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럽게 짜증을 내며 학교를 안가요
Q:초등학생 첫째 딸이 최근들어 매일 울며 짜증을 많이 내요.
사춘기가 일찍오는건지 코로나때문에 학교를 못가고 환경이 변하며 내재된 우울감이 폭발한건지 그냥 지켜볼수가 없게 되었어요.
누가 짜증섞인 말투를 한다거나 손으로 살짝 누르는게 꼭 밀치는것 같아 기분이 나쁘다며 사소한 감정을 두고 두고 곱씹으며 울고 반복해서 나쁜감정을 떠올리며 괴로움을 호소해요. 죽고 싶다는 말도 한 번씩 내뱉곤 합니다. 원체 여리고 상처를 잘 받는 타입인데 이렇게 일상 생활이 안될 정도는 아니었고 밖에서 자기감정 표현을 잘 못하긴 해도 친구들과 곧잘 어울리며 친구들과 함께 학교생활에 크게 문제가 없었거든요.
선생님들께는 집중력이 좋고 차분하고 예술계통에 소질이 많고 학습성취도가 높다고 칭찬을 많이 듣던 아이였어요. 그런데 지난 주에는 통합교과 선생님이 풀칠을 제대로 안했다며 짜증냈다고 상처받아 싫다는 말을 반복하고 있어요.
지금은 스트레스 상황을 없애려고 학원을 그만둔 상태인데 낮에는 동생과 놀고 그럭저럭 잘지내다 아빠가 퇴근하면 또 지난 감정들을 풀어 놓으며 반복해서 울고 자기 전에 감정이 폭발하네요. 부정적인 감정을 곱씹으면 안 될 것 같아 그만 이야기하라고하면 아이 아빠는 밤새워라도 들어주는게 부모라며 저랑 감정적으로 대립합니다.
이해한다고 다독이다가도 그냥 좀 작은 일은 넘기고 강해져야 살아갈 수 있다고 나무라게 되고 피로도가 극심해지니 아이가 안쓰럽다가도 밉고 화가 나고 아이가 잘못될까 겁이나고 제 감정이 통제가 잘 안되어 이렇게 간곡히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A: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적어주신 내용만으로는 답변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양해부탁드립니다.
어머님께서 적어주신 내용을 한글자 한글자 세심하게 읽어보았습니다. 다른 사람이 짜증나는 말투나 손으로 밀쳤을 때 지속적으로 기분 나빠하고 감정을 쌓아두었다가 한꺼번에 풀며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것. 또 그 감정을 곱씹고 죽고 싶다는 말을 하며 감정조절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보아서 기질적으로 스트레스에 취약할 수 있으며 우울의 한 양상일 수 있습니다.
학령기 아동의 우울은 감정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성인의 우울과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자신이 우울하다는 것을 표현하기보다 짜증을 내거나 감정을 폭발하거나 공격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어떠한 일에도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성인 우울과 달리, 재미있는 일에만 지나치게 매달려 조금이라도 재미가 없으면 견뎌내지 못하는 등 힘든 일을 참고 견디는 능력이 감소하게 되기도 합니다.
평소에 상처를 잘 받는 타입이기는 하지만 평소에 집중력이 좋고 차분하고 예술계통에 소질이 많으며 학습성취도가 높은 아이였는데 갑작스럽게 스트레스를 통제하기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환경의 변화가 스트레스를 견디는 힘이 부족한 아이의 정서와 생각을 자극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이겨내야 한다, 안 좋은 감정은 잊어버려라" 등의 조언은 아이의 감정을 거부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모를 때는 아이 옆에서 아이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고 충분히 호응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를 도닥여주거가 안아주는 등의 스킨십도 괜찮습니다.
◆ 학령기에 나타나는 우울과 사춘기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지는 않습니다.
1. 사춘기는 자기 주장이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감정 기복이 있을 수 있고 짜증을 내지만 기분 좋은 일이 생기면 금새 괜찮아지기도 합니다.
2. 짜증이 폭발적이며 감정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죽고 싶다. 내가 살아서 뭐해" 등의 말을 한다면 학령기에 보이는 소아우울이 의심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여지는 현상만으로 섯불리 진단하거나 개입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종합심리검사를 통해 아이의 기질과 상태에서 대해 전문적인 도움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상처받는 상황으로 해석하는 패턴에서 적절한 대안을 찾고 긍정적인 사고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성내고 짜증부리는 우울한 우리 아이 어떻게 도울까요?
1. 아이의 감정에 대해서 알 수 있게 도와 주세요.
짜증이 나고 성을 내는 아이의 감정을 수용해 주시고 이해해 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이 어떠한지 스스로 알 수 있게 함께 대화해 주세요. 이때의 대화는 “나 전달법”으로 합니다. 그리고 우울증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주고 부모가 함께 있다는 점을 표현해 주세요. 아이가 자신의 상태를 알고 중요한 사람과 함께 있다면 아이는 방어적인 생각과 행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도와 주세요.
자신의 감정은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메모하기, 그림 그리기, 음악듣기, 몸으로 표현하기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규칙적인 식사와 편안하고 안정된 잠자리를 제공합니다.
규칙적인 식사와 편안한 잠자리는 아이의 건강을 위해 필수입니다. 신체적으로 건강한 신체는 정신적으로도 건강한 생각을 할 수 있는 영양분이 될 수 있습니다.
4. 전문가의 도움을 받습니다.
우울증을 잘 다루지 않는다면 아이의 성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는 우울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아이의 기질과 환경에 대한 고려와 함께 아이에게 적절한 안내를 해 줄 수 있습니다. 아이의 우울증은 반드시 치료를 해야 합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부적응과 우울한 아동이 심리치료 후 IQ가 20 상승된 아동 치료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4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29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d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방민선외,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Adulthoo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Moderated By Self-Compassion,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5(3), pp.1079-1099 Aug, 2023
김은정외, 발달적 관점에서 본 아동 및 청소년기 우울증상,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992-12 3(1):117-128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