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능해한(雨能解旱)
雨 : 비 우
能 : 능할 능
解 : 풀 해
旱 : 가뭄 한
비가 능히 가뭄을 해결할 수 있다
주역(周易) 등의 책에서는 이 세상의 삼라만상(森羅萬象)을
음양(陰陽)의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본다.
대표적인 음양구조가 하늘과 땅(天地),
남자와 여자(男女), 낮과 밤(晝夜), 불과 물(火水) 등이다.
한의학 등에서는 모든 약재(藥材), 음식,
신체의 모든 장기(臟器)까지도 음양으로 구분해 놨다.
이 음양의 구조는 대립관계가 아니고,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대대(對待)관계이다.
서로 다르면서 한쪽만으로 존재할 수가 없고,
서로가 서로에게 작용해서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이다.
하늘만 있고 땅이 없으면, 하늘의 존재 가치가 없고,
땅만 있고 하늘이 없어도 땅의 존재가치가 없다.
하늘에서 땅으로 내리는 것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햇볕과 비다.
햇볕은 열과 빛을 보내어
이 세상을 밝고 따뜻하게 해 준다.
비는 모든 만물이 수분을 흡수하여 자라게 하고
열에 의해서 지나치게 더워진 것을 식혀준다.
모든 만물이 이 두 가지 때문에 나고 자라게 된다.
해만 있고 비가 없어도 안 되고
비만 있고 해가 없어도 안 된다.
이 두 가지가 잘 균형을 이루어
적절하게 되어야 사람이 살 수 있다.
이 지구상에서 두 가지의 균형이
깨어진 것이 가뭄과 홍수다.
사람들은 하늘에서 내리는 비만으로는
가뭄을 해소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보(洑)를 막고
저수지를 만들어 물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아득한 옛날 5000년 전부터
이집트에서 저수지를 만들기 시작했고
동양에서는 2300년 전 전국시대(戰國時代) 진(秦)나라 때
양자강(揚子江) 상류에 도강언(都江堰)이라는
댐을 만들어 강물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 백제시대 만든 저수지인
김제(金堤)의 벽골제(碧骨堤)가 그대로 남아 있다.
우리나라는1960년 이후 박정희(朴正熙) 대통령 때부터
대형 댐과 저수지를 많이 만들어 지금은 농토가
거의 전천후(全天候)로 되어 가뭄의 피해가 많이 줄었다.
해방 후 만 해도 댐이나 대형 저수지가 거의 없어,
가뭄이 심하면 군수, 면장 등이
여기저기서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
봉천답(奉天畓), 천수답(天水沓)이라 해서
하늘에서 내리는 비의 힘으로 농사를 짓는 논이 많았다.
조금만 가물어도 논바닥이 갈라지고, 벼가 말라 비틀어졌다.
댐이나 저수지도 오래 가물면 다 말라 버린다.
결국 가뭄을 해소하는 방법은 하늘에서 내리는 비가 최고다.
지구를 파괴하다 보니 이상 기후가 갈수록 더 심해져 간다.
우리나라도 작년 9월 이후 비다운 비가 한 번도 안 내려
가뭄의 피해가 아주 심했는데,
다행히 7월부터에 비가 내려 충분히 가뭄이 해소되었다.
이 세상이 잘 돌아가는 것은 음양의 조화부터 해서
모든 것의 조화가 중요하다.
-옮긴 글-
첫댓글 雨能解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