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골난망(刻骨難忘)
[새길 각/뼈 골/어려울 난/잊을 망]
[뜻]
입은 은혜에 대한 고마운 마음이 뼈에까지 사무쳐 잊혀지지 아니함.
[내용]
다른 사람에게 입은 은덕에 대한 고마움이 마음 속 깊숙이 사무치어 결코
잊을 수 없다는 뜻이다. 풀을 묶어서 즉 죽어서라도 은혜를 갚는다는
뜻의 결초보은(結草報恩)이나, 죽어서 백골이 되어도 그 은혜를 잊을 수
없다는 뜻의 백골난망(白骨難忘)과 비슷한 말이다.
중국 춘추시대에 진(晉)나라의 위무자(魏武子)는 병이 들어, 그의 아들
위과(魏顆)에게 자기가 죽으면 후처였던 위과의 서모(庶母)를 개가시키라고
하였다가 다시 번복하고는 서모가 순사(殉死; 남편의 뒤를 따라 죽음)하게
하여 자기 무덤에 함께 묻어달라고 유언하였다.
그러나 위과는 서모를 순사하도록 하라는 아버지의 유언을 어기고 서모가
다른 남자와 결혼하게 하였다.
그 뒤 진(晉)나라의 위과가 전쟁터에서 진(秦)의 환공(桓公)이 보낸
장수인 두회(杜回)와 싸우게 되었는데, 이때 두회가 탄 말이 넘어져 위과는
두회를 사로잡을 수 있었다. 위과의 꿈속에 서모의 아버지가 나타나 딸을
지켜준 고마움에 보답하려고 풀을 엮어서 두회가 탄 말이 걸려 넘어지게
했다고 말하였다.
은혜를 잊지 못한 이 이야기는 좌씨전(左氏傳)에서 유래하였다.
관우(關羽)가 독 화살을 맞아 뼈 속까지 화농이 생겼을 때 화타(華陀)는
마취도 없이 관우의 살을 가르고 뼈 속의 고름을 긁어내는 수술을 하였다
는데 말 그대로 뼈를 쪼는(깨는) 즉 각골(刻骨)의 고통을 관우는 이겨낸
것이다. 마취도 없이 멀쩡한 살을 가르고 뼈에 못을 박는 고통을...
그런 심한 고통이 오더라도 입은 은혜을 잊을 수 없다는 말이다.
어떠한 수난과 어려움이 오더라도 그 은혜를 간직하고 갚겠다는 뜻이다.

첫댓글 각골난망
크고 작은 은혜를 잊는 것은 다반사이고 은혜를
원수로 갚는 이들이 흔한 세상입니다.
사람답게 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자주 느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