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 보물, 칠곡 송림사, 통일신라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2층 몸돌 안에 있던 거북모양 돌함에서 나왔다.
이 사리함은 사리를 유리잔과 유리병에 넣은 유일한 사례다.
의성 관덕동 석사자 / 보물, 의성 관덕동, 통일신라 9세기
의성 관덕동 삼층석탑(보물) 기단 네 모서리에 올려졌던 석상이다.
돌사자는 마치 불국사 다보탑의 사자상을 연상하게 하지만, 여기 사자상은 배 밑에 새끼사자가 있고,
그 가운데 한 마리는 어미젖을 빨고 있다. 매우 희귀한 모습이다.
의성을 자주 다녔지만 아직 관덕동 삼층석탑을 보진 못하였다. 기단 네 모서리에 석상이 있는 탑도 귀하다.
오월에 꼭 가서 봐야겠다.
김천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 보물, 김천 갈항사지, 통일신라 758년
김천시에 시립박물관이 있다. 김천시립박물관에 모형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이 있다. 원형은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있다.
김천시 처지에서 삼층석탑과 사리장엄구가 김천시립박물관으로 옮겨지길 바랄 것이다.
작년에 김천시립박물관과 갈항사지를 갔으며 카페(절과 문화재를 찾아서)에 글을 올렸다.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출토 사림장엄구 / 대구 동화사 비로암, 통일신라 863년
구미 선산읍 금동 보살입상 / 보물, 구미 봉한동, 신라 7세기
몸은 날씬하게 균형이 잘 맞으며, 옷은 얇게 밀착되었다. 얼굴은 눈, 코, 입 들을 분명하게 표현, 미소를 머금고 있다.
전체 균형이 잘 잡힌 작품으로 조각수법이 뛰어나 삼국시대 후기 금동보살상의 전형을 보여준다.
구미 선산읍 금동 여래입상 / 보물, 구미 봉한동, 통일신라 8세기
구미 선산읍 금동 보살입상 / 국보, 구미 봉한동, 신라 7세기
근엄하고 당당한 모습, 중국 요소가 강한 편, 복잡하고 화려한 장신구를 표현한 것이 특징.
이 시대 금동보살입상으로서 매우 드문 유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