방을 하지 않는
다고 합 니다.우리가 적정시기에 잘 다녀 왔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울려고 내가왔나
누굴찾아 여기왔나
낮설은 타향땅에
내가 왜 왔나
하늘마저 날 울려
굵은 비는 내리고
무정한자 옛사람아
그대 찾아 천리 길을
울려고 내가왔나
그 누구 찾아왔나
영산강아 말해다오
반겨줄 그 사람은
마음이 변해
아쉬웠던 내 사랑
찬서리에 시드나
그렇지만 믿고싶어
보고프면 또오리라
울면서 찾아오리
2017-04-22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