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完璧)
[온전할 완/구슬 벽]
[뜻]
흠이 없는 구슬. 결점이 없이 훌륭함.
[내용]
전국 시대, 초(楚)나라에 변화씨(卞和氏)란 사람이 형산(荊山)에서 봉황이 돌
위에 깃들이는 걸 보고 그 옥(玉)의 원석을 발견하자 곧바로 여왕에게 바쳤다.
여왕이 보석 세공인(細工人)에게 감정시켜 보니 보통 돌이라고 한다.
화가 난 여왕은 변화씨를 월형( 刑:발뒤꿈치를 자르는 형벌)에 처했다. 여왕이
죽은 뒤 변화씨는 그 옥돌을 무왕(武王)에게 바쳤으나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이번에는 왼쪽 발뒤꿈치를 잘리고 말았다.
무왕에 이어 문왕(文王)이 즉위하자 변화씨는 그 옥돌을 끌어안고 초산 기슭에서
사흘 낮 사흘 밤 동안 피눈물을 흘렸다. 문왕이 소문을 듣고 사람을 보내어
그 까닭을 물었다.
"세상에 발 뒤꿈치를 잘리는 형을 받은 사람은 적지 않다. 그대만이 그처럼
슬퍼하며 통곡하는 이유가 뭔가?"
그러자 화씨는 이렇게 대답했다.
"발 뒤꿈치가 잘렸다고 운 건 아닙니다. 천하의 보옥인데도 돌덩이로 단정하고
그것을 바친 정직한 저를 사기꾼으로 몬 것이 슬퍼서 울고 있는 것입니다."
문왕은 즉시 옥돌을 세공인에게 맡겨 갈고 닦아 본 결과 천하에 둘도 없는
명옥이 영롱한 모습을 드러냈다. 문왕은 곧 변화씨에게 많은 상을 내리고 그의
이름을 따서 이 명옥을 '和氏之璧(화씨지벽)'이라 명명했다.
그런데, 강대국 진(秦)의 소양왕(昭襄王)이 이 소문을 듣고 욕심이 생겼다.
그래서 조에 사신을 보내어 15성(城)과 화씨지벽과 바꾸자고 청하였다.
혜문왕은 걱정이 생겼다. 내주자니 소양왕이 받고도 15성의 약속을 모르는
척할지도 모르고, 거절하자니 이를 구실삼아 진이 쳐들어올지도 모르고...
왕은 중신 회의를 열었다.
이 때, 목현이 나와서 식객 중 인상여(藺相如)라는 자가 지모와 용기가 있으니
그를 사자로 보내면 능히 난국을 타개할 수 있으리라 하고 천거하였다.
인상여는 즉시 진으로 가 지니고 갔던 화씨지벽을 일단 '진 소왕'(秦 昭王)에게
바쳤다. 구슬을 받아 쥔 왕은 "과연 훌륭하구나!" 하면서 감탄하면서 좋아할
뿐 15성 이야기는 조금도 비치지 않는 것이다. 이를 예기했던 인상여는,
"그 구슬에 한 군데 조그만 흠집이 있어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고 속여 말하니 무심코 내주었다.
인상여는 즉시, "우리는 신의를 지키느라 구슬을 지참하였으나 왕은 15성의
약속을 지킬 듯 싶지 않으니 이 구슬은 일단 소생이 지니겠습니다.
불연이면 소생의 머리와 더불어 이 구슬을 부숴 버리겠습니다."
하고는 구슬을 빼내어 조국에 돌려 보냈다. 호담한 '진 소왕'(秦 昭王)왕은
할 수 없이 인상여를 정중하게 놓아 보냈다.
그래서 인상여(藺相如)가 천하의 보옥을 그냥 뺏길뻔 한 것을 기지(機智)로 흠집
하나 없이 온전히 가지고 돌아왔다고 해서 완벽(完璧)이라는 성어가 생겨났다.
진(秦) 26년 초(楚)를 멸망시키고 이 옥을 얻은 시황제(始皇帝)는 옥공(玉工)으로
하여금 도장을 깎게 하고 재상 이사(李斯)에게 여덟 자를 전서(篆書)로 쓰게 해서
처음 옥새로 사용하게 되었다.
受命於天(수명어천) 명을 하늘로부터 받았으니
旣壽永昌(기수영창) 오래 가고 크게 뻗으리라
※일종의 야광주(夜光珠) 화씨벽이 그토록 유명했던 것은 구슬이 있는 백보 안에는
파리와 벌레가 들어오지 못하고 여름엔 부채가 필요 없었기 때문이다.

첫댓글 완벽의 의미는 알았으나, 이를 알아보지 못한
권력자들에게 월형을 당한 이들이 있다는 건
몰랐습니다.
그들의 억울함을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