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는 하루의 염분 섭취를 6g으로 권장한다고 한다. 그런데 짜고 매운 음식을 즐기는 한국인은 13g을 먹는다 하여 건강을 생각하는 가정은 염분 줄이기에 비상이 되기도 한다.
이 세상에 소금보다 더 안전한 식품은 없다. 인체는 소금이 적당량을 넘으면 땀과 소변으로 배출하고 한도를 더욱 초과하여 견딜 수 없으면 설사로 한꺼번에 배설해버린다. 소금은 체내에 쌓이고 중독을 일으킬 사이도 없이 배설하지고, 소금이 부족하면 인체는 배설하지 않는다. 짜게 먹건 싱겁게 먹건 혈액의 염분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안전식품인 것이다.
그에 비하여 설탕은 그렇지 않다. 인체는 당도를 제어하는 장치가 없는데 그 이유는 설탕을 에너지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탕은 많이 먹을 수록 체내에 쌓이게 되고 에너지로 소비하지 않으면 비만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설탕은 비만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소금은 인체가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최고의 안전식품이다. 그런데도 소금을 많이 먹으면 안된다고 하는데 왜 그런 말이 나오게 되었는지 생각해보기로 한다.
1. 소금에는 불순물이 들어 있다.
소금을 볶으면 연기가 나고 색깔이 변하기도 하는데 이는 소금 속에 들어 있는 불순물이 불에 타기 때문이다. 소금은 기화할 뿐 타지 않는 광물이다. 소금은 흡착성이 강하여 소금의 30%에 이를 정도로 다량의 불순물이 들어 있다고 한다.
2. 가스가 들어 있다.
소금을 볶을 때 냄새가 독하게 나는 이유는 소금에 들어 있는 가스 때문이다. 소금에서 쓴 맛이 나는 것은 황산과 마그네슘이 주범이다. 나치가 유대인을 학살한 독가스는 소금에서 황산과 마그네슘을 추출한 것이었다고 한다.
3. 간수가 들어 있다.
소금 속에는 칼슘과 칼륨이 들어 있는데 이를 간수라고 한다. 간수는 두부를 만들 때 응고제로 사용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체내에서 피를 응고시키는 작용을 한다. 소금을 많이 먹으면 갈증이 일어나는데 그 이유는 인체가 소금의 간수를 희석시키고 씻어 내고 배출시키기 위해서다.
소금 속에는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소금을 많이 먹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소금을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을까?
옛 사람들은 소금을 가마니나 마대에 담아 3년 동안 묵힌 다음 볶아서 먹고, 두부를 흐르는 물에 담가 두었다가 먹기도 했다. 소금을 먹었을 때 생겨나는 갈증에서 착안하여 소금이 공기 중의 습기를 빨아들여 간수를 씻게 하고, 흐르는 물이 두부에 들어 있는 간수를 씻어내는 방법을 사용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여 소금은 섭취량 줄이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깨끗한 소금을 먹는가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소금은 안전한 식품이므로 깨끗한 소금은 인체가 허용하는 한 짜게 먹어도 되지만 깨끗하지 않은 소금은 짜게 먹어서는 안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소금은 다이어트에도 활용할 수도 있다. 설탕은 인체에서 이완작용을 하고 소금은 수축작용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불고기를 소금에 재워서 먹으면 위가 수축되어 많이 먹을 수 없지만 설탕으로 재우면 위장이 이완되고 늘어나기 때문에 많이 먹을 수밖에 없다. 다이어트에는 염분이 우군이고 당분이 적군에 해당하는 것이다.
소금의 수축작용은 미용에도 한 몫을 한다. 피부가 신축성을 갖게 되어 탄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소금은 피부를 젊고 건강하게 하지만 설탕은 피부를 늘어지게 하는 등 비만과 노화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체내에서 많은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 산모가 소금을 많이 섭취하면 태아가 작고 단단하게 되어 자연분만이 쉽지만 설탕을 많이 먹고 자란 태아는 체격이 커지게 되어 제왕절개로 낳을 수밖에 없고, 단단하지 못하고 물렁한 아이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소금과 과일을 섞어서 오래 두면 식초가 되고, 식초는 몸을 수축하게 되어 신진대사가 활발해진다. 설탕과 과일을 섞으면 술이 되고, 술은 인체를 해이하게 만들고 신진대사를 둔하게 한다. 소금과 식초는 신축 긴장 젊게 하지만 설탕과 술은 이완 노화시키고 주의력을 산만하게 한다.
그러므로 염분 섭취량을 줄여서 맛 없는 식사를 할 것이 아니라 깨끗한 소금을 입 맛대로 식사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고 소금을 많이 먹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보약도 많이 먹으면 독약이 될 수밖에 없듯이 소금도 나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깨끗한 소금을 위해서는 천일염에서 간수를 빼기 위해 굵은 소금 40-50kg을 구입하여 공기가 잘 통하는 공간에 3년 동안 묵혀서 사용해야 한다. 간수가 빠진 소금은 손바닥으로 쥐어도 잘 흘러내려 손바닥이 미끈하지만 그렇지 않은 소금은 손바닥에 들어붙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김치를 담그고 된장을 담글 때 사용하는 소금까지 볶아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해도 반찬과 찌게에 간을 맞추는 소금 정도는 후라이판으로 볶아 두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참고하기 바란다.
금빛산
첫댓글 감사합니다_()_
어릴때 두부를 물에 담가둔것을 봤네요.
그래서 였군요. 고맙습니다.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지장보살 ()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