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깍발이’란 것은 ‘남산골 샌님’의 별명이다. 왜 그런 別號(별호)가 생겼는가 하면, 남산골 샌님은 지나 마르나 나막신을 신고 다녔으며, 마른 날은 나막신 굽이굳은 땅에 부디쳐서 딸깍딸깍 소리가 유난하였기 때문이다. 요새 청년들은 아마 그런 광경을 못 구경하였을 것이니, 좀 상상하기에 곤란할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일제시대에 일인들이 ‘게다’를 끌고 콘크리트 길바닥을 걸어다니던 꼴을 기억하고 있다면, ‘딸깍발이’라는 명칭이 붙게 된 까닭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남산골 샌님은 마른 날 나막신 소리를 내는 것이 그다지 얘기거리될 것도 없다. 그 소리와 아울러 그 모양이 퍽 초라하고, 窮狀(궁상)이 다닥다닥 달려 있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인생으로서 한 고비가 겨워서 머리가 희끗희끗할 지경에 이르기까지 변변치 못한 벼슬이나마 한 자리 얻어 하지 못하고(그 시대에는 소위 兩班(양반)으로서 벼슬 하나 얻어 하는 것이 유일한 욕망이요, 출세요, 영광이요, 사업이요, 목적이었던 것이다), 다른 일, 특히 生業(생업)에는 아주 손방이어서 아예 손을 댈 생각조차 아니하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는 극도로 窮乏(궁핍)한 구렁텅이에 빠져서, 글자 그대로 三旬九食(삼순구식)의 悲慘(비참)한 생활을 해 가는 것이다. 그 꼬락서니라든지 차림차림이란 여간 壯觀(장관)이 아니다.
두 볼이 야윌 대로 야위어서, 담배 모금이나 세차게 빨 때에는 양 볼의 자국이 입 안에서 서로 맞닿을 지경이요, 콧날은 날카롭게 우뚝 서서 꾀와 理智(이지)만이 내발릴 대로 발려 있고, 사철 없이 말간 콧물이 방울방울 맺혀 떨어진다. 그래도 두 눈은 개가 풀리지 않고, 영채가 돌아서 무력이라든지 낙심의 빛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이래 웃입술이 쪼그라질 정도로 굳게 다문 입은 그 意志力(의지력)을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 많지 않은 아랫수염이 뾰족하니 앞으로 향하여 휘어 뻗쳤으며, 이마는 대개 툭 소스라쳐 나오는 편보다 메뚜기 이마로 좀 편편하게 버스러진 것이 흔히 볼 수 있는 타입이다.
이러한 화상이 꿰맬대로 꿰맨 헌 網巾(망건)을 도토리 같이 눌러 쓰고, 대우가 조글조글한 헌 갓을 뒤로 젖혀 쓰는 것이 버릇이다. 서리가 올 무렵까지 베중이 적삼이거나, 伏(복)이 들도록 솜바지 저고리의 거죽을 벗겨서 여름살이를 삼는 것은 그리 드문 일이 아니다. 그리고 자락이 모지라지고 때가 꾀죄죄하게 흐르는 道袍(도포)나 중치막을 입은 후, 숱이 다 떨어지고, 몇 동강을 이은 띠를 흉복통에 눌러 띠고, 나막신을 신었을망정 행전을 잊어 버리지는 일이 없이 치고 나선다. 걸음을 걸어도 日人(일인)들 모양으로 輕妄(경망)스럽게 발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느럭느럭 갈짓자(之) 모양으로, 뼈대만 엉성한 호리호리한 체격일망정, 그래도 두 어깨를 턱 젖혀서 가슴을 뻐기고 고개를 휘번덕거리기는새려, 곁눈질 하나 하는 법 없이 눈을 내리깔아 코 끝만 보고 걸어가는 모습의 모든 특징이, ‘딸깍발이’라는 말 속에
내포되어 있다.(하략)
<이희승, “딸깍발이”>
<글 2>
금년은 乙丑年(을축년)이다. 소의 해라고 한다. 만물에는 각각 다소의 덕이 있다. 쥐 같은 놈까지도 밤새도록 반자 위에서 바스락거려서 사람에게 ‘바쁘다’ 하는 교훈을 주는 덕ㅇ; 있다. 하물며 소는 짐승 중에 군자다. 그에게서 어찌해 배울 것이 없을까. 사람들아! 소해의 첫 날에 소의 덕을 생각하여, 금년 삼백육십오일은 소의 덕을 배우기에 힘써 볼까나.
특별히 우리 조선 민족과 소와는 큰 관계가 있다. 우리 創造神話(창조신화)에는 하늘에서 검은 암소가 내려와서 사람의 조상을 낳았다 하며, 또 꿈에도 소가 보이면 조상이 보인 것이라 하고, 또 ‘콩쥐 팥쥐’ 이야기에도 콩쥐가 밭은 갈다가 호미를 분지르고 울 때에, 하늘에서 검은 암소가 내려와서 밭을 갈아 주었다. 이 모양으로 우리 민족은 소를 사랑하였고, 특별히 또 검은 소를 사랑하였다.
검은 소를 한문으로 쓰면, 靑牛(청우) 즉 푸른 소라고 한다. 검은 빛은 북방 빛이요, 겨울 빛이요, 죽음의 빛이라 하여 그것을 꺼리고, 동방 빛이요, 봄 빛이요, 생명 빛인 푸른 빛을 끌어다 붙인 것이다. 동방은 푸른 빛, 남방은 붉은 빛, 서방은 흰 빛, 북방은 검은 빛, 중앙은 누른 빛이라 하거니와, 이것은 한족들이 생각해 낸 것이 아니요, 기실은 우리 조상들이 생각해 낸 것이라고 우리 역사가 六堂(육당)이 말하였다고 믿는다. 어쨌든 금년은 을축년이니까 푸른 소, 즉 검은 소의 해일시 분명하다. 六甲(육갑)으로 보견대, 을축년은 우리 민족에게 퍽 인연이 깊은 해라고 할 수밖에 없다.
검은 빛 말이 났으니 말이어니와 검은 빛은 서양 사람도 싫어한다. 그들은 사람이 죽은 때에 검은 빛을 쓴다. 심리학자의 말을 들으묜 검은 빛은 어두움의 빛이요, 어두움은 무서운 것의 근원이기 때문에, 모든 동물이 다 이 빛을 싫어한다고 한다. 아이들도 어두운 것이나 꺼먼 것을 무서워 한다.
어른도 그렇다. 캄캄한 밤에 무서워 아니하는 사람은 도독질하는 양반밖에는 없다. 검은 구름은 농부와 뱃사공이 무서워 하고, 검은 가마귀는 염병 앓는 사람이 무서워 하고, 검은 돼지, 검은 벌레, 모두 좋은 것이 아니다. 검은 마음이 무서운 것은 누구나 아는 일이요, 요새 활동사진에는 검은 손이 가끔 구경꾼의 가슴을 서늘케 한다. 더욱이 우리 나라 사람들은 수십 념 내로 검은 옷을 퍽 무서워 했다.
<이광수, “牛德頌(우덕송)”에서>
<글 3>
隨筆(수필)은 文學(문학)이냐 혹은 문학이 아니냐, 그것이 만일에 文學(문학)이라면 수필은 文學(문학)의 어느 分野(분야)에 속할 것이냐 하는 것이 編輯者(편집자)가 내게 課(과)한 設題(설제)다. 수필이라는 것이 원래 극히 막연하고, 광범한 文學形式(문학형식)인 만큼 이것을 간단히 說明(설명)하고 規定(규정)하기는 勿論(물론) 곤란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例(예)하면 詩(시). 小說(소설) . 戱曲(희곡) 等屬(등속)의 文學(문학)이 一見(일견) 명료한 形式(형식)을 갖고 있는 데 대해서, 수필은 문학으로서의 일정한 형식을 갖지 못하고, 수필은 차라리 작품으로서 형식을 갖지 않는 데 그 特質(특질)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경우에 의해서는 制約(제약)도 없으며, 秩序(질서)도 없으며, 系統(계통)도 없이 자유롭고 散漫(산만)하게 쓰인 모든 文章(문장)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까닭으로 수필은 흔히 非文學的(비문학적)인 印象(인상)을 사람에게 주는 것이지만, 事實(사실) 문학은 자기의 狹隘(협애)한 領域(영역) 안에 수필이라 하는 이 自由奔放(자유분방)하고 輕妙脫走(경묘탈주)하고 變化無雙(변화무쌍)한 養子(양자)를 包容(포용)하기 어려운 感이(감) 없지 않다.
그래서 설사 奔忙(분망) 중에 쓰인 一片(일편)의 書簡(서간), 남몰래 적힌 一葉(일엽)의 日記(일기)라도 그 文章(문장) 속에 筆者(필자) 그 사람의 生命(생명)이 躍動(약동)하고 있기만 하면 그것이 훌륭한 수필 문학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요, 또 수필은 항상 형식을 無視(무시)하며, 그 점에 있어서 문학으로부터의 離脫(이탈)을 先天的(선천적)으로 꾀하는 者(자)인 까닭으로 筆者(필자) 자신이 專門的(전문적) 수필가 내지는 전문적 文人(문인)에만 한할 필요가 없음은 두말할 것이 없고, 그 題材(제재) 역시 그것이 반드시 ‘문학적인 것’일 필요도 조금도 없는 것이니, 여기 가령 科學者(과학자)가 과학을 말하든, 政治家(정치가)가 정치를 말하든, 혹은 旅行家가(여행가) 漫然(만연)한 見聞(견문)을 말하든, 如何間(여하간)에 말하는 사람의 누구임과 말하는 對象(대상)이 무엇임을 막론하고 말하는 그 사람의 심경이 전인성 위에 擴充(확충)되어 있기만 하면 그 말은 반드시 문학적 價値(가치)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연 저 토오머스 브라운의 ‘醫家(의가)의 宗敎(종교)’라든가, 파아블의 ‘昆蟲(곤충)의 生活(생활)’이라든가, 소로오의 ‘森林生活(삼림생활)’이라든가, 러스킨의 ‘塵埃(진애)의 倫理(윤리)’라든가, 메테를링크의 ‘蜜蜂(밀봉)의 生活(생활)’이라든가, 루소의 ‘懺悔錄(참회록)’이라든가, 이 모든 著作(저작)은 물론 이른바 문학적 작품은 아니지만, 그러나 그 전부가 正統的(정통적) 수필의 名鑑(명감)으로서 千古(천고)에 빛나는 문학적 生命(생명)을 가지고 있는 것은 누구나 다들 알고 있는 일이다.
가령, 여기 指摘(지적)한 파아블은 문학자가 아니요, 과학자이었고, 따라서 그의 著作(저작)인 ‘곤충의 생활’도 문학적 작품도 아니요, 徹頭徹尾(철두철미) 과학자적 硏究(연구)와 觀察(관찰)의 所産(소산)에 틀림없지만, 그것이 문학으로서의 生命(생명)을 갖게 되는 이유는 다름 아니라, 과학자로서의 풍부한 知識(지식)을 가진 과학자 파아블이 곤충의 生活相(생활상)을 순전히 연구적으로 冷靜(냉정)하게 관찰한 결과를 ‘報告(보고) . 記錄(기록)함’에 그치지 않고, 그는 한 사람의 시인으로서 곤충의 생활상태를 관찰하여 그것을 詩化(시화)하고 인간화하는 것에 성공하였음으로서다.
<김진섭, “隨筆(수필)의 文學的(문학적) 領域(영역)”에서, ( )안은 한글로 바꿈>
<글 4>
옛사람이 높은 선비의 맑은 향기를 그리려 하되, 향기가 형태 없기로 蘭(난)을 그렸던 것이다. 아리따운 여인의 氷玉(빙옥) 같은 심정을 그리려 하되, 형태 없음으로 梅花(매화)를 그렸던 것이다. 붓에 듬뿍 찍어 한 폭 대[竹]를 그리면 늠름한 장부, 불굴의 기개가 서릿발 같고 다시 붓을 바꾸어 한 폭을 그리면 소슬한 바람이 湘江(상강)의 넋을 실어오는 듯했다. 갈대를 그리면 가을이 오고, 돌을 그리면 古撲(고박)한 음향이 그윽하니 神技(신기)가 아니고 무엇인가. 그러기에 예술인 것이다.
종이 위에 그린 풀잎에서 어떻게 그린 풀잎에서 어떻게 향기를 찾으며 먹으로 그린 돌에서 어떻게 소리를 들을 수 있는가. 이것이 心眼(심안)이다. 文心(문심)과 文情(문정)이 통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伯牙(백아)가 있고, 또 種子期(종자기)가 있는 것이 아닌가, 이 뜻을 알면 글을 쓰고 글을 읽을 수 있다.
글을 잘 쓰는 사람은 결코 讀者(독자)를 저버리지 않는다. 글을 잘 읽는 사람 또한 作者(작자)를 저버리지 않는다. 여기에 작자와 독자 사이의 애틋한 사랑이 맺어진다. 그 사랑이란 무엇인가. 시대로 共悶(공민)이요, 사회의 共憤(공분)이요, 인생의 共鳴(공명)인 것이다.
文人(문인)들이 흔히 대단할 것도 없는 身邊雜事(신변잡사)를 즐겨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생의 편모와 생활의 情懷(정회)를 새삼 느꼈기 때문이다.
俗惡(속악)한 市中雜事(시중잡사)도 때로는 꺼리지 않고 쓰려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인생의 모순과 사회의 부조리를 여기서 뼈아프게 느꼈기 때문이다.
自然(자연)은 自然(자연) 그대로의 自然(자연)이 아니요, 내 프리즘을 통하여 再生(재생)된 자연인 까닭에 새롭고, 自身(자신)은 主觀的(주관적)인 自身(자신)이 아니요, 凝視(응시)해서 얻은 客觀的(객관적)인 자신일 때 하나의 人間像(인간상)으로 떠 오르는 것이다.
感情(감정)은 濾過(여과)된 감정이라야 아름답고, 思索(사색)은 醱酵(발효)된 사색이라야 情(정)이 서리나니, 여기서 비로소 사소하고 雜多(잡다)한 모든 것이 모두 다 글이 되는 것이다.
意志(의지)가 강렬한 男兒(남아)는 과묵한 속에 정열이 넘치고, 사랑이 깊은 女人(여인)은 밤 새도록 하소연하던 사연도 만나서는 말이 적으니, 진실하고 깊이 있는 文章(문장)이 장황하고 산만할 수가 없다. 辭盡意不盡(사진의부진)의 餘韻(여운)이 여기 있는 것이다.
깊은 못 위에 蓮(연)꽃과 같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도, 바닥에 찬 물과 같은 그림자가 어른거리고, 물 밑에 더 넓은 바닥이 있어 글의 배경을 이룸으로써 비로소 吟味(음미)에 吟味(음미)를 거듭할 맛이 나는 것이다. 그리고는 멀수록 맑은 향기가 은은히 퍼지며, 한 송이 뚜렷한 蓮(연)꽃이 優雅(우아)하게 떠오르는 것이다.
나는 이런 글이 쓰고 싶고, 이런 글이 읽고 싶다.
<윤오영, “쓰고 싶고 읽고 싶은 글”, ( ) 안은 한글로 바꿈)>
문제
(1) 각 글의 문체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보기: 간결체, 만연체, 우유체, 강건체, 건조체, 화려체
가. <글 1>: ( )
나. <글 2>: ( )
다. <글 3>: ( )
라. <글 4>: ( )
2. 다음은 우리 나라 역대 쿤학 작품들이다. 그것들은 각각 독특한 양식(문체)를 가지고 있 다. 그 양식의 이름을 ‘문제’의 ‘보기’에서 찾아 ( ) 안에 써 넣어 보자
五六月(오유월) 伏(복)더위에 情(정)의 님 만나이셔 달 밝은 平床(평상)으희 츤츤 감계 누엇
다가 무음 일엿던지 五腸(오장)이 煩熱(번열)고 그슬 흘니면서 헐이
넌 그 더위와 冬至(동지) 긴긴밤의 고은님 다리고 가스 아름목과 돗
가온 니불 속의 두 몸이 몸 되야 그리져리 니 手足(수족)이 답답
며 목궁이 타올젹의 웃목의 찬 숙늉을 벌벌 켜 난 더위를 閣(각)
氏(시)네 사려거든 소견로 오시쇼
댱야 네 더위 여럿中(중)의 님 마나 두 더위야 뉘 아니 조아리 남
의게 파지 말고 게 부 파로시쇼
<작가 미상, 사설시조>
<글 5>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연분(緣分)이며 하 모 일이런가 나 나 졈어 잇고 님 나 날 괴시니 이 음 이 랑 견졸 노여 업다
평(平生)애 원(願)요 녜자 얏더니 늙기야 므 일로 외오 두고 글이고 엇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올 적의 비슨 머리 얼킈연디 삼년(三年)이라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여 이셔 짓니 한숨이오 디니 문믈이라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정철, “思美人曲”>에서>
<글 6>
국순(麴醇)의 자(字)는 자후(子厚)이니 그 조상은 농서(隴西) 사람이다. 90대(代) 조(祖) 모(牟)가 후직(后稷)을 도와 뭇 백성들을 먹여 공(功)이 있었으니 ‘시경(詩經)’에 이른 바 ‘내게 밀, 보리를 준다’고 한 것이 그것이다. 모(牟)가 처음 숨어 살먀 벼슬하지 고 말하기를, “나는 반드시 밭을 갈아야 먹으리라”하며 전묘(田苗久)에서 살았다. 위에서 그 자손(子孫)이 있다는 말을 듣고 조서(詔書)를 내려 안거(安車)로 부르며 군(郡) . 현(縣)에 명하여 곳마다 후(厚)히 예물을 보내라 하고, 하신(下臣)을 시켜 친히 그 집에 나아가 드디어 방아와 절구 사이에서 교분(交分)을 정하고 빛에 화(和)하며 티끌과 같이 하게 되니, 훈훈하게 찌는 기운이 스며 들어서 온자(醞藉)한 맛이 있으므로 기뻐서 말하기를, “나를 이루어 주는 자는 벗이라 하더니 과연 그 말이 옳구나.”하였다.
<임춘, “麴醇傳”에서>
<글 7>
시(此時) 샹(上)이 팔도의 관(行關)샤 길동을 으라 시되 혹 그 변홰(變化) 불측여 쟝안 로(大路)로 혹 쵸헌(軺軒)도 타고 왕며 혹 각읍(各邑)의 노문(路文) 노코 쌍교(雙轎)도 타고 왕며 혹 어(御史)의 모양을 하여 각읍 슈령(守令) 즁 탐관 오리(汚吏) 쟈 믄득 선참후계(先斬後啓)되 가어(假御史) 홍길동의 계문(啓文)이라 니 샹(上)이 더욱 진노(震怒)샤 왈,
사람마다 오장육부(五臟六腑)로되, 놀보는 오장칠부(五臟七腑)인 것이 심사부(心思腑) 하나가 왼편(便) 갈비 밑에 병부(兵符) 주머니를 찬 듯하여 밖에서 보아도 알기 쉽게 달리어서 심사(心思)가 무론(毋論) 사절(謝絶)하고 일망무제(一望無際)로 나오는데 독 이렇게 나오것다.
본명방(本命方)에 벌목(伐木)하고, 잠사각(蠶絲角)에 집짓기와 오귀방(五鬼方)에 이사(移徙) 권(勸)코, 삼재(三災) 든 데 혼인(婚姻)하기, 동내(洞內) 주산(主山)을 팔아 먹고 남의 선산(先山)에 투장(偸葬)하기, 길 가는 과객(過客) 양반(兩班) 재울 듯이 붙들었다 해가 지면 내어 쫓고, 일녀고로(一年苦勞) 외상(外上) 사경(私耕) 농사(農事) 지어 추수(秋收)하면 옷을 벗겨 내 쫓기, 초상(初喪)난 대 노래하고, 역신(疫神) 든 데 개 잡기와 남의 노적(露積)에 불지르고, 가뭄 농사(農事) 물꼬 베기, 불 붙은 데 부채질, 야장(夜葬)할 때 왜장치기.......
<작자 미상, “박타령”에서>
<글 9>
일쳥뎐쟁(日淸戰爭)의 총쇼리 평양일경(平壤一境)이 가 긋니, 그 총쇼리가 긋치 청인(淸人)의 (敗) 군(軍士) 츄풍(秋風)에 낙엽(落葉)갓치 흐ㅛ터지고, 일본(日本)군사 물미듯 셔북(西北)으로 향(向)야 가니 그 뒤 산(山)과 들에 사람 쥭은 송장이라.
평양성(平壤城) 외(外) 목단봉(木丹峰)에 러지 저녁 볏은 누엿누엿 너머가, 저 을 붓드러고시푼 마음에 붓드러지 못고 숨이 턱에 단 듯이 갈팡질팡 (一 )부인(婦人)이 나(年히) 삼십(三十)이 되락말락고 얼골은 분(粉)을 고 넌 듯이 흰 얼골이 인정(人情)이 업시 겁게 리이 가을(秋) 볏에 얼골이 익어셔 션 도빗이 되고 거름거리 허동지동 진 머리 흘러 려셔 등에 질머지고 옷은 흘너려서 젓가슴이 다 드러나고 치마락은 헤 질질 려서 거름을 건로 치마가 발피니 그 부인(婦人)은 아무리 급(急) 거름거리를 더도 멀니 가지도 못고 허동거리기만 다.
<이인직, “血(혈)의 淚(누)”에서>
문제
보기: 고전소설(古典小說), 신소설(新小說), 향가(鄕歌), 고려 속요(高麗俗謠), 가사(歌辭), 시 조(時調), 가전체소설(假傳體小說), 판소리, 악장(樂章)
(1) <글 1>: ( ) (2) <글 2>: ( )
(3) <글 3>: ( ) (4) <글 4>: ( )
(5) <글 5>: ( ) (6) <글 6>: ( )
(7) <글 7>: ( ) (8) <글 8>: ( )
(9) <글 9>: ( )
*참고:
(1) 향가: 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까지에 향찰(鄕札) 씌어진 정형시가. 일명 사뇌가(詞 腦歌).
(2) 고려속요: 고려 시대의 시가. 민중 사이에 널리 불리었으므로 속요라 함.
(3) 가전체 소설: 구(舊)소설의 원형이 된 설화문학의 한 형태. 가전은 설화에서 탈피하여 우화(寓話), 의인화 수법을 써서 지은 짧은 전기체의 설화.
(4) 악장: 주악(奏樂)의 가사(歌詞). 조선시대 초기에 발생한 것으로 나라의 제전 또는 행사 때 궁중음악에 맞춰 부르던 시가.
(5) 가사: 조선 초기에 발생한 시가 형태의 하나. 3.4조, 혹은 4.4조의 연속체로 된 운문 형 식에 산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음.
(6) 고전소설: 갑오경장 이전에 나온 소설의 통칭. 신소설에 대칭되는 말로서 구소설이라고 도 함.
(7) 시조: 한국 고유의 정형시. 고려말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에 전성한 고유의 문학 형태.
(8) 판소리: 광대(廣大)의 소리와 대사를 총칭하는 말.
(9) 신소설: 갑오경장 이후에 나온 소설. 현대소설로 넘어오는 과도기에 쓰여진 소설로서 봉 건 타파, 개화 계몽, 자주 독립의 정신을 담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