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꺼번에하면 좋을텐데...


묘소가 아담하지요..욕심이없는 사람이라 그런가봅니다


한려수도도 보이구요..


꽃도 활짝 피었습니다





팔각정에서 쉬었다 가라합니다



미륵산 정상도 보이는 참 좋은곳이죠...

저 만치 한려수도를 바라보며...




케이블카는 열심히 사람들을 실어나르고 ..


통영 항과 시가지가 한눈에..한 폭의 그림같지요...


엄청난 사람들이 이용 하시는군요..

참으로 대단한 거북선

통영교가 넘 멋져요..

의령에는 소 싸움이....

휴식을 취하고 있나봅니다

하얀 철쭉꽃처럼 언제나 하얀마음으로 살수있으면 좋겠습니다
박경리(朴景利,
음력 1926년 10월 28일/양력 1926년 12월 2일 ~ 2008년 5월 5일,경남 통영)는
대한민국의 여류 소설가로, 본명은 금이(今伊). 종교는 천주교이며, 대하소설 《토지》가 대표작이며
이 외에도《김약국의 딸들》, 《불신시대》 등 많은 작품이 있다. 2007년 7월말 폐암이 발견됐으나
고령을 이유로 치료를 거부하였다.
하지만 병세가 악화되어, 2008년 4월 4일 뇌졸중 증세까지 나타나
서울아산병원에 입원하였다. 입원 후 의식불명 상태에 빠져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다,
2008년 5월 5일 오후 2시 45분 경 숨을 거뒀다 .
대한민국 정부는 박경리의 사망 직후,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하기로 결정하였다
박경리는 1969년부터 1994년까지 25년간 대하소설 《토지》를 집필하였다.
박경리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이 소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호평을 받았으며,
1979년과 1984년에 각각 한국방송공사에서, 2004년에 SBS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그녀가 1980년부터 1994년 8월 15일까지 원주시 옛집에서 《토지》를 지은 일을 기념하기 위해
강원도 원주시 단구동에 토지문학공원이 조성되었고,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에 있는 토지 문화관에서 집필생활을 하였다
가족 관계
남편 김행도는 1950년 한국전쟁 당시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 납북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와의 사이에 외동딸 김영주를 두었다. 김영주는 1973년 시인 김지하와 결혼하였으며
현재 원주시의 토지문화관 관장직을 맡고 있다합니다
그런데 왠일인지 묘소에는 가족은 없는것같이 해 두었네요
첫댓글 통영에서 태어나신 고 박경리 선생님은 미륵산과 한려수도를 바라볼수있어 외롭지는 않으실테지요....미륵산 참 좋은듯합니다 주말
겁게 보내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한번가볼께요 외롭지 않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좋은곳에 다녀오셨네요~전망이 참~좋습니다. 박경리님! 하동인줄 알고 있는데 아리송하네요~즐감하고 갑니다.
가보고 싶었던 통영... 아름다운 사진과 함께 고운님의 정보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장 가까운 박경리 선생님의 토지 문학관이라도 아이와 손잡고 다녀와야겠습니다. 고운 주말 되시어요.~~ 저의 카페에 담아가겠습니다.
다시한번 고인의 명복을 빌어보면서 고인의 유작들을 보았다는 것에 자부심과 감사함을 전합니다. 사진도 음악도 어울리는 곳에 잠시 머물고 사색에 잠겨봅니다.
철쭉사랑님 좋은곳에 다녀오셨네요
감사합니다
박경리 선생님의 토지를 너무 감명있게 보고 
의 여성의 긍지를 갖게한 분이십니다
^,^
어머 박경리 선생님의 묘지와묘비를 뵙게 되니 너무나 반가운 마음이 들어요 ^^ 산과 바다가 보이는 호젓한 곳에 몸을 뉘이고 계시니 참으로 편안하실거 같아요.. 토지의 마직막 구절이 생각이 나는데요. 땅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머물다 가는거라고... 너무나 멋진말씀이 아닌가 합니다. 경리선생님의 명복을 다시한번 빌면서 글을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박경리님 소식에 잠시머물다 어릴적에 흑백tv앞에서토지를 시청하든기억이.....ㄳ합니다.
소중한 자료들 넘감사합니다
존경하는 고 박경리선생님 묘소 사진 소중히 제 블로거에 모셔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