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리즈의 글들에서는 올해의 날 중 성경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는 기간인
2015.09.17 ~ 2015.11.12 동안 발매된 곡을 살펴보겠습니다.
곡이 많은 관계로 여러 편으로 나누었으며, 이 글은 이번 시리즈의 글들 중에서 2편격의 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의 글에 이어서, 다음 곡을 살펴보겠습니다.
태연이 솔로 활동으로 2015.10.07에 발매한 'i'이라는 곡입니다.
'i'의 홍보용 화보를 살펴보겠습니다.
화보는 벚꽃을 강조하였습니다. 벚꽃은 일본을 상징하는 꽃입니다.
그리고, 화보의 좌측 하단에 있는 바코드가 인상적인데, 바코드의 숫자는 그 배열상 '8 & 809269 & 5053
& 23'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숫자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단계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로,
809269는 8092 및 69로 나눌 수 있는데, 8092는 레고(lego)의 스타워즈
판(版) 일련번호이며, 69는 태연 'i'가 발매된 시점을 기준으로 마지막으로 개봉된 스타워즈 영화 시리즈인 '보이지 않는 위험'이 우리나라에서
개봉될 당시 '조지 루카스' 감독의 나이가 우리나이로 69세였다는 점에 부합합니다.
두 번째로,
5053은 '오공오삼'으로 읽을 수 있는데, 이는 '오공이여, 어서오세요'를 말을 간단히 줄인 말입니다.
화보는 일본을 강조하였음을 고려할 때, 어서오기를 바라는 오공은 다름이 아니라 일본의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드래곤볼'의 주인공인 오공 즉,
카카로트를 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드래곤볼에 등장하는 카카로트는 별 하나를 가볍게 박살낼 수 있을 정도로 강한 전투력을 자랑하는 외계인입니다.
첫 번째 ~ 두 번째 과정을 종합하면,
(일루미나티는) 강력한 힘을 가진 외계 세력을 끌어들일 것이며, 이 계획은 보이지 않는 위험 즉, 대중들은 결코 알 수 없는 계획이라는
암시가 됩니다.
세 번째로,
바코드의 시작 부분에 있는 숫자인 8은 생존을 상징하는 수입니다. [대홍수에서 살아남은 노아의 가족의 인원수가 8명이므로 8은 생존을
상징]
네 번째로,
바코드의 끝 부분에 있는 숫자인 23은 죽음을 상징하는 수입니다. [23은 인간의 염색체 쌍 수 인데, 원죄 사건 이후로 인간은 죽을
수밖에 없는 숙명에 처했으므로 23은 죽음을 상징]
화보의 바코드가 의미하는 바를 종합하면, (일루미나티가 끌어들이려는) 외계세력은 인류의 사활을 좌지우지 할만큼 큰 영향을 미칠 '보이지
않는 위험'이라는 암시가 됩니다.
태연 'i' 뮤비의 주요 장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태연 'i' 뮤비는 크게 두 가지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먼저, 영국 런던에 위치한 축구장인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작전명 '코드 9' 혹은 '코드 999'이 실행될 것이니 대피하라는
암시입니다.
어째서 그러한지 주요 장면에 번호를 붙여서 살펴보면...
[1], [2]: 뮤비가 시작될 초기에 두 개의 I(아이)가 합쳐져서 하나의 I(아이)가 되는 장면이 나오는데, I(아이)는 로마자 9번째
문자이므로, 이러한 설정은 일루미나티가 세상의 판세를 뒤집고 혼돈의 세계로 이끄려는 작전인 '코드 9' 혹은 '코드 999'에
부합합니다.
[3], [4], [5], [6]: 태연이 포틀랜드의 한 음식점에서 알바를 하다가 때려친 후 차를 타고 달아나버리는 장면이 나옵니다.
포틀랜드는 '장미의 도시'라는 별명이 있는 도시인데, 이와 일맥상통하는 나라는 장미를 국화로 삼는 나라인 영국입니다.
[7]: 뮤비는 푸른 초원을 강조하는데, 이는 넓은 풀밭에서 하는 게임인 축구를 암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태연의 생일인
3월 9일은 2007년도에 영국 런던에 위치한 축구장인 '웸블리 스타디움'이 개장된 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뮤비는 웸블리 스타디움을 암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종합하면,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작전명 '코드 9' 혹은 '코드 999'이 실행될 것이니, 차를 타고 멀리 달아나라는 암시가 됩니다.
다음으로, 일루미나티는 교회의 이미지를 떨어뜨리는 작전을 구사할 것이라는 암시입니다.
곡명인 'i'는 일루미나티(illuminati)의 이니셜이며, 'i'의 피쳐링을 맡은 인물인 버벌진트와 이 곡을 부른 태연의 생년월일은
각각 1980.12.19 및 1989.03.09로서 3002일 차이가 납니다.
이러한 3002를 앨범의 발매일에 적용하여, 2015.10.07의 3002일 전의 날을 계산하면 2007.07.19가 도출되는데, 이 날은
샘물교회 교우들이 아프간으로 사역을 갔다가 탈레반에게 납치된 날입니다.
이후 정부는 수백억원의 돈을 탈레반에게 지불하고 샘물교회 교우들을 빼냈는데, 이 사건을 계기로 교회의 위상은 바닥으로 떨어졌습니다.
참고로, 한국판 일루미나티 카드인 14.8 프로젝트 카드에도 교회는 일루미나티가 좋아하는 밥(?)이라는 점을 암시한 카드가
있습니다.
이어서, 다음 곡을 살펴보겠습니다.
걸그룹 멜로디데이가 2015.10.07에 발매한 '스피드업(speed up)'이라는 곡입니다.
'스피드업'의 홍보용 화보를 살펴보겠습니다.
화보는 이스라엘의 회개 촉구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단계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로,
화보는 카레이싱(자동차 경주)을 지향함을 알 수 있는데, 카레이싱에 나서는 레이싱카는 땅 위에서 달리는 자동차임에도 불구하고 그 속도가
하늘을 나는 비행기에 버금갑니다. 그리고, 레이싱카는 경기 중에 붕붕거리는 소음을 굉장히 크게 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레이싱카의 특징에 가장 잘 부합하는 동물은 땅에서 뛰기도, 하늘을 날기도 하는 동물이자 떼거지로 모이면 붕붕거리는 큰 소음을
내는 동물인 메뚜기입니다.
이렇게 도출된 메뚜기와 밀접한 책은 메뚜기떼 재앙이 언급된 책이자 성경의 29번째 책인 '요엘서'입니다.
두 번째로,
화보에서 멜로디데이 멤버들이 다락방으로 가는 길목을 막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성경에서 가장 유명한 다락방은 성령님께서 강림하신 장소인 '마가의 다락방'인데, 마가의 이름을 딴 책은 성경의 41번째 책인
'마가복음'입니다.
곧, 첫 번째 두 번째 과정을 통하여 도출되는 숫자는 29 및 41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29와 41은 둘을 곱하면 1189 즉,
성경의 총 장 수가 됩니다.
세 번째로,
화보를 보면, 카레이싱에서 1위로 들어오는 차가 골인했을 때 드는 깃발인 '체크기'가 유민과 차희 사이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는데, 유민의
생년월일인 1993.08.29와 차희의 생년월일인 1996.03.24는 134주일 차이가 납니다.
이렇게 도출된 134를 다시 달력에 적용하면 평년의 134번째 날인 5월 14일이 도출되는데, 5월 14일은 이스라엘의
건국일입니다.
종합하면, 화보는 이스라엘 민족이 신약성경까지 포함하여 총 1189장으로 이루어진 성경을 인정하고 좁은 길을 가야만 이기는 자가 될 수
있다는 암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어서, 다음 곡을 살펴보겠습니다.
빈지노가 2015.10.09에 발매한 '브레이크(break)'라는 곡입니다.
'브레이크'의 홍보용 화보를 살펴보겠습니다.
빈지노가 수박으로 만든 헬멧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수박은 격파 시범을 보일 때 단골로 사용되는 물건인데, 곡명은 'break(부수다)'입니다.
즉, 화보는 머리를 박살내어달라는 암시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화보를 잘 살펴보면 헬멧의 겉표면에 뱀의 혀를 연상시키는 문양이 새겨져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뱀은 사탄을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동물입니다.
여기서, 앨범의 발매일을 되새겨보면 2015.10.09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유대력으로 5776년도의 27번째 날에 해당되며, 27은
신약성경의 총 권 수입니다.
화보가 암시하는 바를 종합하면, 예수님의 병사이기도 한 신약성도들은 사탄의 머리를 박살내야 하는데, 사탄에 대해 수박 겉 핥기 식으로
연구하여 너무 무지한 나머지 도리어 사탄에 의해 머리가 박살난다 즉, 신약성도들이 사탄에게 속절없이 당하고 있는 실태를 암시하고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이어서, 다음 곡을 살펴보겠습니다.
자이언티가 2015.10.12에 발매한 '노메이크업(no make-up)'이라는 곡입니다.
'노메이크업'의 홍보용 화보를 살펴보겠습니다.
화보를 좌우대칭 해보면, 화보에 등장하는 여자의 팔 모양이 로마자 'Lv'를 띄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Lv는 레벨(Level)의 이니셜이며, 앨범의 발매일인 2015.10.12는 금년의 285번째 날입니다.
곧, 화보는 285레벨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는데, '노메이크업' 앨범 발매일을 기준으로 285레벨이 만렙인 게임은 넥슨 게임
'테일즈위버'입니다.
테일즈위버(talesweaver)는 둘로 나누면 보결배심원(tales) 및 방직공(weaver)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결배심원은 결원이 생겼을 때 그 결원을 메워주는 사람이므로, 테일즈위버는 베를 짜는 사람이 부족할 때 언제든지 대체 투입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응용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테일즈위버의 상징로고를 살펴보면, 천사의 날개를 연상시킨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곧, 테일즈위버는 천사처럼 영생하기 위해 입을 옷인 '세마포'를 짜는 사람이 부족할 때, 언제든지 대체 투입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한번 더 응용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테일즈위버를 암시한 곡인 '노메이크업'은 말 그대로 화장이 덜됐다 즉, 신부단장이 덜됐다는 뜻으로 응용될 수 있습니다.
화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종합하면, 천사처럼 영생을 하기 위한 세마포를 짜는 사람이 부족할 때 대체 투입할 사람조차 준비가 덜됐다 즉,
하나님의 일을 하는 사역자가 너무도 부족하다는 암시가 됩니다.
이어서, 다음 곡을 살펴보겠습니다.
보이그룹 비투비가 2015.10.12에 발매한 '집으로 가는 길'이라는 곡입니다.
'집으로 가는 길'의 홍보용 화보를 살펴보겠습니다.
비투비 멤버들이 입은 옷의 매무새 및 자세가 여자처럼 여리여리하게 느껴지겠끔 화보를 촬영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GMT0기준으로 앨범이 발매된 날짜인 10월 11일은 영국에서 매년 '커밍아웃의 날'로 삼는 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화보는
성정체성혼란 및 동성애를 암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앨범은 발매 당일 자정에 공개됨으로 GMT0 기준으로는 전 날에
해당되며, 때문에 발매와 동시에 뮤비를 게시하면 유튜브에 뜨는 게시일은 GMT0 기준으로 적용되어 앨범의 발매일과 하루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화보를 살펴보면, 화보의 명칭이 'i mean ( )'임을 알 수 있는데,
이 중에서 'i mean'은 발음하면 '아이민'으로서 '하나님의 뜻대로 될지어다'라는 뜻을 가진 구호인 '아멘'과 그
발음이 흡사합니다.
그런데 화보의 빈 괄호를 잘 보면, 그 밑에 정육면체로 다듬은 돌이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정육면체로 다듬은 돌은 프리메이슨의
상징입니다.
화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종합하면, 성정체성혼란과 동성애의 만연은 프리메이슨의 바라는 것이며, 프리메이슨은 이 바람이 자신들의 뜻대로 될
것임을 확신한다는 암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집으로 가는 길' 뮤비를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뮤비를 보면, 비투비 멤버들이 가난과 고난 때문에 방황하며 어긋난 길을 가게 된 내용이 주를 이루는데, 전당포에서 건달들과 엮이게 된
사건이 비투비 멤버들이 어긋난 길을 가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성경적 교훈을 되새겨 볼 수 있습니다.
"네 이웃에게 무엇을 꾸어줄 때에 너는 그의 집에 들어가서 전당물을 취하지 말고 너는 밖에 서 있고 네게 꾸는 자가 전당물을 밖으로 가지고
나와서 네게 줄 것이며 그가 가난한 자이면 너는 그의 전당물을 가지고 자지 말고 해 질 때에 그 전당물을 반드시 그에게 돌려줄 것이라 그리하면
그가 그 옷을 입고 자며 너를 위하여 축복하리니 그 일이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네 공의로움이 되리라" [신명기 24장 10절 ~
13절]
첫댓글 감사합니다. 수고 많이 하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