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새해 설레이는 첫 달, 1월 새로운 특강을 준비했습니다. 오랜 기간 제 마음에 담아왔던 내용인데요. 이제야 나누게 되었습니다. 😊
처음에 어떤 이유로 시작했든 요가를 하다보면 누구나 감정적으로 동요하던 마음이 안정되고 평온해 지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저 역시 그런 경험에 끌려 요가에 빠지게 되었던 것 같구요. 그리고 궁금해졌습니다. 어떤 원리와 메커니즘으로 이걸 설명할 수 있을까? 몸을 움직이는데 왜 마음이 편안해지지? 몸과 마음은 무슨 관계가 있을까? 제가 공부할 당시에도 요가를 하면 이러저러한 심리적 효과가 있다는 건 많이 나와있었지만 그 과학적 원리에 대해서는 잘 알수가 없었습니다. 이 원리에 대한 궁금함은 저를 좀 더 깊은 공부로 이끌었습니다. 요가치료 전공 대학원을 다니고 심리상담 석사 복수전공을 하고, 불안 등 요가를 통한 정서조절에 관한 논문을 쓰고 트라우마와 관련된 책을 번역하게 되었습니다. 박사논문은 요가와 정서조절 관련 메커니즘을 밝히는 내용이었구요. 요가는 “마음의 동요를 멈추는 것”, “마음의 소용돌이에 휩쓸리지 않는 것” 입니다. 너무나 당연하게 요가의 진정한 의미와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적 관점에서 뿌루샤, 쁘라끄리티, 프라나, 차크라, 나디, 빤차꼬샤 등 요가 철학과 이론을 공부해야 하며 아사나, 호흡, 명상 등 수련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대인으로서 우리는 현대과학적 관점에서 그 효과와 원리도 이해해야 합니다. 이는 요가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깊어지게 하며, 대중적으로 요가의 가치를 알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어떤 과학적 메카니즘을 통해 요가가 우리의 감정을 다스리고 궁극적으로는 뇌에 변화를 일으키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 이 원리를 실제 수련에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 이번 특강을 통해 자율신경계와 스트레스, 내부수용감각, 신경가소성 등 신경생리학과 신체표지이론, 뇌과학, 다미주신경 등 다양한 이론과 함께 요가의 과학적 원리를 이해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론과 함께 간단한 실습이 포함됩니다. 소중한 인연으로 함께할 분들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학교 수업을 포함하여 어떤 수업이든 저와 인연있었던 분들은 기존 수업 참가자로 할인 가능합니다. 🪷 비용 | 9만원 (기존 수업 참가자 7만원, 12/31까지 등록 완료시 8만원) 🪷 신청 | https://bit.ly/요가마음원리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