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수사 ‘송구하다’ 발언에
이준석 “다시 탄핵의 강으로 가나”
‘대구 민란’, ‘120시간 노동’ 논란에
국민의힘 ”다급해지니 위기 자초”
대선 출마를 선언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0일 오후 대구 중구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에 마련된 예방접종센터를 방문해 시설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민심을 청취하겠다며 독자행보 중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잇따른 실언으로 논쟁을 부르고 있다. 지지율이 받쳐주는 ‘우량주’ 상태에서 입당하기를 기대하는 국민의힘으로서는 그의 ‘불안한 입’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21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에스비에스>(SBS) 토론에서 “‘님아 그 (탄핵의) 강에 빠지지 마오’ 제발 그랬으면 하는 생각이었는데 다시 그 강으로 들어가는 취지의 발언이 나왔다”며 “윤 전 총장이 장외에 있는 이유는 보수 진영에 무언가를 더하기 위해, 중도 확장성을 위한 것이라는 게 공통 의견인데 그 발언은 저희 중에서도 오른쪽으로 간다. 방향성에 대해 혼란이 있는 것 아닌가”라고 우려를 표했다. 전날 대구 지역 인터뷰에서 “지역에서 배출한 대통령에 대한 수사 소추를 했던 것에 대해 섭섭하거나 비판적인 생각을 가진 분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마음속으로 송구한 부분도 없지 않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 수사 책임자로서 자세를 낮춘 윤 전 총장을 꼬집은 것이었다. 이 대표는 “윤 전 총장이 (박근혜 수사 등에 있어) 조금 더 자신감을 가졌으면 좋겠다. 고유한 색이나 가치를 잃지 않고 경선에 참여했으면 한다”고도 했다. 대구 민심에 호소하기 위한 윤 전 총장의 저자세가 오히려 정치적으로는 마이너스라는 일침이었다.
같은 날 윤 전 총장은 “(코로나19) 초기 확산이 대구 아니고 다른 지역이었다면 질서있는 처치나 진료가 안 되고 아마 민란부터 일어났을 거”라는 ‘대구 민란’ 발언은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구태라는 비판을 받았다. “게임 하나 개발하려면 주 52시간이 아니라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하고 이후에 마음껏 쉴 수 있어야 한다”는 인터뷰 발언도 과로사가 빈발하는 현실을 도외시한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벼락치기 대선 수업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흔들리는 야권 1위 주자의 행보에 국민의힘은 불안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윤 전 총장과 국민의힘 내부 주자들이 동반 상승세를 유지하며 입당이든 단일화를 통해 최고의 시너지를 내야 하는데 윤 전 총장의 하락은 야권 전반의 정권교체 동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지도부의 한 관계자는 “윤 전 총장은 처가 리스크보다 발언 리스크가 훨씬 더 파괴력이 있고 위험하다”며 “윤석열의 타격은 야권 전체의 타격이기도 하다. 국민의힘 지지율과 연계될 수 있는 만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국민의힘은 정치 경험 없는 시행착오를 톡톡히 치르고 있는 윤 전 총장을 어서 당으로 끌어들여야 그의 상품가치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어서 입당하라는 압박 수위를 높이는 이유다. 서병수 경선준비위원장은 이날 <한국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현재 지지율이 답보 내지는 하향 추세다. 추세를 결코 가볍게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튼튼하고 견고하게 만들어진 플랫폼을 두고 황야에서 떨고 있을 그런 이유는 없다”며 “윤석열 총장이 늦게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것을 고려해서 저희들이 경선 일정을 늦추고 당기고 할 수는 없는 입장”이라고 압박했다. 한 중진의원도 <한겨레>에 “리스크가 더 커지기 전에 당의 지원과 보호를 받는 게 현명한 전략”이라며 “다급해지니 발언이 거칠어지고 그래서 더 위기를 자초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