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chard Sanderson – Reality
리처드 샌더슨 - 선명한 꿈
Reality = Vivid Dream'현실=선명한 꿈'이라는 뜻으로,
꿈을 생생하게 상상하면 꿈이 현실로 이뤄진다는 공식입니다.
" Reality "는 프랑스 작곡가 블라디미르 코스마가 작곡하고 영국 가수 리처드 샌더슨이 부른 노래입니다 . 1980년 프랑스 여배우 소피 마르소 가 주연한 인기 프랑스 영화 라붐 의 사운드트랙 으로 발매되었습니다 .
"Reality"는 블라디미르 코스마 (제프 조던이라는 예명으로) 가 작곡하고 작사했으며 , 피에르 리샤르 뮐러가 프로듀싱한 발라드 입니다. 영화 라붐 에서는 (대개 배우들의 로맨틱한 장면에서) 자주 등장하며 영화의 메인 주제곡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982년 속편인 라붐 2 에서는 쿡 다 북스가 부른 "Your Eyes"로 메인 주제곡이 변경되었습니다 . "Reality"는 영화 후반부에 삽입된 "Go On Forever"(영화 라붐 사운드트랙의 또 다른 곡으로, 샌더슨과 샹탈 커티스가 부른 곡 )와 조성이 같기 때문에, 두 곡은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음악적으로 연결됩니다.
1980년부터 1982년 사이, 그리고 1987년 재발매 이후 "Reality"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핀란드, 스위스 등 15개국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유럽과 아시아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 노래는 Richard Sanderson을 스타덤에 올려놓았고, 그에게 Cosma와 함께 "Your Eyes", "She's a Lady", "Sun"과 같은 더 많은 히트곡을 선사했습니다.
"Reality"는 여러 아티스트가 여러 번 리메이크했는데, 그중 한 아티스트는 스페인어 버전("Mi realidad")을 불렀습니다. 아메리칸 아이돌 의 독일 버전인 DSDS 에서도 이 노래가 여러 번 불렸습니다.
이 곡은 2011년 한국 영화 ' 써니' 의 주제곡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버전
1980년대에 "Reality"는 유럽, 일본, 한국, 홍콩, 필리핀 등 여러 국가에서 단숨에 히트를 쳤습니다. 이 곡은 다양한 형태로 발매되었는데, 그중 일부는 리믹스나 매시업을 거쳐 샌더슨의 컴필레이션 앨범에 수록되거나 라디오 방송국에서 방송되기도 했습니다.
싱글 버전은 후렴구 두 번째 반복 부분에서 몇몇 구절이 생략되어 있고(" 어쩌면 내 어리석음은 지나갔고, 어쩌면 이제야 진짜가 어떻게 될 수 있는지 알게 된 건지도 몰라 "), 페이드 효과로 끝납니다. 이 버전은 1980년에서 1987년 사이에 발매된 싱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보통 라붐 의 다른 곡과 함께 발매됩니다. (대부분의 원곡은 B면에 카롤린 크루거 의 "Gotta Get a Move On"(Instrumental)이 수록되어 있었지만, "I Can't Swim"이나 "Swingin' Around"가 수록된 버전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리처드 샌더슨 베스트 앨범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
-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T5dnEKqOaHw
▣오늘의 덤은 아바의 공연 실황 영상
Abba in the Mix
ArmoniPlanet
Honey, Honey
3:05 - I Do, I do
6:31 - Fernando
10:38 - Chiquitita
16:17 - Mamma Mia
19:17 - SOS
21:20 - Knowing Me, Knowing You
24:26 - Money, Money
25:08 - Dancing Queen
28:51 - Take a Chance on Me
32:00 - The Winner Takes It All
37:00 - Voulez-Vous
42:58 - Gimme! Gimme!
46:12 - Super Trouper
49:32 - Does Your Mother Know
54:06 - Waterloo
56:52 - Thank You for the Music
https://www.youtube.com/watch?v=47CkXl8p4XQ
볼 일 좀 보고 다시 탈개
나 어지러워, 거기 서개
첫댓글
네...
오늘도 음악과 함께...
아구여
댕댕아 천재견의 체면이 구겨진다 ㅎㅎ
바라보는 내가 더 어지러워요.
아바는 영원한 우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