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브리핑실에서 박건호 서울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가운데)이 자율형사립고 재지정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서울시교육청의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재지정 평가에서 13곳 중 8곳이 무더기 탈락했다. 전주 상산고 탈락에 이어 좌파 교육감들의 자사고 폐지 유도 의혹이 제기된다.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은 9일 경희고, 배재고, 세화고, 숭문고, 신일고, 이대부고, 중앙고, 한대부고 등 8개교의 경우 재지정 평가 결과 기준점수인 70점에 미달했다고 밝혔다.
평가 결과 최고점을 받은 학교는 80점대였으며 대부분 60~70점대에 분포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대부고는 2014년에는 재지정 평가를 통과했으나 이번에는 탈락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평가에서 탈락한 자사고 8개교를 대상으로 오는 22일~24일 청문을 거쳐 교육부에 지정 취소 동의를 신청할 예정이다. 교육부가 동의할 경우 내년(2020년)부터 일반고로 전환된다. 단 현재 재학생들은 졸업때까지 자사고 교육을 받게 된다.
13개교 중 전국단위 선발 하나고와 가톨릭 재단 동성고를 포함해 이화여고, 중동고, 한가람고 등 5개교는 자사고 지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일각에서는 서울시교육청이 고의적으로 자사고 대거 탈락을 유도했다고 보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재지정 평가 과정에서 교육청 자체 감사를 통해 최대 12점까지 감점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자사고 관계자들은 교육청 자체 감사 결과가 재지정 당락을 가를 우려가 있다고 지적해왔다.
평가 결과 최고점을 받은 학교는 80점대였으며 대부분 60~70점대에 분포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대부고는 2014년에는 재지정 평가를 통과했으나 이번에는 탈락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평가에서 탈락한 자사고 8개교를 대상으로 오는 22일~24일 청문을 거쳐 교육부에 지정 취소 동의를 신청할 예정이다. 교육부가 동의할 경우 내년(2020년)부터 일반고로 전환된다. 단 현재 재학생들은 졸업때까지 자사고 교육을 받게 된다.
13개교 중 전국단위 선발 하나고와 가톨릭 재단 동성고를 포함해 이화여고, 중동고, 한가람고 등 5개교는 자사고 지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일각에서는 서울시교육청이 고의적으로 자사고 대거 탈락을 유도했다고 보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재지정 평가 과정에서 교육청 자체 감사를 통해 최대 12점까지 감점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자사고 관계자들은 교육청 자체 감사 결과가 재지정 당락을 가를 우려가 있다고 지적해왔다.
![]() |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사진=뉴시스 |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은 이번 자사고 운영평가와 관련해 "경쟁 위주의 고교교육과 서열화된 고교체제의 정상화를 위한 새로운 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밝혔다. 조희연 교육감은 전북 상산고를 자사고 지정에서 탈락시킨 장본인인 김승환 전북도 교육감과 함께 대표적인 '좌파 교육감'을 꼽힌다.
한편 교육부는 지난달 해당 교육청에서 재지정 탈락을 결정한 전북 상산고와 경기 동산고 등에 대해 이달 내에 동의 여부를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