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제주도 날씨 개황> 기온 급락 낮 최고 2~4도
제주도와 이어도는 구름 많겠습니다.
제주도 전해상에 풍랑예비특보(8일 아침)입니다.
해상에는 바람이 매우 강하고 물결도 높겠습니다.
오후부터 다시 눈(강수확률 60~80%)이 오겠습니다.
낮 최고기온은 제주 2도, 서귀포 4도 등 2도~ 4도입니다.
아침 최저기온은 제주 2도, 서귀포 3도 등 1도~3도입니다.
예상 강수량(8일 00시~9일 24시)은 제주도 5~20mm.입니다.
중국 북동내륙에서 발원한 황사가 북풍을 따라 남하하겠습니다.
새벽부터 북쪽에서 차가운 공기로 기온이 크게 떨어져 춥겠습니다.
중국 북부에서 확장하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점차 받겠습니다.
미세먼지 예보에 제주권은 보통 또는 일시적으로 나쁨이 있겠습니다.
제주도는 흐리고 새벽 한때 비 또는 눈(강수확률 60%)이 오겠습니다.
제주도산간과 제주도서부·북부지역에는 강풍예비특보(8일 아침)입니다.
바다 물결은 제주도전해상과 남해서부먼바다에서 2.0~5.0m로 일겠습니다.
예상 적설(8일 00시~9일 24시)은 제주도산간 5~20cm, 제주도(산간 제외).
월요일(9일) 구름많고 눈(강수확률 60~80%)이 오다가 오후에 그치겠습니다.
바다의 물결은 제주도전해상과 남해서부먼바다에서 1.0~2.5m로 일겠습니다.
산간에는 많은 눈이 쌓이겠고, 해안가에도 눈이 내려 쌓이는 곳이 있겠습니다.
<8일 전국날씨개황>
황사의 영향을 받겠습니다.
서해 5도에 강풍특보입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파가 있겠습니다.
전남북과 제주도에는 구름이 많겠습니다.
강추위는 다음 주 화요일부터 풀리겠습니다.
서울 기준으로는 올해 들어 가장 춥겠습니다.
서해중부먼바다에 풍랑특보(19시 발효)입니다.
바람까지 강하게 불어 더 춥게 느껴지겠습니다.
해상에 바람이 강하고 물결이 매우 높겠습니다.
일요일(8일) 아침에 -11도까지 떨어지겠습니다.
바람도 강하여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 춥겠습니다.
내일 아침 서울이 영하 12도까지 떨어지겠습니다.
전남북 서해안과 제주도에는 1∼3㎝이 쌓이겠습니다.
남해 동부 앞바다의 물결은 1.0∼2.0m로 일겠습니다.
인천과 경기 북부, 강원 내륙 등에 한파주의보입니다.
경남과 제주를 뺀 전국 대부분이 영하에 머물겠습니다.
북쪽의 차가운 대륙 고기압이 빠른 속도로 내려오고요,
한반도 남쪽에 머물던 따뜻한 공기가 빠져나가겠습니다.
전남 내륙과 서해 5도에서는 1㎝ 내외의 눈이 예상됩니다.
북서쪽의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큰 폭으로 떨어지겠습니다.
바다의 물결은 서해중부전해상에서 1.5~4.0m로 일겠습니다.
제주도는 가끔 눈 또는 비(강수확률 60∼80%)가 오겠습니다.
강한 기압 경도(차이)가 유지되면서 바람이 강하게 불겠습니다.
미세먼지 예보에 강원영서는 나쁨, 그 밖의 권역은 보통입니다.
전남남해안과 경남해안 일부 지역에 건조특보가 발효 중입니다.
중국 북동지역에서 발원한 황사는 북풍을 타고 남하하겠습니다.
아침 서울은 영하 11도, 철원은 영하 14도까지 떨어지겠습니다.
전남북 서해안과 제주도에는 눈이 내려 쌓이는 곳이 있겠습니다.
8일 오전까지 서해안을 중심으로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겠습니다.
서해 도서를 중심으로, 일부 서해안에도 옅은 황사가 나타나겠습니다.
중국 북부지방에서 확장하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점차 받겠습니다.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14도∼영하 1도, 낮 최고기온은 영하 6도∼영상 2도.
전남북 서해안은 아침부터 늦은 오후 사이 눈(강수확률 60∼70%) 있습니다.
미세먼지(PM10)는 전 권역에서 '보통'(일평균 31∼80㎍/㎥)으로 예상됩니다.
9일까지 예상 적설량은 제주 산간과 울릉도·독도에서 5∼20㎝가 되겠습니다.
중국 북부 지방에서 남동쪽으로 이동하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겠습니다.
바다의 물결은 남해 동부 앞바다를 제외한 전 해상에서 2.0∼6.0m로 높겠습니다.
충청권, 호남권의 미세먼지는 황사의 영향으로 오전 '나쁨'(일평균 81∼120㎍/㎥).
서해남부와 서해중부의 먼바다, 충남남부와 충남북부의 앞바다에 풍랑주의보입니다.
경기북부와 강원영서, 강원산간, 충북북부, 경북북부에 한파특보(8일 00시 발효)입니다.
다음은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 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 오후 강수 확률>
▲ 광주 :[구름 많고 한때 눈, 구름 많고 한때 눈] (-5∼-3) <60, 60>
▲ 제주 :[흐리고 한때 비/눈, 구름 많고 눈] (2∼2) <60, 80>
▲ 전주 :[구름 많음, 구름 조금] (-6 ∼ -3) <20, 10>
▲ 대전 : [맑음, 구름 조금] (-8 ∼ -4) <0, 10>
▲ 세종 :[맑음, 구름 조금] (-9 ∼ -5) <0, 10>
▲ 부산 :[구름 조금, 맑음] (-1 ∼ 2) <10, 0>
▲ 울산 :[구름 조금, 맑음] (-2∼ 1) <10, 0>
▲ 창원 :[구름 조금, 맑음] (-2∼1) <10, 0>
▲ 서울 :[맑음, 맑음] (-11 ∼ -6) <0, 0>
▲ 인천 :[맑음, 맑음] (-10 ∼ -5) <0, 0>
▲ 수원 : [맑음, 맑음] (-11∼ -5) <0, 0>
▲ 춘천 :[맑음, 맑음] (-12∼-4) <0, 0>
▲ 강릉 :[맑음, 맑음] (-4∼-1) <0, 0>
▲ 청주 :[맑음, 맑음] (-9∼-4) <0, 0>
▲ 대구 :[맑음, 맑음] (-4∼-1) <0, 0>
오늘의 코디...
<여성> 여성스러운 연출로 부드러운 분위기를 내어보세요~^^ 원피스와 니트 가디건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어, 성숙한 여성미의 인상을 주는 동시에 럭셔리함을 주어 오늘같은 날 더욱 돋보이게 해 줄 아이템입니다.
<남성> 오늘은 심플하고 간정한 코디가 어울릴 것 같네요. 코튼소재의 블랙상의에 하얀팬츠로 배색코디를 해 보시구요. 포인트로 얇은 형태의 스카프를 이용하시면 흐린 날씨지만 밝은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하답니다. 젊은 층은 레더 자켓의 터프함과 모직 팬츠와의 감각적인 만남으로 인상을 줘보세요.
원색의 컬러풀한 셔츠, 브이넥 니트로 레이어드하시면 오늘같이 흐린 날씨에 화려함이 더욱 돋보이게 코디가 될 거예요.
오늘의 역사 2월 8일 음력: 12월 20일
<사망>
2008년 동국대 명예교수 목정배 박사 별세, 수77세. 한국불교학회 회장 역임.
2007년 전 플레이보이잡지 모델 안나 니콜 스미스, 호텔서 돌연사
2001년 연극 `품바`의 작가 겸 연출가 김시라 타계
1998년 노벨문학상 수상한 할도르 락스네스 사망
1996년 `비날론` 개발한 월북 화학자 이승기 박사 사망
1982년 동경 뉴저팬호텔 화재, 한국인 8명 사망
1963년 이라크 군부 쿠데타, 카셈수상 피살
1944년 이두-향가 연구의 개척자인 일본의 오구라 신페이 사망
1924년 미국에서 최초의 독가스 사형 집행
1856년 이탈리아의 세균학의 창시자 바시 사망
1725년 러시아의 차르, 황제 표트르 1세 사망
1587년 스코틀랜드의 메리, 잉글랜드에서 참수
1572년 조선 중기의 사상가 남명 조식 선생 타계
1452년 황희 타계
<출생>
1931년 미국 영화배우 제임스 딘 출생
1883년 미국 경제학자 슘페터 출생
1877년 청, 주영공사관 설치
1874년 조선조 마지막 왕 순종 출생
1828년 프랑스 작가 베른 출생
1819년 영국 비평가 존 러스킨 출생
1612년 `휴디브라스 Hudibras`로 유명한 영국의 시인 새뮤얼 버틀러 출생
<사건>
2011년 제주고등학교 제100회 졸업식.
2010년 뉴올리언스 세인츠(NFL), 창단 후 첫 우승
2003년 요미우리(讀賣) 신문, 중국이 다탄두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다고 보도
2003년 제10차 로또복권 추첨 결과, `1등 당첨금 835억원`에 13명 당첨
2001년 조선일보 등 중앙언론사에 대한 세무조사 시작
1992년 통일국민당 창당(대표최고위원 정주영)
1989년 남북고위급회담을 위한 첫 예비회담
1988년 서울대 민병구 박사, 국내 첫 인공심장 개발
1987년 김만철 일가 귀순
1985년 김대중 2년3개월 만에 미국에서 귀국
1984년 제14회 동계올림픽 개막(유고 사라예보)
1979년 홍성에 지진 발생 1973년 모자보건법 공포
1962년 미국 국무성 월남에 군사원조사령부 설치 발표
1961년 한미경제원조협정 조인
1955년 소련 수상 말렌코프 실각 후임에 불가닌 취임
1948년 북한, 조선인민군 창설 선포
1946년 독립촉성회와 반탁운동위원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로 통합(총재 이승만)
1946년 평양에서 북조선인민위 발족
1944년 일제, 한국인에 전면 징용제 실시
1928년 질식성, 독성 또는 기타 가스 및 세균학적 전쟁수단의 전시사용 금지에 관한 의정서, 국제적으로 발효
1919년 ‘2ㆍ8독립선언’
1906년 런던트리뷴지, `을사조약은 고종의 재가를 받지 않았고 고종은 포로신세`라는 기사와 함께 을사조약 체결경위와 고종이 전달한 밀서를 번역 게재
1904년 일본이 중국 여순항에 정박중인 러시아 함대를 기습공격, 러일전쟁 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