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홍세화 선생 추모사를 쓴 어떤 사람이 "한겨레신문이 뿌띠 부르조아 신문으로 변질해서 한겨레와는 인연을 끊었지만 이번에 홍세화 선생 추모사 때문에 할 수 없이 한겨레신문에 글을 쓴다"는 말을 했다.
김누리 교수는 이번 논산지회 초청강연에서 "한겨레신문에 수년간 글을 써왔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었는데, Jtbc에 몇시간 방송했는데 엄청난 반응 때문에 놀랬다. 한겨레가 이렇게 영향력이 없는 줄 몰랐다."고 하였다.
벌써 십몇년전에 배** 선생이 논산에 근무할 때 "한겨레 논조가 마음에 안들어서 끊었다."라는 말을 했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고 초기에는 이른바 대깨문들에게 불매운동을 당하기도 했다. 민주당 적극 지지자들에게는 조중동과 똑같은 신문으로 취급당한다. 지금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게 어떤 비판이라도 할 량이면 엄청난 비난을 각오해야 한다. 보수세력은 그냥 나두기라도 하지만 아예 신문을 폐간시키겠다고 설치는 사람들은 다 민주당 적극 지지층들이다.
별세전 홍세화 선생이 마지막 인터뷰를 한겨레신문과 가졌다. 여기서 홍세화 선생은 "<한겨레>독자는 민주시민인가 고객인가, 그 질문을 독자스스로 해쥤으면 좋겠어요. <한겨레> 구성원도 마찬가지고, 고객이 되면 내 취향이나 의견이 조금만 비틀어져도 '절독'을 말하잖아요. 그것은 고객화한 모습이에요. 민주시민이면 설령 나와 생각이 달라도 사회를 위해 올바른 건가 아닌가를 생각해볼 수 있죠...."라고 말했다.
언론의 사명은 모든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이다. 큰 권력을 가진 정권과 여당 뿐아니라 작은 권력을 가진 야당도 잘못했으면 비판하는 것이 언론의 숙명이다. 설령 어떤 일부가 마음에 들지않더라도 다른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는 신문이다. 한겨레신문은 진보에 가치를 둔 대중지이다.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그렇다고 좌우의 양쪽 독자가 이렇게 외면해서야 우리 사회가 진보적 가치를 추구하는데 무슨 도움이 될 까 생각해본다.
돌아가신 물뚝심송의 말을 다시 한 번 인용해야겠다.
"저널리즘을 지키고자 한다면, 그 저널리스트가 우리편에 유리한 얘기를 할 때에만 열광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비록 우리 편에는 불리한 내용이지만 그래도 사실에 입각한 보도를 하고 있다면 진지하게 들어줄 줄 아는 대중이 되어야 한다.
입에 단 소리만 받아들이는 대중이라면 제대로 된 저널리즘, 저널리스트를 가질 자격이 없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