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모량초등21동기회
 
 
 
카페 게시글
건강관리 스크랩 당화혈색소(HbAlc)란?
월제 추천 0 조회 323 15.11.19 17:5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당화혈색소란 무엇인가

 

1)당화혈색소(HbAlc)란?
적혈구에는 혈색소(헤모글로빈)라고 하는 산소 운반에 중요한 단백질이 들어있는데 혈당이 높아지면 포도당의 일부가 혈색소에 결합하게 되고 이것을 당화혈색소라 합니다.

 

 

외래진료시 혈당검사만으로는 평균적인 혈당조절의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수 없습니다.
그러나 당화혈색소는 적혈구가 포도당에 노출된 기간과 혈중 포도당 농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과거 6~10주 동안의 평균혈당 조절 상태를 반영합니다.
정상인의 당화혈색소 범위는 4~6% 인데 혈당조절이 아주 안되는 경우는 10~12%에 이릅니다.

 

 

2)당화혈색소(HbAlc)는 무엇을 측정하는 것입니까?
당화혈색소 검사는 헤모글로빈에 붙은당의 양으로 측정합니다.혈액속에 당이 많으면 많을수록 헤모글로빈에 달라붙는 당도 더 많아 집니다. 외래에서는 2~3개월에 한번씩 채혈검사를 통하여 측정하게 됩니다.

당화혈색소-당뇨관리에 혈당보다 중요

당뇨병 환자는 반드시 1년에 3~4차례 당화혈색소 검사를 받아야 하며 치료3~6개월 이내에 목표한 만큼 당화혈색소 수치가 떨어지지 않으며 곧바로 다음 단계 치료를 해야 한다는 당뇨병 관리.치료 원칙이 정해졌다.

 

 

 

3)당화혈색소(HbAlc) 수치를 1% 줄이면?
당화혈색소 최근 수개월동안의 혈당조절 상태를 알려준다.
즉 당화혈색소 수치가 양호하게 변화되었다면 그것은 최근 수 개월동안(90일간) 당뇨관리를 잘했다는 지표이다.선진국에서는 당뇨관리에 있어 중요한 지표로 당화혈색소를 관리 하고 있다.

 

당화혈색소 정상화, 소요시간


당화혈색소 수치는 과거 3개월 혈당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정상은 5.6%이하이다.
그렇지만 당뇨병 환자는 목표를 6%이하가 되도록 하면 된다. 최근 영국에서 행한 대규모 시설의 임상실험(UKPDS)에 의하면 당화혈색소(HbAlc)를 1% 내리면 아래에 나타나듯이 모든 위험률이 현저히 저하된다. 당뇨병에 관련된 사망률은 25%나 저하되고 , 당뇨병의 합병증인 모세혈관장애(당뇨병성 신승,당뇨병성 망막증,당뇨병성 신경장애)를 35%나 저하시킨다.

 

당화혈색소 수치를 1% 낮추면 미세 혈관병증은 37%,심근경색은 14% 감소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따라서 당뇨 환자는 무엇보다고 당화혈색소(HbAlc)를 개선하고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해 당화혈색소(HbAlc)의 수치를 줄여 당뇨개선에 노력해야 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