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70~71
Page Seq
페이지순서 에 대하여는 사용기 352번 메인페이지 설정에서
말씀드린바 처럼 가급적 간단히 하는것이 편리합니다..
위 그림은 저의 세팅예 입니다만 취향에 따라서 적절히 하십니다..
**다음 Map Page Setup 인데 사용기 354번과 같은 설정이므로
생략합니다..
**P 71 Routing 설정입니다..

- Guidance Method Setup
길안내 방식을 그때마다 선택할것인가(Prompted)..도로를 달릴것인가
(Follow Road)..산길등을 갈것인가(Off Road) 를 선택하는 것인데..
한글판수신기의경우 카네비겸용이 되므로 Prompted 로 하시면 좋고..
영문판 의경우 카네비가 안되므로 Off Road 로 세팅하시면 될겁니다..
-Follow Road Method Setup
위 Guidance Method 에서 Follow Road 를 선택 할경우에 루팅계산 방법을
빠른길로 할겄인가 짧은 길로 할것인가의 선택..
-Next Turn Pop Up Setup
커브길예고창 을 뜨게할것인가 안뜨게 할것인가..
카네비로 사용하시는 경우 On 하면 편리하죠..
_ Follow Road Options Setup
Follow Road 를 선택할경우에 루트이탈시 재계산여부(Off Route Recalculation)
및 루팅계산방법들,전용차로 선택을 위한 차종선택,루팅시 회피도로선택
등을 세팅합니다..
**Geocache Setup
보물찻기 옵션페이지 입니다..
Find 페이지(Find 보턴을 누르면 Find 페이지가 나옴)에 있는Geocache 페이지와
연동되는 옵션 페이지입니다..지오캐시 정보를 다운받아 입력시켜 놓고 지오캐싱
을 하는데 관리를 편리하게 할수있습니다..
이부분도 지오캐싱을 즐기시는 분이 사용기나 활용팁을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Marine Setup
해양세팅 페이지인데 이페이지에는 트랙백 항법에 중요하게 활용되는
Off Course Alame 을 세팅하는 기능이 있어 저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다른 체크항목은 불루차트(해도)와 관계되어 해양에서 사용되므로
체크할 필요가 없으나 두번째 Off Course 항목은 트랙백 항법에서
중요하게 활용하고 있읍니다..
저는 Off Course Alame 을 30미터(0.03Km)로 세팅합니다..
트레이스 하고있는 원 트랙에서 30미터 이상 벗어나면 경보(휘파람소리비퍼)
가 들리므로 이탈되었음을 알수 있었읍니다..
30미터루 세팅한 이유는 여러번의 시행착오끝에 산행에서 가장 적절 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입니다..20미터로 하면 경보가 너무 자주나고 40미터
이상으로하면 알바거리가 늘어나고 하더군요..
물론 원트랙의 정확도가 문제이긴하지만 저의경우 산행전 가급적 정확한 트랙을
미리 확보하거나 만들어서 업로드하려고 노력합니다..
트랙백 항법은 오차가 적은 정확한 트랙을 확보하는것이 관건입니다..
그렇게 준비되지 않을경우의 트랙백 항법은 오히려 혼란스러워서
도움이 되지못할것입니다..이점 꼭 기억하여야 할것입니다..
** Time Setup(P73)
시간 설정입니다..

위 그림은 저의 세팅방법입니다..
마지막 줄 Daylight Saving Time 은 옜날에 Summer Time 이라는
제도가 있었죠..하절기에 한시간을 당기는제도 인데 우리나라에서 는
페지된 제도입니다..
**Unit Setup
각종 단위 셋업으로서 기본이 되는 중요한 설정항목입니다 .

위 그림능 저의세팅 방법입니다..
포지션 포맷은 도분초 방식으로
맵데이텀을 WGS84 로 사용하고있습니다..그러나
지리원 발행 종이지도와 같이 사용하시는 분은 Tokyo 로 하시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Heading Setup (P75)
나침판과 방향에관한 세팅입니다..

- Display 세팅은 각종 방향 지시를 예로 북동,남서 와같은 방식
(Cardinal Letter)으로 할것이냐 도 방식(Degrees) 으로할것이냐
군에서 사용하는 Mils 방식으로 할것이냐를 세팅하는 기능인데
저의경우 카디날 레터방식이 편리하여 그렇게 세팅합니다..
-그다음 북방위 표시방식인데 저는 진북(True) 로 세팅합니다..
지도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상 별 문제가 없습니다..
_Switch to compass heading Setup (****중요함****)
산행용또는 도보용 으로 사용시 매우 중요항 세팅입니다..
수신기가 방향을 알려주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는 위성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1초마다 분석 계산하여
방향을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그런데 가던길을 멈출경우 위성으로부터 받은 신호는 동일
위치 이기 때문에 방향을 계산할수 없는 것이죠..
이때 방향확인을 위하여 몸을 움직여 거치된 수신기를 분리하여
보게되면 지금까지 계산되어 알려준 방향이 틀어지게됩니다..
이때를 위하여 준비된것이 내장된 전자나침판인데 위성신호 가 아니고
지자기 검출센서로서 방향을 알려줍니다..
그런데 위성신호에의한 나침판기능과 내장된 전자나침판이 언제 스위칭
되게 하느냐 는 세팅은 중요할수밖에 없죠..
위 그림에보면 저의 세팅은 시속 2Km 이하가 5초이상 지속될때 전자나침판으로
전환 되도록 세팅하였습니다..시속 2킬로 이상이되면 자동으로 위성나침판으로
복귀 되죠..
그러므로 산행중 방향확인시 수신기를 분리하여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5초
정도 기다리면 정치가 되면서 방향지시가 안정됩니다..
단..전자나침판이 교정되어 있어야하고 배터리 교체시마다 필히 교정을 해주어
야 합니다..(교정방법은 P50)
그리고 위 세팅수치는 저의 경험치이며 지금 계속 최적화 조정중에 있습니다..
그러니 참고하시고 자신에게 알맛는 경험치를 발굴해보십시요..
**Calibration Setup (P 75)
내장된 전자나침판과 기압고도계 의 교정페이지입니다..

-전자나침판의 교정은 배터리를 교환 할때마다 필히 실행합니다..
첫번째 그림에서 Compass 를 선택하면 두번째 그림이 나옵니다..
수신기를 수평으로 잡고 Start 를 누른후 제자리에서 천천히 두바퀴쯤도시면
세번째 화면처럼 표시되면서 완료되면 교정완료 화면이 나타납니다..
- Altimeter (기압 고도계)의 교정은 저의경우 시행하지
않고 자동교정(Auto Calibration) 방식을 사용합니다..(아래그림 참조)
전원을켤때마다 위성신호에의하여 자동으로 교정되게하는것이죠..
수동교정을 시행하려면 교정위치에서 정확한 고도나 기압을
알아야 하는데 이를 알기가 쉽지않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수동교정방법은 P77 에 나와있읍니다..
**Altimeter Setup

Barometr Mode 는 Variable Elevation 으로 세팅하면 됩니다..
Fixed Mode는 수신기를 표준기압게처럼 고정시킨상태에서
기압을 측정하는경우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Wellcome Message Setup (P77)
수신기 전원을 켰을때 나오는 초기화면에 임의의 문자멧시지를
입력할수있는 기능입니다..
분실시나 바뀌는경우를 대비하여 이름이나 전화번호등을
입력해 놓으면 편리합니다..
** Jumpmaster 는 활공하는분들이 사용하는 기능을 Setup 하는
것인데 제가 잘 모르므로 생략합니다..
이 분야를 아시는 분이 사용기를 써주시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위성나침반과 전자나침반의 특징을 비교할 때 재미있는 실험방법이 있습니다. 자신의 위치에서 북쪽 방향에 한 Waypoint를 저장해 두고, 그 Waypoint를 향해 Goto 항법을 함에 있어 GPS 단말기를 바로 들고 남쪽을 바라본 상태에서 북쪽을 향해 뒤로 걷게 되면 위성나침반의 경우 바늘이 화면 12시 방향을 가리키지만 전자나침반의 경우 바늘이 화면 6시 방향을 가리킵니다. 마레님의 경우 같이 전자나침반에서 위성나침반으로 전환되는 속도를 2km/h로 설정한 경우, 북쪽으로 가는 뒷걸음질 속도가 2km/h 미만일 때에는 바늘이 화면 6시 방향을 가리키다가 뒷걸음질 속도가 2km/h 이상일 때에는 화면 12시 방향을 가리킵니다.
ㅎㅎ..재미있군요..위성나침판이 목표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셈이군요..뒤로가도 목표방향을 가리켜야 될거같은데..
그리고 북방위 설정(North Reference)에 따라 방향정보가 진북 방위각, 도북 방위각, 자북 방위각으로 표시됩니다.(방향단위를 '도'로 설정한 경우) 그런데 야외에서는 주로 방향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 자북이기 때문에 자북 방위각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저 개인적으로는 북방위 설정을 자북(Magnetic North)로 설정하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자석나침판 사용을 전제로 했을경우에는 당연히 자북으로 설정하여야겠죠..
그 이유는 GPS 단말기에서 Heading, Bearing 등의 방향정보가 자북 방위각으로 제공될 경우 실제 현장에서 자석나침반을 이용해 그 방향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위성나침반을 사용할 경우, 정지간에는 나침반 화면을 자석나침반과 비교하여 정치를 시켜야 하는데 이 때, 북방위 설정이 자북으로 되어 있어 나침반 화면의 'N'이 자북이면 정치가 아주 쉬워집니다.
정지간에는 위성나침판기능이 정지되므로 내장 전자나침판이 없는 기종에서는 방향확인을 위해서 자석나침판이 필요하지만 60CSx 의경우 전자나침판기능이 내장되어있으므로 자동정치가되어 자석나침판에 의한 재정치가 불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전자나침반을 사용할 경우에는 정지간에도 정치를 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진북으로 설정해서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하실 수 있으나 전자나침반은 정확성과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끔 자석나침반과 비교하여 전자나침반의 상태(정확도)를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때에도 북방위 설정을 자북으로 설정해 놓으면 자석나침반과 바로 대조하여 전자나침반의 상태를 한눈에 점검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도화면의 활용에서는 북방위 설정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은 [Map Pointer 이용시 Map Pointer가 위치한 지점의 방위각이 어떤 방식으로 표시되는가]입니다.
60CSx 에 내장된 전자나침판은 스펙상 교정되었을때 +-2도 의 오차라고합니다..실용상 지장이 없다고 생각하며 사용시 자석나침판에비하여 별 불편을 못느꼈읍니다..오히려 제가가지고 있는 나침판중 소형 자석나침판은 사용불가정도로 오차가 있더군요..
참고로 지도화면이 Track Up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지도화면 상단에 북방위표시가 나타나는데 이는 북방위 설정과 관계없이 항상 진북을 표시합니다. 지도화면상에 특정 지형지물이 실제 정확히 어디에 위치에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Map Pointer를 해당 지형지물에 위치시키면 그 지점의 방위각(Bearing)이 화면하단에 표시되는데 이 때 자북 방위각으로 표시되는 것이 진북 방위각으로 표시되는 것보다 더 쉽게 현장에서 자석나침반을 이용하여 그 지점을 확인할 수 있죠!
매핑 수신기에서 자동정치된 상태라면 방위각이 별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는군요..보조로 가지고 다니는 종이지도정치시에도 수신기를 올려놓고 전자나침판 으로하는데 큰 불편이 없었읍니다..
일반적으로 지도정치라 함은 지도상에 그어놓은 자북선과 자석나침반의 자침이 평행하게 되도록 지도를 돌리는 것인데 마레님과 같이 북방위설정이 진북일 경우 GPS 단말기로 종이지도를 정치하시려면 나침반화면의 'N'이 가리키는 방향과 지도의 경도선 북쪽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종이지도를 돌리셔야 정치가 이루어 지겠죠!
이 외에도 북방위 설정을 자북으로 할 경우 실전 활용에 편리한 점들이 많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유명 메이커의 GPS 단말기에는 전세계의 지자기모델인 WMM(World Magnetic Model)이라는 데이터를 입력시켜 자북 방위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왔죠! 북방위 설정에서 진북은 실제 야외활동보다는 측지학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지도에 경위도선의 교차점이 한 곳만 있어 맵매칭이 어려울 경우, Projection 기능을 통해 경위도 교차점 대각선 방향의 한지점에 대하여 경위도 좌표값을 구할 때 북방위설정을 진북으로 합니다.
자석 나침판을 사용치 않을경우 자북을 사용할 이유를 찾을수 없군요..도자각편차만 생기는 거죠..
자석나침반을 함께 사용하지 않고 전자나침반만 활용하실 경우에는 마레님 말씀처럼 북방위 설정을 자북으로 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자석나침반을 함께 활용하시면 현장에서 가시거리의 실제 지점을 확인하기 편리한 기능 외에도 편리한 활용팁들이 있는데 이는 추후에 [활용팁]란을 통해 소개 올리겠습니다.
도북 방위각은 평면직각좌표계의 군지도에서 가끔 이용하게 되는데 도북 방위각 사용시 주의하실 점은 현재 GPS 단말기가 어떤 평면직각좌표계로 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도북 방위각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방장님 말씀에 동의합니다..도북은 어떤 도엽이냐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지므로 기준으로는 부적절 하다고 생각합니다.. 22:51
동일한 평면직각좌표계에 대하여 도엽별로 도편각은 차이가 나지만 이는 GPS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계산되어 표현됩니다. 위의 글에서는 한 지점에서 서로 다른 평면직각좌표계(UTM, TM 등)를 사용했을 때 도북의 방향이 틀려진다는 것을 설명드렸습니다.
항상 많은 연구를 하시고 공유하시는 마레님을 뵈면 운영자인 제가 연구를 소홀히 할 수 없게 되는 것 같습니다. 마레님의 열정과 나눔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