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어지사(枯魚之肆)
[마를 고/고기 어/어조사 지/어물전 사]
[뜻]
목마른 고기의 어물전. 매우 곤궁한 처지
[내용]
송(宋)나라의 철인(哲人)이요, 도학(道學)의 시조 중 한 사람인
장자(莊子; 이름은 周)는 우화(寓話) 창작의 명수이기도 했다.
그는 왕후장상(王侯將相)들에게 무릎을 꿇고 그들의 비위를 맞춰 가면서
녹을 얻어 먹기보다는 차라리 그 누구에게도 구속받지 않고 자유롭게
생활하는 길을 택했다.
따라서 살림살이가 몹시 구차하고 가난하였다. 그런 장자(莊子)였지만
한번은 정말 곤궁에 빠져 아무래도 아쉬운 소리를 하면서 친구에게 돈을
좀 빌려 써야 할 딱한 형편에 이르렀다.
장자(莊子)는 집이 가난했다. 그래서 어느 날 감하후(監河侯)에게 곡식을
빌리러 갔다. 감하후(監河侯)가 말했다.
“알았소. 내가 나중에 봉읍에서 나오는 세금을 받아서 선생에게 삼백금을
빌려 드리겠습니다. 그러면 되겠습니까?”
장주가 발끈 성을 내어 얼굴빛을 바꾸며 이렇게 말했다.
“내가 어저께 이리로 올 때 도중에 나를 부르는 자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돌아보았더니, 수레바퀴 자국 물 고인 곳에 붕어가 한 마리 있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물었습니다. ‘붕어야. 너는 거기서 무엇을 하고 있느냐?’
붕어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나는 동해의 물결에서 튕겨져 나온 해신(海神)의
신하입니다. 그대는 한 말 한 되의 작은 물이라도 있으면 그것이라도 좋으니
그것을 가지고 나를 좀 살려주시겠습니까?’라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내가 ‘알았다. 내가 장차 남쪽으로 오(吳)나라와 월(越)나라의
왕들에게 유세를 하러 가려고 하는데, 그때 가서 서강(西江)의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해서 그 물로 그대를 맞이할 테니 그러면 되겠는가?’ 하고 말했습니다.
그랬더니 붕어가 발끈 성을 내어 얼굴빛을 바꾸며 말하기를 ‘나는 지금 내가
늘 함께 하는 물을 잃어버려 내가 몸 둘 곳이 없어졌습니다. 지금 나는
한 말 한 되의 물만 있으면 충분히 살 수 있을 따름입니다. 그런데 지금 그대가
이처럼 말하니 차라리 일찌감치 나를 건어물 가게에 가서 찾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장자(莊子) 외물편(外物篇)에 나오는 내용이다. 여기서 고어지사(枯魚之肆)
라는 성어가 나왔다. 고어(枯魚)는 건어(乾魚)와 같은 뜻이고 사(肆)는 가게
또는 시장(市場)을 뜻한다.

첫댓글 고어지사(枯魚之肆)의 처지라 해도 견뎌내고
때를 기다려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