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6월 30일 F-4EJ 기의 6번째 부대로 신편
1989년 F-4EJ의 개량 기체인 F-4EJ 改 기로 개편
1997년 3월 18일, F-15J/DJ 전투기로 개편
제 303 비행대
1976년 10월 26일 F-4EJ 전투기 부대로 편성
1987년 12월 1일 F-4EJ에서 F-15J로 개편


F-15J/DJ 업그레이드
크게 MSIP 기 (J × 53 기 : 899 - 965, DJ × 36 기 : 063 - 098)를 대상으로 한 현대화 계획과
Pre-MSIP 재래기를 대상으로 한 현대화 계획으로 나뉜다.
MSIP (Multi-Stage Improvement Programme)
MSIP 기의 개량
4개 비행대 88 대를 대상으로 실시
레이더를 기존의 APG-63에서 APG-63(V)1으로 전환
중앙 컴퓨터: 록히드 社 VHSIC (Very High Speed Integrated Computer)
AAM-4B의 운용 능력 획득
통신 장비에 대한 전파 방해 대처 기능 추가
전투기 탑재형 IRST (Infrared Search and Track)
HMD 탑재에 의한 AAM-5의 전체 운용 능력 획득
전술 데이터 교환 시스템 단말기 FDL : MIDS-LVT (3) 탑재
통합 전자전 시스템 탑재, 채프·플레어 디스펜서는 AN/ALE-45J에서 AN/ALE-47로 전환
NVG (Night Vision Goggle)
JHMCS (Joint Helmet Mounted Cueing System) 또는 일제 HMS 의 탑재
IFF (APX-114?)
BAE 社 ALE-47
FDL (Fighter Data Link)
EGI (Embeded GPS Internal)
HPWS (고압 제습 장치 : High Pressure Water Swparater)
75KVA 발전기
사출 좌석 개량
F-15J 62-8958 이후 기체 J/APQ-1 후방 경계 레이더를 추가 장착
F-15J 42-8944, F-15DJ 52-8088 이후 기체는 향상된 F100-IHI-220E 엔진 장착



AAM-4 (99식 공대공 유도탄)
전장: 3,667 mm
직경: 203 mm
전폭: 800 mm
무게: 222 kg
유도: 관성·지령, 종말 ARH
사정거리: 100 km (AAM-4), 120km (AAM-4B)
비행속도: Mach 4 - 5




Pre-MSIP 기의 개량
막대한 기간과 비용 때문에 Pre-MSIP기에는 J-MSIP기와 같은 대폭적인 개량을 실시하지 않을 예정이지만,
디지털 통신 시스템 JDCS (F)을 탑재하고 J-MSIP기와 마찬가지로 전투기 간 및 자동 경계 관제 시스템 (JADGE)과의
데이터 링크를 제공할 계획.
향후
MSIP 기 업그레이드를 중심으로 한 개수를 단계적으로 실시하고, 최종 전투 능력은 제 5세대 전투기에 대항 할 수 있는 능력을
목표로 한다. 기체 수명에 관해서는, 항공자위대의 연간 비행시간을 생각하면 초기 생산 분의 기체가 2025년 기본 수명인
8,000 비행시간에 달해 퇴역 시기가 되지만, 미 공군의 C/D 형의 일부가 8,000 시간을 초과해도 운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8,000 시간에서 10,000 시간까지 연장되었다. 파생형인 J/DJ 형에도 같은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최종 퇴역 시기는 2032년 경. 그러나 퇴역시기 등에 관한 공식적인 발표는 없었다.


출처 http://bemil.chosun.com/
첫댓글 우리에게는 위협적이겠네요 공중급유기 도입하지....
'뭐, 저깟거 여차하면 탄도미사일하고 순항미사일로 싹 쓸어버리고 덤으로 특수부대까지 날뛰게 해주면...' 이라고 생각했는데 지형이 그냥 쌩 평지네요.
이러면 비트파고 숨어서 내려다보고 어쩌긴 영 글러먹은게 침투 자체가 어려워 보이는데.. 특수부대로 재미볼 지형은 아닌듯.
암튼 한국이 최근 타격능력이 비약적으로 좋아져서 옛날같이 일본측에게 낙관적인 전망만이 가능한 시절은 이미 지난지 오래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