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김 찬)은 그동안 하나의 문화재가 여러 가지 영문으로 표기되어 혼란을 초래하였고, 새로운 영문 명칭이 필요한 경우에도 일정한 표기 기준이 없어 어려움을 겪었던 것을 해소하기 위해「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을 마련하여 2013년부터 적용한다.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의 기본원칙으로 네 가지를 정했다. (ⅰ) 국문 고유의 문화재 명칭을 최대한 보존, (ⅱ) 보통명사는 단어의 뜻을 영어로 옮기는 방식의 의미역을 적용하고 고유명사는 해당 음을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거나 의미역 표기 병행, (ⅲ) 문화재 명칭은 생략 없이 그 명칭 전체를 표기, (ⅳ) 기준이 대립할 경우에는 활용성과 범용성이 큰 쪽을 선택하게 했다.
이 표기 기준은 로마자표기법, 부호, 기관명, 인명, 지명, 띄어쓰기, 대소문자 표기 등 7가지 일반원칙과 문화재 유형별로 명칭을 부여하는 18가지 기준(방식)을 정하였다. 또 문화재 명칭을 구성하는 850여 개의 국문요소에 대한 영문 대역어를 제시하였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mediabuddha.net%2Fdata%2Fgeditor%2F1212%2F765711805_17b7df9c_BAD2B1B9BBE7B4EBBFF5C0FC.jpg)
대웅전의 표기는 'Daeungjeon'으로 정해졌다. 사진은 불국사 대웅전. 사진=문화재청 제공.
이에 따라 건조물과 유적 명소는 문화재 명 전체를 고유명사로 보아 자연지명과 유적이름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보통명사 의미역(접미어)을 덧붙이기로 했다. '경복궁'은 ‘Gyeongbokgung Palace’, ‘북한산’은 ‘Bukhansan Mountain’과 같이 문화재 명칭을 로마자 표기와 의미역 표기를 병행하도록 하였다.
문화재청은 이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을 조기에 정착시키기 위해 행정규칙으로 제정하여 2013년 1월 중에 시행하고, 앞으로 문화재를 신규로 지정하거나 등록할 때는 국문 문화재 명칭과 함께 영문명칭도 관보에 고시하도록 하였다.
또 문화재청의 누리집과 문화재 안내판, 인쇄 홍보물 등도 점차적으로 이번 기준을 적용해 나가기로 했다. 유관기관에도 이 표기 기준에 맞추도록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4천여 개의 국가지정(등록)문화재에 대한 문화재의 공식명칭과 약칭도 함께 제시하는 영문표기 용례집을 내년 3월까지 배포할 예정이다. 앞으로 표준화된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는 학계, 번역계, 관광계, 문화재 활용과 안내 분야 등에서 학술적·관광적·국제적으로 편익을 제공하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 제정 현황
□ 제정취지
ㅇ 국문 문화재 명칭은 일정한 명명 규칙에 의해 부여되고 있으나 영문명칭은 표준화된 규칙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국내 주요 기관별로 서로 다른 표기 방법 및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
ㅇ 이에 따라 우리나라 문화를 접하는 외국인들에게 우리 문화재에 대한 안내 및 설명, 교육 및 홍보, 사이버 공간에서의 정보검색 등에서 혼란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기관 및 관련분야 종사자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
ㅇ 물론 문화재 명칭 및 문화재 용어는 그 목적이나 사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번역될 수 있지만, 개별 문화재의 공식 영어이름을 명명할 때에는 다른 대안에 앞서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만한 명명규칙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ㅇ 외국인 입장에서 문화재 이름을 구성하는 각각의 용어에 대응하는 영어 대역어와 적정한 조합의 규칙을 제시함으로써 문화재 영어명칭을 일관성 있게 명명하고 통일된 명칭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임.
(예) 국내 주요 기관별 표기 비교
구 분 |
문화재청
영문 홈페이지 |
국제교류재단
(한국문화재용어사전) |
한국관광공사 관광안내표기용례집 |
한국관광공사 전자지도 |
국사편찬
위원회 역사용어시소러스 |
서울시청 영문표기 |
국립중앙
박물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웅전 |
Daeungjeon Hall |
Hall of the Great Veneration |
Daeungjeon Hall /
Hall of Sakyamuni |
Main Hall |
Hall of Sakyamuni |
Hall of Sakyamuni |
|
Main Hall / Hall of Sakyamuni |
향 교 |
Confucian School / Confucian-shrine Academy |
local public school annex to a Confucian Shrine |
Confucian School |
Confucian School |
Local Confucian School |
Hyanggyo |
|
County School |
서 원 |
Confucian School / Confucian-shrine Academy |
private Confucian Academy |
Confucian Academy |
Confucian Academy |
Confucian Academy |
|
Private School / Private Academies |
Private Academy / Confucian Academy |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
I. 기본 원칙
문화재 명칭의 영문표기는 1)우리 문화재의 세계화를 위하여 고유한 국문 문화재 명칭은 가능한 보존한다. 2)우리 문화재의 효과적인 의미전달을 위하여 문화재 명칭의 명명요소 중 보통명사는 의미역으로 표기하고 고유명사는 단어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거나 로마자표기와 의미역 표기를 병행한다. 3)다양한 명명요소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문화재 명칭은 그 명칭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한다. 4)상이한 표기 기준의 장단점이 대립 될 경우 활용성과 범용성이 큰 쪽을 선택한다. 세부 표기 방식은 문화재 유형별 표기 지침을 참고한다.
Ⅱ. 일반 원칙
1.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는 문화관광부고시 제 2000-8호(2000.7.7)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한다. 단, 이 표기법이 개정될 경우 새로운 표기법을 따른다.
2. 부호 표기
괄호, 붙임표(-), 아포스트로피('), 쉼표(,) 등의 부호는 각각의 지정된 용도에만 사용할 수 있다. 단, 로마자 표기상 발음을 구분하는 붙임표(-)와 아포스트로피(') 등의 부호는 사용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예]
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 Gangneung Danoje (Dano Festival of Gangneung)
이제현(李齊賢)Yi Je-hyeon
수피아 여학교 Speer Girls' School
매조죽문(梅鳥竹文) Plum, Bird, and Bamboo Design
서오릉(西五陵)Seooreung Royal Tombs
환구단(圜丘壇)Hwangudan Altar
3. 인명 표기
인명은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한다. 성명이 표기된 경우에는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쓰고, 이름은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쓴다. 단, 인명의 로마자 표기는 그 동안 써 오던 표기 방식을 존중하여 쓸 수 있다.
[예]
이제현초상(李齊賢肖像)Portrait of Yi Je-hyeon
신당동 박정희대통령 가옥(新堂洞 朴正熙 大統領 家屋)
House of President Park Chung-hee in Sindang-dong
4. 기관(단체)명 표기
기관(단체)명은 해당 기관에서 표기한 방식을 존중하여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별도의 표기 관행이 없으면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예]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홀(梨花女子大學校 파이퍼홀)
Pfeiffer Hall of Ewha Womans University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수피아홀(光州 舊 수피아女學校 수피아홀 )
Speer Hall of Former Jennie Speer Memorial School for Girls in Gwangju
5. 지명(행정구역) 표기
문화재 명칭에 도, 시, 구, 군 등 행정구역 단위가 포함된 경우는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고 붙임표(-)를 사용한다.
[예]
거창 정장리 최남식 가옥(居昌 正莊里 崔南植 家屋)
Choe Nam-sik's House in Jeongjang-ri, Geochang
6. 대, 소문자 표기 및 띄어쓰기
영문표기의 각 단어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하되 전치사와 관사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로마자 표기의 띄어쓰기는 문화재 지정 명칭 국문의 단어 단위로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도서, 회화 등 작품의 고유한 이름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경우에는 문화재 지정 명칭 국문의 의미 단위로 띄어 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영문표기 명칭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쓰고 나머지 단어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예]
도산서원(陶山書院)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봉정사 화엄강당(鳳停寺 華嚴講堂)
Hwaeomgangdang Lecture Hall of Bongjeongsa Temple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Joseon Dynasty)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Inwang jesaekdo (A Scene of Inwangsan Mountain after Rain) by Jeong Seon
*자세한 내용은 문화재청 홈페이지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