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공동명의 이혼시 ㆍ 단독명의 변경 등
소유권이전(명의변경) 업무과 관련된 세금 계산할때는 영향을 주는 항목들이 있습니다.
부동산에 대한 정보, 수증인이 이를 받은 후 몇 년이상 소유할 것인지,
5살 이하의 자녀가 있는지 포함하여 10 ~ 13가지 정보가 필요합니다.
세금 뿐만 아니라, 처리하는 과정 그리고 잘못 처리한 것으로 인한
불이익 포함 모든 부분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아래 정보 공개 차이에 따른 세금을 계산해보겠습니다.
경기도 소재 시세 4억 아파트 ㆍ 50% 만 명의변경 ㆍ 이혼 목적
총비용 830 ~ 1,040만원
VS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 23 문촌9단지주공아파트 OO동 OO호
50% 만 명의변경 ㆍ 1주택자 ㆍ 남성 → 여성 ㆍ 5살 이하 자녀 없음
이혼 목적 ㆍ 담보대출 3억은 여성이 부담할 예정
총비용 830 ~ 900만원 사이에서 처리 가능한데,
조건이 잘 맞는다면 720 ~ 760만원 비용만 들여서 처리하는 것도 가능
상속, 증여, 이혼, 직거래 – 소유권이전등기 전문 법무사들의 모임
《 법무상담커뮤니티 법무사카페 》
아래 이미지 누르시면, 도시별 담당 법무사 연락처 확인 가능
전화, 문자, 카톡 무료상담 해드립니다. ^^
첫댓글
‣ 증여 vs 이혼 취득세 차이 - 12억
" 감정평가 기준 12억 단독주택 ㆍ 부부간증여 vs 이혼재산분할
취득세 차이를 위해 예를 들어 계산 ㆍ 세대원 합산 1주택자 ㆍ 담보대출 6억으로 가정 “
이혼재산분할 원인으로한 주택취득세는 9,000,000 ~ 18,000,000원 사이고,
증여 원인으로한 주택취득세는 6,000,000 ~ 42,000,000원 사이입니다.
사람들은 대략적인 범위를 알고 싶어하지만,
유사거래에 따라 실시간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법무사에서 이를 확인하려면 하나하나 다 따져야 합니다.
법무사 상담시 법무사 무료견적을 보내드리는데,
이는 수수료와 세금들을 분리해서 안내하고 있으니,
수수료 보시고 의뢰 결정을 해야 합니다.
그 후에 자세한 정보를 받아 법무사에서 시간을 투자해서
분석을 해야 정확한 범위를 알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