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표·고리점;句號[。]
마침표[句號]의 용법은 한글의 그것과 같다. 마침표는 사실을 설명하는 평서문[陳述句] 문미에 쓰이며(예문1,2), 어기가 약한 기원문 문미에도 쓸 수 있다(예문3). 다만 한글의 마침표는 온점인데 반해 중국어의 마침표는 고리점임에 유의해야 한다. 중국어의 마침표에도 온점[.]이 쓰일 때가 있는데, 보통 과학문헌에 사용된다.
1. 北京是中華人民共和國的首都。 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다.
2. 亞洲地域廣闊, 跨寒、溫、熱三帶, 又因各地地形和距離海洋遠近不同, 氣候 複雜多樣。
아시아대륙의 지역은 광활하여 한․온․열대를 모두 끼고 있으며, 또 각지의 지형과 바다로부터의 거리의 서로 다름으로 인해 기후가 복잡다양하다.
3. 請您稍等一下。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
2) 쉼표·반점;逗號[, ]
반점[逗號]은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를 나타낸다. 문장내부의 휴지를 표시하는 부호에는 반점 외에 모점[頓號], 머무름표[세미콜론;쌍반점;分號]와 쌍점[冒號]이 있으나 이 세 부호는 각각의 전문용도를 가지고 있으며, 반점은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문장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반점은 단문[單句] 내에서의 휴지를 나타내기도 하고(예문1,2,3,4), 복문[複句] 내에서 절[分句] 사이의 휴지를 나태내기도 한다(예문5).
1. 對于這個城市, 他幷不陌生。 이 도시에 대해 그는 결코 생소하지 않다.
2. 一篇作品是否能使讀者激動, 的確是個問題。 한 편의 작품이 독자를 감동시킬 수 있느냐 없느냐는 진실로 하나의 문제이다.
3. 我們看得見的星星, 絶大多數是恒星。 우리가 볼 수 있는 별은 절대다수가 항성이다.
4. 應該看到, 科學需要一個人貢獻出畢生的精力。 과학은 한 사람이 필생의 정력을 바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5. 据說蘇州園林有一百多處, 我到過的不過十多處。 듣자니 쑤저우의 정원은 백여 곳이나 된다는데, 내가 가본 곳은 십여 곳에 지나지 않는다.
3) 쉼표·모점;頓號[、]
모점[頓號]은 문장 안에서 병렬적 어휘 사이의 휴지를 나타낸다. 모점이 나타내는 휴지는 반점에 비해 짧으며, 병렬된 단어나 구[詞組]를 갈라 구분하는 데 쓰인다.
1. 亞馬孫河、尼羅河、密西西比河和長江是世界四大河流。 아마존강, 나일강, 미시시피강 그리고 장강은 세계의 4대 강이다.
2. 她是一個美麗、健康、活潑的姑娘。 그녀는 아름답고, 건강하고, 활발한 아가씨다.
3. 正方形是四邊相等、四角均爲直角的四邊形。 정방형은 네 변이 서로 같고, 네 각이 모두 직각인 사변형이다.
4. 畵和詩表達了他們努力學習、爲國爭光的決心。 그림과 시는 학습에 힘쓰고, 조국을 위해 영광을 다투려는 그들의 결심을 표현하였다.
예문1의 “亞馬孫河”, “尼羅河”, “密西西比河”, “長江”은 병렬된 단어, 예문3의 “四邊相等”, “四角均爲直角”는 병렬된 구로 그것들 내부의 휴지는 모두 모점을 써서 표시한다.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반점과 모점의 한글 문장부호 체계 내에서의 용법이다. 한글 문장부호 체계에서 반점과 모점은 모두 쉼표 가운데의 하나이며, 반점이 가로쓰기에, 모점이 세로쓰기에 사용된다는 차이가 있을 뿐, 그들의 용법은 차이가 없다. 그리고, 우리 문장에서 항목에 번호 등의 붙여 나열할 때는 번호 뒤에 마침표(온점)를 찍지만, 중국어 문장에서는 모점을 찍는다. 물론 과거의 책(대체로 20년 이상 된)에서는 온점을 찍고 있는 것도 있다.
우리글 → 1. …… 2. …… 3. …… 가. …… 나. …… 다. ……
중국어 → 1、…… 2、…… 3、…… 一、…… 二、…… 三、……
4) 머무름표·分號[; ]
머무름표[分號]는 복문 내부의 병렬된 절 사이의 휴지를 나타낸다. 머무름표가 나타내는 휴지는 반점보다 크며, 주로 병렬절을 갈라 구분하는 데 쓰인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병렬관계가 아닌 다중복문 내에도 머무름표를 쓰는데, 예문4는 반점을 쓴다면 전후의 두 층차를 분별하기 쉽지 않게 되며, 마침표를 쓰면 또 전후의 연관의미가 끊기게 되므로 머무름표를 써야 하는 것이다.
1. 語言, 人們用來抒情達意; 文字, 人們用來記言記事。 언어는 사람들이 감정과 의사를 표현하는 데 쓰며, 문자는 사람들이 언어와 일을 기록하는 데 쓴다.
2. 在長江上游, 瞿塘峽像一道閘門, 峽口險阻; 巫峽像一條迂回曲折的畵廊, 每一曲, 每一折, 都像一幅絶好的風景畵, 神奇而秀美; 西陵峽水勢險惡, 處處是急流, 處處是險灘。 장강의 상류, 치우탕시아는 마치 갑문과 같아 협곡입구가 험준하고, 우시아은 굽이굽이를 우회하는 화랑과 같이 매 굽이마다 모두 한 폭의 훌륭한 풍경화 같아서 신기하고 아름다우며, 시링시아은 물결이 험악하여 도처가 다 급류요, 도처가 험한 여울이다.
3. 考試委員會對陳伊玲有兩種意見: 一種認爲從兩次考試看出陳伊玲的聲音极不穩固, 不扎實, 很難造就; 另一種則認爲給她機會, 讓她再試一次。 시험위원회는 츠언이링에 대해 두 가지 의견이 있었다. 한 가지는 두 차례의 시험으로부터 알수 있듯이 츠언이링의 음성은 대단히 안정되지 못하고, 견실하지 못하여 양성하기 어렵다고 여기는 것이었고, 다른 한 가지는 곧 그녀에게 기회를 주어 다시 한 번 시험을 치르게 하자는 것이었다.
4. 我國年滿十八周歲的公民, 不分民族、種族、性別、職業、家庭出身、宗敎信仰、敎育程度、財産狀况、居住期限, 都有選擧權和被選擧權; 但是依照法律被剝奪政治權利的人除外。 우리 나라의 나이가 만 18세가 되는 국민은 민족, 종족, 성별, 직업, 가정출신, 종교신앙, 교육정도, 재산상황, 거주기한을 불문하고 모두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지나, 법률에 의거하여 정치권리를 박탈당한 자는 제외한다.
5) 쌍점;冒號[: ]
쌍점[冒號]은 제시적 성격의 구절 뒤에서 휴지를 나타내며, 다음 문장을 끌어내는 데 쓰인다(예문1,2,3,4,5). 그리고, 총괄적 성격의 말 앞에 사용할 수 있으며, 앞 문장을 총화하는 데 쓰인다(예문6).
1. 同志們, 朋友們:
現在開會了。…… 여러분,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
2. 他十分惊訝地說: “啊, 原來是你!” 그는 매우 놀라서 말했다. “아, 너였구나!”
3. 北京紫禁城有四座城門: 午門、神武門、東華門和西華門。 베이징의 츠진성은 네 개의 성문이 있는데, 니우문, 선우문, 똥화문, 시화문이 그것이다.
4. 動態助詞“着”在動詞後可以表示動作正在進行。例如:
……
동태조사 “着”은 동사 뒤에서 동작이 진행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5. 外文圖書展銷會 외국어도서 전시판매회
日期: 1989年10月20日11月10日。 일자 : 1989년10월20일 - 11월10일
時間: 上午8:30下午4:30。
地點: 北京朝內大街137號。
主辦單位: 中國圖書進出口總公司。 주관사 : 중국도서수출입총공사
6. 張華考上了北京大學, 在化學系學習; 李萍進了中等技術學校, 讀機械制造專業; 我在百貨公司當售貨員: 我們都有光明的前途。 장화는 베이징대학에 합격하여, 화학과에서 공부하고, 리핑은 중등기술학교에 입학하여 기계제조를 전공하며, 나는 백화점에서 판매원 일을 하는데, 우리들에게는 모두 밝은 미래가 있다.
예문1의 “同志們, 朋友們”은 회의에 참가한 모든 사람을 부르는 말로 뒤이어 말하고자 함을 제시한다. 예문2는 뒤의 말이 “그[他]”가 한 말임을 가리키며, 예문3은 우선 “네 개의 성문[四座城門]”이 있음을 말하고 뒤이어 어떤 네 개의 성문인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예문5는 설명하고자 하는 항목을 제시한 뒤 이어서 관련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