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질(柳秩)
[문과] 인조(仁祖) 1년(1623) 계해(癸亥)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3위(04/1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20C9C8FFFFB1575X0
자(字) 자상(子常)
생년 을해(乙亥) 1575년 (선조 8)
졸년 병자(丙子)(주1)【補】 1636년 (인조 14)
향년 62세
합격연령 49세
본인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한성([京])【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후기 병자호란과 관련된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상(子常). 유세구(柳世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균(柳均)이다. 아버지는 군기시부정(軍器寺副正) 유영성(柳永成)이며, 어머니는 한성부판윤 강섬(姜暹)의 딸이다.
1606년(선조 39)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고, 1621년(광해군 13) 성균관유생으로서 동료들과 함께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을 주창한 자를 처형할 것을 상소하였다.
1623년(인조 1)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내외직을 역임하면서, 1635년 인조의 아버지 원종을 왕으로 추숭하여 종묘에 모실 때에는 전사관(典祀官)으로 참여하였다.
1636년 철원부사에 재직 중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보개산(寶蓋山)으로 피난갈 것을 권하는 자가 있었으나, 싸우지도 않고 피난갈 수 없다고 하고, 곡식을 저축하여 앞일에 대비하였다.
뒤에 철원에서 청병(淸兵)에게 대항하다 피살당하였다.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생원] 선조(宣祖) 39년(160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50위(80/100)
[진사] 선조(宣祖) 39년(160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25위(55/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0명 [甲1‧乙3‧丙6]
전력 생원(生員)
품계 통정대부(通政大夫)
관직 부사(府使)
문과시제 잠(箴):신종우시(愼終于始)
타과 1606년(선조 39)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50위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주3)【補】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영성(柳永成)[進]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군기시부정(行軍器寺副正)(주4)【補】
[조부(祖父)]
성명 : 유균(柳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유세귀(柳世龜)
[외조부(外祖父)]
성명 : 강섬(姜暹)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한수민(韓壽民)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형(兄) : 유목(柳穆)【補】
형(兄) : 유집(柳𥠋)【補】(주5)
[가족과거]
자(子) : 유덕창(柳德昌)[文]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거주지 : 『천계3년계해5월초2일알성방목(天啓三年癸亥五月初二日謁聖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2.5-23])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3]구존 : 『천계3년계해5월초2일알성방목(天啓三年癸亥五月初二日謁聖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2.5-23])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4]부관직 : 『천계3년계해5월초2일알성방목(天啓三年癸亥五月初二日謁聖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2.5-23])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5]안항 : 『천계3년계해5월초2일알성방목(天啓三年癸亥五月初二日謁聖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2.5-23])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유영성(柳永成)
[진사] 선조(宣祖) 6년(157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57위(87/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20C601C131B1541X0
자(字) 성지(成之)
생년 신축(辛丑) 1541년 (중종 36)
합격연령 33세
본인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자시하(慈侍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균(柳均)
품계 : 중직대부(中直大夫)
관직 : 행삼화현령(行三和縣令)
[안항(鴈行)]
제(弟) : 유영달(柳永達)
[출전]
『만력1년계유2월24일사마방목(萬曆元年癸酉二月二十四日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貴古朝26-29-3])
유덕창(柳德昌)
[문과] 인조(仁祖) 5년(162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3위(13/34)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20B355CC3DB1597X0
자(字) 득보(得甫)
생년 정유(丁酉) 1597년 (선조 30)
졸년 계사(癸巳) 1653년 (효종 4)
향년 57세
합격연령 31세
본인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생원]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33위(63/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4명 [甲3‧乙7‧丙24]
전력 생원(生員)
관직 시정(寺正)
문과시제 책문(策問):전수화(戰守和)
타과 1624년(인조 2) 갑자(甲子)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3등(三等) 33위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주2)【補】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질(柳秩)[文]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평양서윤(行平壤庶尹)(주3)【補】
[조부(祖父)]
성명 : 유영성(柳永成)[進]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유균(柳均)
[외조부(外祖父)]
성명 : 한수민(韓壽民)[文]
본관 : 청주(淸州)【補】
[처부(妻父)]
성명 : 권숙(權俶)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제(弟) : 유준창(柳俊昌)[生]【補】
제(弟) : 유지창(柳志昌)【補】
제(弟) : 유효창(柳孝昌)[生]【補】(주4)
[가족과거]
자(子) : 유면(柳冕)[文]
[주 1] 거주지 : 『천계7년정묘식년문과방목(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연계방목(蓮桂榜目)』,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161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구존 : 『천계7년정묘식년문과방목(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연계방목(蓮桂榜目)』,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161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3] 부관직 : 『천계7년정묘식년문과방목(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연계방목(蓮桂榜目)』,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161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4] 안항 : 『천계7년정묘식년문과방목(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연계방목(蓮桂榜目)』,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161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유면(柳冕)
[문과] 현종(顯宗) 3년(1662) 임인(壬寅) 정시(庭試) 병과(丙科) 7위(11/1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20BA74FFFFB1626X0
자(字) 주경(周卿)
생년 병인(丙寅) 1626년 (인조 4)
합격연령 37세
본인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생원] 인조(仁祖) 24년(1646) 병술(丙戌)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6위(66/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3명 [甲1‧乙3‧丙9]
전력 생원(生員)
관직 부사(府使)
문과시제 표(表):송선무사장준청필이합천심위학지본(宋宣撫使張浚請必以合天心爲學之本)
타과 1646년(인조 24) 병술(丙戌)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36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덕창(柳德昌)[文]
[조부(祖父)]
성명 : 유질(柳秩)[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유영성(柳永成)
[외조부(外祖父)]
성명 : 권숙(權俶)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이명전(李明傳)[文]
본관 : 전의(全義)【補】
[주 1] 거주지 : 『병술3월○일을유식년사마방목(丙戌三月○日乙酉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貴古朝26-29-15])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유춘희(柳春熙)
[생원] 숙종(肅宗) 13년(168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2등(二等) 17위(22/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20CD98D76CB1646X0
자(字) 태화(太和)
생년 병술(丙戌) 1646년 (인조 24)
합격연령 42세
본인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면(柳冕)[文]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상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尙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
겸직 : 겸 춘추관편수관(兼春秋館編修官)
[안항(鴈行)]
제(弟) : 유춘후(柳春煦)
제(弟) : 유춘훈(柳春薰)
[출전]
『정묘식년사마방목(丁卯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82])
유후(柳厚)
[생원] 숙종(肅宗) 22년(169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63위(93/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20D6C4FFFFB1666X0
자(字) 재원(載元)
생년 병오(丙午) 1666년 (현종 7)
합격연령 31세
본인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부모구존 엄시하(嚴侍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춘희(柳春熙)[生]
과거 : 생원(生員)
[안항(鴈行)]
제(弟) : 유규(柳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