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록 전투의 상황도
사이공 북방의 타이닌(Tay Ninh) 성과 빈롱(BinH Long) 성에 대한 북베트남군의 공격은 4월 1일부터 개시되었다. 북베트남군은 최초에 남베트남군을 기만하기 위하여 타이닌 성 지역에 강력한 공격을 실시하여 남베트남군의 판단을 흐리게 하였다. 록닌(Loc Ninh)을 방어하던 남베트남군은 제5사단 예하 1개 연대와 1개 레인저대대, 1개 기갑수색 대대로서 4월 5일 수색작전 동안 북베트남군과 조우하여 많은 피해를 입고 록닌으로 철수하였다. 다음 날 북베트남군 제9사단은 강력한 보병, 전차 협동공격으로 일거에 록닌을 점령하여 남베트남군을 거의 전멸시켰다. 남베트남군은 북베트남군이 이 지역에서 전차부대를 운용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하였기에 속수무책이었다.

북베트남군의 T-54 탱크

1972년 빈롱성에서 북베트남군의 움직임
북베트남군의 록닌 공격으로 적의 주공이 안록(An Loc)으로 지향될 것으로 판단한 남베트남군은 제4군단 예하인 제21사단과 1개 공수여단을 안록에 증원토록 하였다. 공수여단은 즉각 13번 도로를 따라 북상하였으나 이미 북베트남군 제5사단이 안록을 우회하여 도로를 차단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수여단은 도로를 개통시킬 수 없었다. 이제 안록도 북베트남군 2개 사단에 완전 포위되어 보급은 공수에 의존하여야 했다.

안록 전투에 투입되는 남베트남군

작전을 협의하는 남베트남군 장교들
안록의 방어병력은 지방군 외에 남베트남군 제5사단의 2개 연대 규모 6,000여 명이었다. 4월 13일부터 북베트남군의 본격적인 공격이 시작되었다. 13번 도로를 따라 야간에 안록으로 남하하는 북베트남군 전차부대를 B-52 폭격으로 무력화시켰고, 야간에도 계속 항공조명을 실시하면서 건쉽이 지원되었다. 남베트남군은 M72LAW로 적 전차를 공격하였다. 4월 16일까지 북베트남군은 안록 동쪽에 위치한 비행장 일대를 점령하였다. 시가전이 벌어졌으나 북베트남군 전차는 파괴된 건물의 잔해로 기동이 곤란하고 미군의 항공기와 M72LAW에 노출되어 이번에는 북베트남 전차들이 속수무책이었다.

안록에서 불타는 북베트남 전차들
4월 22일부터 피아 포격전이 시작되었다. 북베트남군도 일일 평균 1,000~2,000발의 포탄을 퍼부었다. 인구 2만의 안록 시가는 폐허가 되고 남베트남군 병력도 1/4이상이 부상당하였다. 5월 10일에 북베트남군 4개 연대가 총공격을 감행하여 시가전에 돌입하였으나 미군의 공중공격에 지탱하지 못하고 5월 15일부터 북베트남군은 철수하기 시작하였다.

안록에서 시가전을 벌이는 남베트남군
그러나 남베트남군 제21사단은 막대한 피해만 입고 13번 도로를 개통시키지 못하였고, 이 사단과 교대한 제25사단도 끝내 이를 개통시키지 못하였다. 북베트남군의 대공포화로 4월 12일 이후 헬기보급은 중단되었다. 최초에는 C-123수송기에 의한 저공 공중투하 방식으로 보급을 하였으나 북베트남군의 대공사격으로 격추되기 시작하자 C-130수송기를 운용하여 고공 공중투하 방식으로 보급을 계속하였다. 90% 정도의 보급물자가 예정된 투하지점에 투하되었다고 미군은 자랑하였으나 육로를 개통시키지 못하는 남베트남군의 무능 때문에 미군은 비싼 대가를 치러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