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거골프 이론은 '인-아웃' 궤도가 정설이였지만 최근에는 백스윙 때의 궤도대로 다운스윙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으로 바뀌었다. '인-아웃' 스윙을 하면 왼쪽 사진처럼 오른쪽이 과도하게 오그라드는 단점이 있다. 오른쪽 사진이 바른 자세다. | |
|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러시앤캐시채리티클래식 우승자인 이승현(20 · 사진)은 상금랭킹 3위를 달리고 있다. 그는 "어떤 대회보다 메트라이프 · 한국경제 KLPGA챔피언십에서 우승하고 싶다"며 "선수라면 누구나 가장 영예로운 선수권대회에서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하고 싶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프로암에서 아마추어 골퍼들과 라운드할 때 가장 많이 조언하는 것은 슬라이스 퇴치 요령이다. 그는 "누구에게든 페이드나 드로 같은 자신만의 구질이 있게 마련인데 스윙이 나빠지면 페이드가 슬라이스로 드로가 훅으로 변한다"며 "아마추어의 대부분은 슬라이스로 고생하는데 슬라이스를 다시 페이드로 원상복귀시키는 방법을 많이 가르쳐주고 있다"고 얘기했다.
우선 슬라이스 원인부터 짚었다. "슬라이스가 나는 것은 백스윙 과정에서 스윙 경로가 일정하지 못해 볼을 임팩트할 때 클럽헤드가 열려 맞기 때문입니다. 이를 바로잡아야 슬라이스를 페이드 구질로 돌려놓을 수 있어요. "
백스윙과 다운스윙 경로에 대한 스윙 트렌드도 과거에 비해 많이 달라졌다고 한다. "예전에는 다운스윙을 할 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클럽을 내던지는 듯한 '인-아웃' 궤도로 스윙하는 것이 정설이었지만 최근에는 백스윙했던 궤도 그대로 다시 되돌아오도록 하는 스윙으로 변했어요. '인-아웃' 스윙은 다운스윙 과정에서 오른쪽이 오그라드는 듯한 형태를 취하는데 이런 스윙은 슬라이스가 날 가능성이 더 높죠."
그는 "피니시를 제대로 못한 채 임팩트 직후 스윙이 멈춰버려도 슬라이스가 난다"며 "이럴 때 대부분 체중이 뒤쪽에 남아있게 되는데 이를 고치려면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쪽으로 체중을 이동하면서 오른쪽 어깨까지 돌아줘야 한다"고 언급했다. 슬라이스를 막기 위해 몸보다 클럽이 빠르게 지나가도록 하는 느낌을 가져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