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三國志) - 99회 - 조조(曹操)의 회유(懷柔)와 진궁(陳宮)의 의각지세(倚角之勢) -
초선(貂蟬)이 여포(呂布)의 갑옷을 챙겨주며 말한다. "장군, 공대(公臺 : 진궁의 字) 선생은 충심(忠心)으로 말씀하신 겁니다. 그러니 선생 말씀대로 하세요."
그러자 여포(呂布)가 퉁기듯 말한다. "진궁(陳宮)의 충심은 알지만 너무 오만방자(傲慢放恣) 하오!" 하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초선(貂蟬)이, "장군(將軍)은요? 장군은 그렇지 않나요? 소첩(小妾)이 알기엔 세상(世上)에서 가장 오만(傲慢)한 사람은 장군이신 줄 알았는데요..." 하고 수줍은 듯 살짝 고개를 숙이며 말하는 것이 아닌가?
그리고 이어서, "장군, 생각해 보세요. 전에 진규(陳珪) 부자(父子)가 장군께 얼마나 겸손((謙遜)했습니까? 그런 겸손 속에 간사(奸詐)함이 있었잖아요?"
그러자 초선(貂蟬)의 말을 가만히 듣던 여포가 두 눈을 꿈쩍이며 말한다. "당신(當身) 말이 맞소! 진궁(陳宮)에게 부끄럽군."
그러자 초선(貂蟬)이 아름다운 자태(姿態)를 살랑살랑 흔들며, "용맹(勇猛)함에 있어서는 장군(將軍)이 천하무적(天下無敵)이고 지략(智略)에 있어서는 공대(公臺) 선생에게 비하면 장군은 어린애에 불과(不過)해요. 됐어요. 얼른 가셔서 공대 선생과 어떻게 하실지 상의하세요. 어서요!..."
"응!..."
잠시 후, 하비성 남문이 열리고 방천화극(方天畵戟)을 한 손에 꼬나 쥔 여포(呂布)가 사수 강(泗水江) 건너에 서 있는 조조(曹操)의 앞으로 말을 달려 나왔다. 그러자 망연히 기다리고 있던 조조가 여포를 향해 예를 표하며, "봉선! 반갑네, 반가워 ..." 하고, 부드러운 어조로 말을 건넸다. 그러자 여포가, "맹덕 형(孟德兄), 오랜만이오!" 하고 덤덤하게 대꾸하였다.
그러자 조조가 웃으며 말을 건넸다. "그렇군! 동탁(董卓) 승상무(丞相府)에서 본 게 마지막이었지? 오랜만에 보니 더 반갑구먼, 하하하!"
그러나 여포(呂布)는 적의(敵意)를 갖고 대꾸한다. "솔직(率直)히 말해 내게는 오만(五万)의 군사(軍事)와 백일(百日) 치(値)의 군량(軍糧)이 있소. 보다시피 하비성(下邳城)은 높이가 삼장(三丈)에 두께가 이 척(二尺), 삼면(三面)이 강(江)으로 둘러싸여 난공불락(難攻不落)이지."
그러자 조조(曹操)는 얼굴에 微少(微笑)를 잃지 않고 말한다. "봉선(奉先 : 여포(呂布)의 字)! 오늘은 그런 말을 듣자고 온 게 아니고 옛 정(情)을 생각해 회포(懷抱)를 풀려고 온 것이오!"
"회포(懷抱)?"
"그렇소! 나도 솔직(率直)히 말해주지 나는 천하(天下)의 제후(諸侯)들 중에 봉선(奉先) 자네 외에는 그 누구도 두렵지 않고 그 누구도 존경치 않지! 한 마디로 말해 이 조조(曹操)가 여포(呂布)를 경애(敬愛)한다는 거요!"
"진심(眞心)이오?"
"당연(當然)하지! 생각해 보시오. 동탁(董卓) 이후(以後), 원술(袁術), 원소(袁紹), 유표(劉表), 도겸(陶謙), 공손찬(公孫瓚) 등이 있지만 그 누구도 천하 통일(天下統)을 못 한 것이 무엇 때문이겠소? 그건 바로 여포(呂布)가 있었기 때문이오. 장군이 동탁(董卓)을 도울 때 동탁은 수도(首都)를 장악(掌握)했고 또 원술을 도울 때는 원술(袁術)이 황제(皇帝)를 칭(稱)하지 않았는가 말이야! 하하하... 유비(劉備)를 도울 때는 심지어 싸우지도 않고 서주(徐州를) 취(取)하지 않았소? 그래서 사람 중엔 여포(呂布), 말(馬) 중엔 적토(赤兔)!... 과언(過言) 허언(虛言)이 아니었소. 게다가 방천화극(方天畵戟)까지 가지고 있으니 천하무적(天下無敵)이라고 할 수 있지! .." 그러자 조조(曹操)의 칭찬(稱讚)에 으쓱해진 여포(呂布)가 뺀질 뺀질 웃으며, "그럼 물론이지!" 하고 의기양양(意氣揚揚)하게 대꾸하였다.
조조(曹操)의 말이 이어진다. "그것만 보더라도 장군(將軍)이 나를 돕게 된다면 이 조조(曹操)의 대업(大業) 달성(達成)이 쉬울 텐데 안타깝소. 여장군(呂將軍)이 요 몇 년 동안 동분서주(東奔西走)했지만 승패(勝敗)가 불분명(不分明)했고 행선지도 명확하지 않아서 각지 제후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지 하하하... 장군을 받아들이자니 성을 뺏길 것 같고 장군을 없애자니 도저히 힘으로는 못 당할 것 같단 말이야 안 그렇소?"
"그렇소, 맹덕형의 말이 맞소!"
"해서 나도 고민을 해 왔소. 우리 두 사람이 서로 죽기 살기로 싸우기보다는 모험을 하는 것이 어떤지? 그렇다면 어떤 모험을 하느냐? 우리가 동맹을 맺고 대업을 도모하는 거요. 우리 둘이 손을 잡으면 천하를 통일할 수 있소! 봉선! 잘 들으시오. 내가 가진 모든 군마를 넘기겠소. 장군이 삼군 대원수가 되어서 전투에 전념하고, 나는 군량과 무기를 제공하리다. 내가 싸움은 못 해도 지원은 잘 할 수 있소. 그게 이 조조의 장점이 아니겠나?"
그러자 여포가 호쾌하게 웃으며, "하하하!... 동탁이 그렇게만 했다면 벌써 황제가 됐을 거요."
"그럼, 그럼, 그럼... 옳은 말이오. 동탁(董卓)이 우둔(愚鈍)해서 장군(將軍)의 진가(眞價)를 몰라본 거지, 봉선(奉先)! 우리 화친(和親)합시다. 응?" 조조((曹操)는 매우 부드러운 어조(語調)로 말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말한다. "바로 이 앞, 우리 앞에 있는 사수변(泗水邊)에서 서로 피를 섞는 혈맹(血盟)을 맺고 결의형제(結義兄弟)가 되도록 합시다. 어떻소. 응?" 그러자 수세(守勢)에 몰린 여포(呂布)는 갈등(葛藤)을 한다. 그러자 성루(城樓)에서 두 사람의 대화(對話)를 지켜보던 진궁(陳宮)이, "조맹덕(曹孟德)! 아직 날 기억(記憶)하시오?" 하고 소리쳤다. 그러자 조조(曹操)가 손으로 햇빛을 가리며 소리가 난 성루(城樓)를 올려다본다.
"어, 어! 공대(公臺 : 진궁(陳宮)의 字) 형(兄) 아닌가? 그동안 내가 보고 싶어서 어떻게 지냈소? 그때 술 한잔 제대로 하지 못했는데..." 그러자 진궁(陳宮)이 소리친다. "술은 필요 없고 자~ 이거나 받으시게!" 하면서 화살 한 대를 조조(曹操)에게 쏘아 갈기는 것이었다.
"피융 ~..." 진궁(陳宮)이 쏜 화살은 조조(曹操)가 타고 있는 말의 발 앞에 꽂혔다.
그러자 말이 놀라며 요동(搖動)을 쳤다. "워~ 워! ~..." 이번에는 진궁(陳宮)이 여포(呂布)에게 소리쳤다. "봉선(奉先)! 어서 들어오시오. 어서!"
이렇게 사수 변(泗水邊)을 앞에 둔 두 사람의 대화는 진궁(陳宮)의 화살 한 대로 끝나고 말았다.
조조(曹操)는 군영(軍營)으로 돌아와, "괘씸하다, 괘씸해! 진궁(陳宮)이 화살만 쏘지 않았어도 그 멍청이가 넘어왔을 텐데 진궁이 훼방을 놓았구나. 내 이 자는 반드시 죽이고 말겠다!"
그러자 조인(曹仁)이 말한다. "주공(主公), 여포(呂布)가 버틴다면 강공(强攻)으로 밀어붙이시죠."
그러자 조조(曹操)가 고개를 가로저으며, "자네는 하비성(下邳城) 성곽(城郭)을 보지 못했나? 여포(呂布)가 말 한 것처럼 하비성은 난공불락(難攻不落)이야. 강공(强攻)을 하면 우리 피해(被害)가 막심(莫甚)할 것이야." 그러자 모사(謀士) 곽가(郭嘉)가, "주공(主公), 제게 비책(秘策)이 있습니다." 하고 말 문을 열었다.
"뭔가?"
"사수(泗水)를 이용(利用)하면 좋을 듯합니다."
그러자 그 말을 듣고 조인(曺仁 : 조조의 사촌)이 곽가(郭嘉)에게 물었다. "성(城)을 지키라고 있는 사수강(泗水江)을 어떻게 공격(攻擊)에 이용한단 말이오?" 그러자 조조(曹操)가 손을 들어 조인(曺仁)의 말을 막고 곽가(郭嘉)를 가리키면서 계속 말할 것을 표시(表示)하였다. 그러면서, "말해 보게."
"하비성(下邳城)을 둘러싸고 있는 사수강(泗水江)이 여포(呂布)에게 득(得)이 된다면 실(失)도 될 수 있습니다. 이제 곧 우기(雨期)가 다가옵니다." 그러면서 곽가(郭嘉)는 손에 들고 있는 주먹돌 하나를 그들의 발밑에 고인 물에 철썩 던져 넣었다. "음!.... 하늘이 돕는구나! " 조조(曹操)는 모사(謀士) 곽가(郭嘉)의 말과 행동(行動)에서 그가 하려는 말의 의미(意味)를 벌써 알아차렸다. 한편, 하비성(下邳城) 안에서는 여포(呂布)와 진궁(陳宮)이 한자리에서 조조군(曹操軍)을 맞아 싸울 전략(戰略)을 논의 (論議)하고 있었다. 진궁이 말한다. "조조군은 먼 길을 온 지라, 모두들 지금쯤은 지쳐있을 것이오. 두 달 이상만 우리가 버틴다면 철군(撤軍)할 수밖에 없지." 그러자 여포(呂布)가 염려(念慮)를 담아 묻는다. "성(城)을 공격(攻擊)하지는 않을까요?"
"물론 공격하려 할 것이오. 하지만 지금은 우기(雨期)라 움직이기보다는 비가 그치기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오. 이럽시다, 봉선(奉先 : 여포의 字)! 조조(曹操)가 잠시 숨을 고르고 있을 때, 장군이 철기(鐵器)를 이끌고 성(城) 밖에 고지대(高地帶)에 진영(陣營)을 구축(構築)하고 조조군이 성을 공격(攻擊)할 때에 그들의 뒤를 치고, 나는 성안에 남아 대항(對抗)하면, 의각지세(倚角之勢)를 형성(形成)할 수가 있소. 그리고 만약 조조가 장군을 치면, 이번에는 내가 조조군(曹操軍)의 후방(後方)을 치는 거요. 그러면 조조는 앞뒤로 둘러싸여 낭패(狼狽)를 겪게 될 것이오." 그러자 며포(呂布는) 고개를 끄덕이며, "좋은 생각이군요. 의각지세(倚角之勢 : 사슴을 잡을 때 사슴의 뒷발을 잡고 뿔을 잡는다는 뜻으로, 앞뒤에서 적을 몰아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선생(先生) 말씀대로 합시다."
"좋소! 지체(遲滯)하지 말고 지금 당장(當場) 시행施行)합시다." 진궁陳宮)은 이렇게 말하며 군사(軍事)들을 준비(準備)시키려고 밖으로 나갔다.
삼국지 - 100회로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