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002390) 바이오콘과 비만치료제 국내 독점 판매·유통 계약 체결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3일 글로벌 바이오 제약회사인 바이오콘과 '리라글루티드' 성분 비만치료제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 및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으로 동사는 리라글루티드 성분 비만치료제의 국내 제품 허가와 판매 및 유통을 담당하게 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김영진 회장은 "리라글루티드는 당뇨병 치료제로 주로 사용됐으나 비만치료제로 출시되며 큰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성분"이라며, "바이오콘과의 협력으로 동사의 포트폴리오를 비만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됐으며 그간 쌓아온 당뇨병 비즈니스 리더의 경쟁력으로 성공적으로 제품을 출시하고 성장시켜 갈 것"이라고 밝힘.
한미글로벌 (053690) 높은 해외 매출 바탕으로 국내 업황 악화 방어 분석 등에 소폭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 주택시장에 대한 익스포저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에서 소외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실제로는 높은 해외 매출 바탕으로 국내 업황 악화를 방어하고 있다고 분석. 특히, 동사의 주가는 '22년 중동 수주 증가 기대로 인해 주가가 급등하기 전 수준으로 회귀했다며, 데이터센터 등 신규 공종 PM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경쟁력, 안정적인 매출, Mix 개선에 따른 영업이익률 증가 지속 등을 바탕으로 연간 실적 추정치 및 목표주가를 소폭 상향 조정한다고 언급.
▷한편, 1Q24 연결 매출액 1,018억원(+1.4% YoY, -2.4% QoQ), 영업이익 84억원(+24.0% YoY, +10.5% QoQ, OPM 8.2%)을 기록했으며, 해외 매출 비중 확대 기조 및 책임형 사업 축소를 바탕으로 전사 이익률이 개선됐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0,000원 -> 22,000원[상향]
우양 (103840) 냉동김밥 美 수출 기대감 등에 급등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4부터 미국 대형마트에 냉동김밥을 공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현재 미국 대형 마트 3곳으로부터 동시에 러브콜을 받고 있는 상황으로, PB 또는 자체 브랜드 제품으로 납품할 가능성이 높고 7~8월에는 국내에도 OEM 제품으로 대형마트에 냉동김밥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힘.
▷아울러 2024년 매출액은 2,170억원(YoY +13.4%), 영업이익은 100억원(YoY +669.2%, OPM 4.6%)을 기록할 것이라고 언급. 지난해 북미 코스트코에 납품했던 핫도그는 6개월 초도물량 소진 후, 오는 6월부터 월 오더방식으로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게 되며, 북미 외 대만, 호주, 일본 등 코스트코 매출 확대도 나타나는 중이라고 설명. 또한, 하반기부터는 코스트코 외 미국 대형 마트로 핫도그 제품이 신규 공급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케이엔솔/GST 엔비디아, 'B100' 그래픽처리장치(GPU) 액체냉각 기반 설계 언급 소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언론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차세대 AI 칩 '블랙웰'을 기반으로 한 최신작 'B100'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액체냉각 기반으로 설계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22일(현지시간)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B100부터 액체냉각의 채용이 더욱 중요해졌음을 강조하며 여러 파트너들과 액체냉각의 도입을 위해 협업하고 있다고 언급했음.
▷액체냉각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특수 냉각 플루이드를 활용해 데이터센터 내 서버를 식히는 방식으로, 공기로 열을 식히는 공랭식보다 전력 소모와 운영 비용을 낮출 수 있어 새로운 열관리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음.
▷이에 글로벌 1위 기업인 스페인에 본사를 둔 서브머(Submer)사와 협력해 국내 이머전쿨링시장에 진출한 액침냉각 솔루션 전문기업인 케이엔솔이 시장에서 부각. 또한, 2상형 액침냉각 시제품 개발을 완료한 바 있는 GST도 부각되는 모습.
[종목]: 케이엔솔, GST
이삭엔지니어링 (351330) 전력난 우려 속 현대일렉트릭과 초고압 전력설비 예방 공동 개발 사실 부각 등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산업 성장과 함께 전력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동사의 수혜가 기대되고 있음. 센서를 통한 상태 정보와 시스템의 종합정보 분석으로 24시간 설비 상태를 판정하고 사전에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가운데, 동사는 HD현대일렉트릭과 전력설비 예방진단 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동사는 주요 고객인 SK하이닉스, 현대제철, POSCO,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을 대상으로 전력설비 예방진 단시스템의 도입을 제안하고 있으며, 한국전력공사 시장의 레퍼런스를 시작으로 민수시장으로의 확대를 목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젠큐릭스 (229000) ASCO에서 액체생검 기반 대장암진단 임상 연구결과 2건 초록 공개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4년 연례학회에서 발표할 연구결과 2건의 초록을 공개했다고 밝힘. 이번에 발표될 연구결과는 대장암 조기진단 기술 '콜로이디엑스(COLO eDX)'와 암 동반진단 검사 '드롭플렉스 돌연변이 검사(Droplex Mutation Test)'에 대한 것으로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김진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한 것으로 전해짐.
▷첫번째 연구는 동사의 대장암 조기진단 검사 콜로이디엑스의 미세잔존질환(MRD)에 대한 임상적 성능을 평가했다고 밝힘. 그 결과 콜로이디엑스는 기존 수술 후 모니터링 검사로 사용되는 CEA(carcinoembryonic antigen) 검사보다 우수한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해 대장암 조기진단 뿐만 아니라 수술 후 모니터링 검사로도 활용이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설명.
▷두번째 연구는 187명의 대장암 환자에게서 대장암 관련 주요 유전자인 KRAS, NRAS, BRAF의 돌연변이를 검사하는 동반진단 '드롭플렉스 돌연변이 검사'를 통해 암조직과 혈액에서의 검출성능을 비교 평가했다고 밝힘. 그 결과 암조직과 혈액 간 97.4%의 일치율을 보여 기존에 사용하던 암조직 검체뿐만 아니라 대장암 환자의 혈액을 검체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
비아이매트릭스 (413640) 동아제약과 MS 팀즈 연동 '생성형 AI 솔루션' 공급 계약 체결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아제약과 생성형 AI 기반 데이터 분석 솔루션 'G-MATRIX'를 구축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는 마이크로소프트(MS) '팀즈'에 G-MATRIX를 연동 및 공급해 동아제약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계획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수주를 기점으로 제약업계에 G-MATRIX 공급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국내 대표 제약사 중 하나인 동아제약이 생성형 AI 솔루션을 도입한 후 국내 대형 제약사들의 G-MATRIX 구축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힘.
강스템바이오텍 (217730) HLB바이오스텝 등과 오가노이드 기반 연구개발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3일 HLB바이오스텝, HLB바이오코드와 오가노이드 기반 의약품 안전성·유효성 평가 플랫폼 구축 및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3사는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동물대체시험법 사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동사는 피부 및 췌도 오가노이드 기술을 활용해 HLB바이오스텝과 함께 인체에 대한 의약품 효능 예측력을 획기적으로 높인 오가노이드 기반 평가 플랫폼을 구축, 상용화할 예정.
▷이와 관련 나종천 동사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을 기점으로 ‘오가노이드 기술 및 치료 신약 후보물질의 생산·품질관리’와 ‘국내 최대 비임상 유효성 평가’, ‘비임상 독성 평가 기술’ 등 오가노이드 기반 동물대체시험법 사업화와 당사의 차세대 치료제인 오가노이드 기반 탈모, 제1형 당뇨병 치료제 연구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DXVX (180400) 독자 개발 '원형 mRNA 항암백신' 전임상 효과 확인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독자적으로 설계 합성한 원형 mRNA(메신저리보핵산) 항암 백신 후보물질이 전임상 단계에서 우수한 항암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힘.
▷동사는 클릭스바이오의 원형 mRNA 기술과 포항공대 산학협력단과 협업중인 LNP(지질나노입자) 전달체 생산 공정기술을 활용해 항암 백신의 전임상 시험을 위한 후보물질 합성을 진행해 왔고, 이번 전임상 세포주 시험에서는 선형 mRNA 대비 우수한 발현 효능과 뛰어난 항암효과를 확인했으며 다음 단계인 동물실험 단계로 진입할 예정.
▷또한, 이번 원형 mRNA 전임상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연내 도입 예정인 OVM-200의 재조합중복펩타이드(ROP) 기반 항암백신, 자체 개발중인 R&D(연구·개발) 파이프라인 등에 대한 물질특허 출원 및 학회 발표를 준비할 계획임.
▷동사 관계자는 "현재 국내외 유수의 산·학·연과 협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파이프라인 개발의 가속화와 조기 상업화를 위해 라이선스 아웃을 병행하는 것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