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의 경우 BMI 18.5~24.9까지를 정상 체중으로 보기도 하지만, 외국인과 우리나라 사람의 체형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위의 표에서 분류한 것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BMI(체질량지수)에 대한 설명BMI 공식은 체중(kg)÷키(m)2 입니다. 즉,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 BMI(체질량지수)입니다. BMI는 키와 체중을 이용하여 계산한 지수인데, 체지방량의 정도를 잘 반영하는 편이라서 비만도를 판단하는데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수 입니다. 단, 체질량지수(BMI)는 성인들의 비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만들어 진 지수이기 때문에 성인들의 비만 여부는 어느 정도 잘 판단해 주지만, 아이들의 비만 여부를 BMI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성인의 경우에도 BMI의 결과에 너무 의존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BMI의 3가지 단점첫째, 근육이 많은 사람이 BMI는 과장 되게 계산되는 면이 있습니다. 체질량지수 자체가 지방과 근육을 구별해서 계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인데요, 근육이 많은 사람은 실제로는 정상 체중임에도 지수 상으로는 과체중 판정을 받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둘째, 비만인 경우의 BMI는 적게 계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BMI 계산 결과는 과체중이지만, 실제로는 비만인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살이 많이 찐 사람의 경우 BMI를 좀 더 올려서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셋째. 남자와 여자를 구별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BMI 계산법은 남자와 여자를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아주 정확하게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결론BMI 계산기는 비만 여부를 판단하는 비만도 계산기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그 정확도가 높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어차피 정확한 비만의 정도는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비만도 계산기를 통해 BMI를 계산해 보고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한 대략적인 아이디어를 얻는 정도로 비만도 계산기를 이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