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ton Feldman- Turfan Fragments (1980), part 1/3
https://www.youtube.com/watch?v=e49qbrz1sZU
국립중앙박물관의 아스타나 전은 현장을 탐방하더라도 확인이 어려운 귀중한 유물들이 전시된다. 불과 몇 기만 개방된 무덤군에서 총체적인 결론이나 한민족의 원형정신과 잇대일 수 있는 접점을 찾기 어려울 때라도 일반화한 가설의 가능성이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스타나 고분에는 고구려벽화의 견우직녀도나 조선민화의 삼국지그림을 연상케하는 그림들이 보인다. 캐리커튜어를 연상케하는 그림은 같은 밑그림에서 그려진 두 개의 그림처럼 보이기도 한다. 오늘날 한국에서 무속화라 부르는 그림들과 나란히 놓고 보면 짙은 친연관계를 짐작케 하는 그림들도 발견된다.
아스타나는 아라비아어로 도시 혹은 수도라는 뜻이란다. 고분군에서 본다면 죽은 자들의 도시가 될 것이다. 그 도시의 시민들은 9세기에 이주한 몽골족이라 전해진다. 그러하기에 중국에 의해 중국화하기 이전의 문화에서 특히 신화와 원형의 공감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stana Exhibi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isplays valuable relics that are difficult to identify even when visiting the site. It seems that the possibility of a generalized hypothesis can be derived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find an overall conclusion. Or a point of contact that can be connected with the Korean archetype in the tomb groups that have only been opened for a few tomb sites.
In the Astana tombs, there are paintings reminiscent of Goguryeo mural paintings of Dabih & Vega or Minhwa the Joseon folk paintings. A picture reminiscent of a caricature may look like two pictures drawn from the same sketch. If they are juxtaposed with the paintings called shamanic paintings in Korea today, it is expected to find paintings that suggest a close relationship.
Astana is said to be meant a noun to mean city or capital in Arabic. Viewed from the ancient tombs, it will be a city of the dead. The city's citizens are said to be Mongols who migrated in the 9th century. Therefore, we can find sympathy between myths and archetypes, especially in cultures pre-sinicized by China.
Morton Feldman- Turfan Fragments (1980), part 1/3
https://www.youtube.com/watch?v=e49qbrz1sZ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