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문계살(屠門戒殺)
푸줏간에서 소 잡지 말란다는 속담으로, 도저히 행할 수 없는 일을 경계한다는 뜻을 이르는 말이다.
屠 : 죽일 도(尸/9)
門 : 문 문(門/0)
戒 : 경계할 계(戈/3)
殺 : 죽일 살(殳/7)
출전 : 고금소총(古今笑叢)
자신의 주제나 능력을 알지도 못하면서 허세를 부리거나 불가능한 일에 도전하는 사람이 주변에 흔하다.
속담이나 성어가 많은 것도 분수 모르는 사람이 많기 때문일 것이다. '공자 앞에서 문자 쓴다', '지붕의 호박도 못 따면서 하늘의 천도(天桃) 따겠단다' 등의 속담이 잘 말해준다.
기술의 달인 노반(魯班)의 문 앞에서 도끼를 자랑한다는 반문농부(班門弄斧), 조그만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에 막아서는 당랑거철(螳螂拒轍) 등의 성어는 모두 자기 역량을 모르고 위세를 부리는 야랑자대(夜郞自大)와 같다.
반면 아무리 노력을 해도, 오래 기다려도 가능하지 않은 일도 있다. '바람벽에 돌 붙나 보지'란 말은 되지도 않을 일이거나 오래 견뎌 나가지 못할 일은 아예 하지도 말라는 뜻이다.
'그 사람 인간되기는 백년하청'이라 말하면 사람 구실을 못할 사람이니 상종하지 말라는 이야기다.
짐승을 잡아 고기를 파는 거리(屠門)에서 살생을 하지 말라고 점잖게 훈계(戒殺)하면 생업을 포기하라는 소리이니 먹혀들 리가 없다. 부처를 논하는 도문담불(屠門談佛)도 어울리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우리 속담을 한역한 '순오지(旬五志)'에는 '개백정보고 살생하지 말란다'고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비어를 등장시켰지만 더 앞서 조선 전기 문신 서거정(徐居正)의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에 재미있는 이야기로 등장한다. 내용을 간단히 보자.
서울서 경주로 내려간 젊은이가 관아의 한 요염한 창기에게 홀딱 반했다. 상경할 때 서럽게 우는 창기에게 보따리를 털어 주었으나 재물을 원하지 않는다며 앞니 빼어주기를 원했다.
할 수 없이 이를 빼어주고 온 젊은이는 이 창기가 다른 남자를 사귄다는 소식을 들었다. 화가 치민 젊은이는 하인을 시켜 앞니를 찾아오도록 시켰다.
하인이 찾아가니 창기가 비웃으며 말했다. "어리석은 어린놈이 백정에게 살생하지 말라고 타이르고, 창녀보고 예절을 갖추라고 하는 격이니 바보 아니면 망령든 놈이로다(癡孩子, 屠門戒殺, 娼家責禮, 非愚則妄)."
그러면서 자루를 던져 주니 그 속에는 치아가 가득했다. 자기만 사랑한다고 살살대던 창기가 스쳐간 남자에게서 하나씩 얻은 것이 한 자루였다. 기생에게 예가 없다고 꾸짖어봐야 효과 없다는 창가책례(娼家責禮)도 여기서 나왔다.
한 사람이 "앞니가 확 트이고 까까머리 되는 것은 장수의 조짐(齒豁頭童是壽徵)"이라 놀려도 할 말이 없게 됐다.
나라의 앞일을 항상 걱정하는 우리 국회는 다른 정파의 의원들과 일치하는 의견이 거의 없다. 급박한 일이라 합의를 하고서도 돌아서면 자기 당의 이익만 따진다. 이런 국회에서 화합을 바라는 것은 어디에 훈계를 하는 것과 같지 않을까.
◼ 고금소총(古今笑叢) 第2集
18. 색환판치(索還板齒)
앞 이빨을 다시 찾아오다.
鷄林有一官娼, 美而艶, 有長安一少年, 情頗珍重.
계림(鷄林; 경주의 옛 이름)에 한 관기(官妓)가 있었는데 아름답고 요염(妖艶)했으며, 서울의 어느 청년(靑年)이 (경주에 갔을 때 그 관기에 대한) 사랑이 자못 귀중(貴重) 하였다.
娼給曰; 妾本班閥, 沒入爲婢, 時未經男子.
그 기생(妓生)이 청년에게 이르기를, "저는 본래 양반 문벌의 딸이나 잘못 빠져들어 종(관기)이 되었는데, 아직 남자를 겪지 않았다" 하니,
少年尤惑之, 娼臨別, 善哭, 少年傾行橐而贈之則,
청년이 더욱 그녀에게 현혹 되었는데, 기생이 청년과의 이별에 임하여 슬피 우니까 청년이 노자 돈을 꺼내서 그녀에게 주니,
娼謝曰: 願得切身之物, 不願財賄.
기생이 사양하면서 말하기를, "몸에 붙은 사물을 얻기를 원하지, 재물 선물은 원하지 않습니다" 하니,
少年卽斷髮與之, 娼曰: 毛髮猶外也 願得尤切者.
청년이 곧 자신의 털을 잘라 그녀에게 주니, 기생이 말하기를, "털은 몸 밖의 것과 같으니 이보다 더욱 절실한 것을 얻기를 원합니다" 하거늘,
少年, 斫板齒而與之.
이에 청년이 앞 이빨을 뽑아 그녀에게 주었다.
及還京忽忽不樂, 人有鄕來者, 少年兼問, 娼纔別後就他家.
그리고 서울로 돌아오고 나서는 멍하니 정신을 잃고 매사에 기쁨을 느낄 줄 몰랐는데, 마침 사람 중에 시골(경주)로 부터 온 자가 있어 겸사해서 그 기생에 관해 물었더니, 그 기생이 청년과 이별하자 마자 곧 다른 사람의 애인이 되었다고 하는지라.
怒之而遣蒼頭, 索還板齒.
청년은 그녀에게 화가 나서 노복을 경주로 보내 자신의 앞 이빨을 도로 찾아오도록 하였다.
娼撫掌大笑曰: 痴垓字 屠門戒殺 娼家責禮, 非寓則妄.
그래서 노복이 기생에게 가서 말하니, 기생이 손바닥을 어루만지며 크게 비웃어 말하기를, "어리석은 어린아이가 백정(白丁) 세계에서 살생을 훈계하고, 기생 세계에서 예법(禮法)을 책망하니, 바보가 아니면 정신이 나간 놈이구나."
可揀兼痴孩子齒去, 擲一布袋, 乃平生所得男齒也.
가릴수 있다면 어리석은 아이의 이빨을 기지고 가라며 하나의 베주머니를 던지 길래, 그것들은 곧 평생에 얻은 남자들의 이빨(齒)이었다.
有人題詩曰:
어떤 사람이 시를 지었다.
年少風流見未曾
이 소년의 풍류는 일찍이 보지 못하던 것으로
娼家責禮竟可能
창녀에게 예를 요구함은 끝내 어찌 가능하랴만
莫言這物恩情薄
그녀에게 은헤와 사랑이 박하다 말하지 마라
齒豁頭童是壽徵
앞니가 탁 트이고 민둥머리 된 것은 장수의 조짐이니
◼ 고금소총(古今笑叢)
서거정(徐居正)의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43. 屠門戒殺
鷄林有一官娼 美而艶 有長安一年少 情頗珍重 娼 紿曰妾本閥閱 沒爲婢 時未經男子 年少 尤惑之 娼臨別 善哭 年少 傾行橐贈之 娼謝曰願得切身之物 不願財賄 年少卽斷髮與之 娼曰毛髮猶外也 願得尤切物者 年少斫板齒與之
及還京 忽忽不樂人有自鄕來者 年少廉問 娼 纔別 就他家 怒之 馳遣蒼頭 索還板齒 娼撫掌大笑曰癡孩子 屠門戒殺 娼家責禮 非愚則妄 可揀爾癡孩子齒去 擲一布袋 乃平生一得男齒也 有人題詩曰年少風流見未曾 娼家責禮竟可能 莫言這物恩情薄 齒豁頭童是壽徵
◼ 고금소총(古今笑叢)
민간에 전래하는 문헌소화(文獻笑話; 우스운 이야기)를 집대성한 설화집으로, 대략 19세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속에 수록된 소화집의 편찬자는 대개 알려져 있다.
1947년송신용(宋申用)에 의하여 '조선고금소총(朝鮮古今笑叢)'이라는 제목으로 제1회 배본에 '어수록(禦睡錄)'이, 제2회에 '촌담해이(村談解頤)', '어면순(禦眠楯)'이 한 권으로 묶여 정음사(正音社)에서 출판되었다.
1959년 민속자료간행회에서 '고금소총' 제1집이 유인본으로 간행되었는데, 이 속에는 서거정(徐居正) 편찬의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홍만종(洪萬宗)의 '명엽지해(蓂葉志諧)', 송세림(宋世琳)의 '어면순', 성여학(成汝學)의 '속어면순', 강희맹(姜希孟)의 '촌담해이', 부묵자(副墨子)의 '파수록(破睡錄)', 장한종(張寒宗)의 '어수신화(禦睡新話)', 그 밖에 편찬자 미상의 '기문(奇聞)', '성수패설(醒睡稗說)', '진담록(陳談錄)', 교수잡사(攪睡襍史) 등 모두 789편의 소화가 수록되어 있다.
한편, 1970년조영암(趙靈巖)은 '고금소총'이라는 표제로 소화 379편을 번역하고 그 원문까지 인용하여 명문당(明文堂)에서 발간한 바 있다.
소화(笑話)로서의 특징은 한문소화로서 일반적인 소화와 구별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인 소화는 구전하여 전래하는 구비전승인데, 여기에 수록된 소화는 이미 몇 백 년 전에 문헌으로 정착되어 전하고 있고 한문으로 기록 되었으며, 수집, 편찬한 작자들이 대개 한학자이자 문장가요, 관료나 양반들이라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화에 등장하는 인물의 신분, 성격, 주제, 구성 등이 일반 구비소화와 판이한 데가 있다.
오직 웃음을 유발시키는 이야기요, 단편 형식을 취하는 점에서는 일반소화와 다를 바 없으나, 역시 문장화되어 전하기 때문에 작품으로서의 짜임새나 표현기교는 훨씬 세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한문소화는 학자나 양반 등의 특정인에 의하여 수집, 편찬되었기 때문에, 편찬자의 창의와 윤필(潤筆)이 가미되어 순수한 구비전승물로 볼 수 없으며, 좀더 과장하여 편찬자의 창작적 의도에 의하여 씌어진 것도 있다.
한편, 한문소화의 주인공은 바보나 꾀쟁이, 재담꾼 등으로 국한되지 않고 위로는 왕후장상으로 부터 학자, 관료, 양반, 중인, 무당, 판수, 승려, 기생, 노비에 이르기까지 빈부와 남녀노소가 다 웃음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요컨대, 한국인이면 현우(賢愚)와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 등장하므로 문헌소화는 일반 구전소화보다 더 개성적이요, 더 현실적이다.
또한, 한문소화에서는 남녀의 육담(肉談), 이른바 외설담이 그 양이나 질에서 모두 우세하고 또 과감할 정도로 노골적임이 특징이다. 그러면서도 웃음을 반드시 동반하여 소화로서의 본질을 망각하지 않는다.
이 밖에도 문헌소화의 편찬 의도는 비록 유희적인 이야기를 본령으로 하더라도, 반드시 권계(勸戒)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좀 지나친 외설담이라 할지라도 은연중 교훈의 냄새를 풍기며, 심지어 각 소화의 끝에 건전한 평까지 부연하여 도덕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소화는 과장, 모방, 치우(癡愚; 못생기고 어리석음), 사기, 경쟁담 등으로 분류함이 일반적이다. '고금소총'은 외설담에 비중을 많이 두고 편찬된 소화이기 때문에, 이것을 주로 하여 분류하면 먼저 외설적인 것과 비외설적인 것으로 나누어진다.
비외설적인 것은 다시 단순한 웃음을 유발하는 것과 슬기와 재담이 곁들여진 것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를 치우담이라 한다면 후자는 지혜담이라 할 수 있다.
치우, 지혜, 외설담 중에서는 그 구성이 단편소설과 비슷하거나 조선시대의 고대소설과 같은 궤(軌)인 것들도 있다. 양으로도 길뿐만 아니라 등장인물들도 다양하기 때문에 고소설연구에 필요한 자료가 된다.
수록된 소화에 나타난 해학을 정리하면 첫째, 아무리 익살스러운 사람이라도 혼자서는 해학의 연출이 불가능하여 듣는 자나 쏘는 자 없이 이루어지는 두 사람의 관계에서는 해학의 조성이 힘드므로 매개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승려와 여인의 관계에 있어서는 상좌라는 매개자가 필요하고, 관료와 기생의 관계에서도 방자 또는 그것을 엿보는 제3자가 있게 마련이다.
부부의 비밀스러운 작업만으로는 웃음이 유발되지 않지만, 철모르는 자식이나 또는 장성한 자식의 개입으로 비로소 웃음이 나오게 된다.
주인과 여종의 관계에는 본처의 개입이나 비부(婢夫) 또는 다른 노복(奴僕)이 참여하게 된다. 그래야만 주인은 바보나 병신으로 둔갑하여 해학적인 인간이 된다. 파계승이나 호색양반들도 마찬가지이다.
소화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치우담도 거의가 이런 인간관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명사들의 일화도 반드시 방관자가 있어야 한다.
둘째, 외설담은 비윤리적이고 범법적(犯法的)인 과감한 행위에서 이루어진 것이 많다. 과거에 객사의 유부녀를 범하는 것이나 수절과부를 꾀어내는 행위가 그것이다.
여종이나 노복과의 행위도 윤리적 관념이 앞서면 불가능하다. 요컨대, 기존질서나 법적 구속에서 탈출하는 행위가 웃음의 대상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체면과 권위만을 내세우는 학자나 양반이, 또는 수도에만 전념해야 할 승려가 그 울타리에서 탈출하여 과감한 엽색행각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
이것만으로도 웃음을 자아내는데 우리는 그 범법을 책하기 전에 인간본연의 자세로 돌아간 그 인간성에 동정마저 느끼게 된다.
외설담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가공의 이야기도 많다. 그것은 호사가나 이야기꾼이 지어낸 것인 줄 뻔히 알면서도, 만용적인 탈출, 인습에 대한 반항, 제도의 타파에 쾌감을 느낀다.
이런 기발한 해학은 외국에도 있겠지만 그 한국적인 인간군상이 한국인의 공명과 공감을 사게 되는 것이다.
셋째, 웃음은 공동사회의 요구에 응하여 생긴다. 즉, 어떤 특수사회의 습속(習俗)이나 관념, 그리고 그들만이 가지는 언어와 습관과 불가분의 상관성이 있다.
원리적으로 말한다면, 서민사회에 뛰어든 양반의 해학에는 서민은 무감각하나 성(性)의 세계에서는 그렇지 않다. 양반과 기생, 여종과의 관계, 노복과 여주인과의 관계가 그렇다.
기생은 비록 천민이지만 그 활동무대가 양반사회라는 데서 공동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고, 여종은 오직 성의 비밀스러운 대상으로 양반과 사귀고 있기 때문에, 공동사회의 참여자는 못된다는 기이한 현상이 있다. 양반들의 재담에 기생은 상대가 되지만 여종은 어림도 없기 때문이다.
넷째, 표현기교에서 한국적인 해학을 체험할 수 있다. 언어가 지니는 민족적 특징은 어느 민족에게나 있기 때문에, 이 언어구사의 묘에서 웃음이 유발되는 경우는 민족에 따라서 다를 수가 있다. 지혜담의 경우는 이것이 더 중요한 구실을 하지만 그 밖의 소화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리 나라의 소화는 한글로 표현된 것과 한문표현의 두 갈래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같은 내용의 이야기라도 한글표현으로는 웃음이 나와도 한문표현으로는 무미건조해지는 경우가 있고, 이와는 반대로 한문표현에서는 웃음이 있으나, 한글표현에서는 웃음을 체험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고금소총'의 소화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많이 발견된다. 특히, 노골적인 외설담에서 표의문자인 한문표현에서는 은근한 해학을 느끼지만, 그것을 표음문자인 한글로 옮겨 놓으면 표현하기도 힘들지만, 그대로 직역해버리면 독자는 웃음은 커녕 오히려 혐오를 금하지 못하게 된다.
339. 명노추치(命奴推齒)
종에게 명하여 이빨을 찾아오라 하다.
士人崔生之父, 爲咸興通判, 生隨之, 而眄一妓沉惑, 及父之遞歸, 生與妓相別, 把手飮泣曰: 一別後, 會面難再, 願得郞君切身之物, 以備不忘之資. 生卽拔一齒與之.
선비 최생의 아버지가 함흥 통판이 되어, 최생이 따라가서, 한 기생에게 깊이 매혹 되었었는데, 아버지가 전직이 되어 돌아감에, 최생과 기생이 서로 이별할 때, 기생이 손을 잡고 울면서 말하기를, "한 번 이별한 후에는 다시 만나기 어려우니, 원컨대 낭군의 몸에서 하나를 띄어 주시면, 잊지 않을 자료로 삼겠습니다" 하니, 최생이 곧 이 하나를 뽑아 주었다.
行至中途, 秣馬路傍樹陰下, 方戀妓抆淚, 俄有一少漢至其處, 揮涕而泣, 又一少漢, 隨至, 亦垂淚,
가는 도중에, 길가 나무 그늘 아래서 말에 꼴을 먹이고 있는데, 바야흐로 기생이 그리워 눈물 닦는데, 갑자기 한 젊은 놈이 그곳에 이르러, 눈물을 닦으며 우는데, 또 한 젊은 놈이 따라와, 역시 눈물을 흘리는지라,
生心怪之而問曰: 汝輩緣何而泣耶?
최생이 마음에 괴상히 여겨 묻기를, "너희들은 어떤 연유로 울고 있는거냐?" 하니,
一漢進曰: 小的卽京宰家奴也, 曾眄咸興妓後, 昵愛已久, 妓爲通判之子所寵, 而爲其舊情, 乘間相從, 方伯之子, 今又納之, 牢閉不出故, 望斷而歸, 是以泣耳.
한 놈이 나서며 말하기를, "소인은 서울의 제상가집 종이온데, 일찍이 함흥 기생에게 빠진 뒤로, 사랑에 빠진지 오래 되었는데, 기생이 통판 아들의 사랑을 받는바 되어, 옛날 정분 때문에 틈이 있을 때마다 서로 사귀었는데, 방백의 아들이 지금 그 받아들여, 문을 굳게 닫고 나오지 않기 때문에, 바램을 끊고 돌아가는 길이라, 이 때문에 울고 있는 것입니다" 하고,
一漢曰: 小的本以京商, 昨年, 往北關, 聞一妓有色, 而衙童方畜之, 小的㗖之以貨故, 偸隙輒通, 兩情交密, 今則衙童纔已還京, 小的自擬縱心酣樂, 豈料方伯之子, 又嬖之, 深鎖營中, 無緣更覘故, 心腸如割, 今見尊公之抆淚, 又見彼人之揮涕則自然悲感, 不覺淚下.
또 한 놈이 말하기를, "소인은 본래 서울의 장사꾼으로, 작년에 북관에 갔다가, 한 기생이 자색이 아름답다 함을 들었는데, 관아의 사람이 바야흐로 기르고 있어, 소인이 재화를 써서 욕심을 부렸기 때문에, 틈을 이용하여 문득 통하게 되어, 두 사람의 정분이 교합하여 은밀했는데, 지금은 관아의 사람이 겨우 서울로 가서, 소인이 스스로 마음을 놓고 즐겼으나, 어찌 방백의 아들이라 생각이나 했겠으며, 또 그 여자를 사랑하여, 깊이 감영에 가두어 두어서, 다시 엿볼 수 없기 때문에, 심장이 찢어지는 것 같았는데, 이제 높으신 어른의 눈물 뿌리는 것을 보고, 또한 저 사람의 눈물 흘리는 것을 보니, 자연히 슬픈 감정이 생겨, 모르는 사이에 눈물이 흘렀습니다" 하니,
生問妓名爲誰, 則兩漢卽幷告之, 生之所眄妓也.
최생이 기생의 이름이 누구냐고 물은즉, 두 놈이 곧 같이 말하는데, 최생이 가까이 한 기생이었다.
生愕然自失曰: 痛哉! 痛哉! 賤物不足關念. 卽命蒼頭, 往推其齒,
최생이 놀라 실망하여 말하기를, "아프고 아프도다! 천한 것은 생각하기에 부족하다" 하고, 곧 노복에게 명하여, 가서 이를 찾아오게 하니,
妓拍掌笑曰: 痴孩子, 屠門戒殺, 娼家責禮, 非愚則妄也.
기생이 손뼉을 이쳐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어리석은 아이는 도살장에 가서 살생을 경계하고, 기생집에 가서 예를 꾸짖는 것이니, 어리석은 자가 아니면 망녕된 자로다" 하며,
遂出擲一布帒於庭曰: 爾主之齒, 吾何能辨知乎, 汝可擇去.
드디어 한 포대를 뜰에 던지며 말하기를, "너의 주인의 이를 내가 어찌 가려볼 수 있겠느냐, 네가 가려서 가지고 가라" 하니,
蒼頭就而視之, 則齒滿帒中, 可三四斗許, 蒼頭笑而退去.
노복이 나아가 보니, 이가 포대 안에 가득 한데, 거의 서너 말이나 되는지라, 노복이 웃으면서 물러갔다고 한다.
野史氏曰: 楊子拔一毛而利天下, 猶且不爲, 況迷於一姬, 甘心拔齒, 不顧父母之遺體, 惑之甚者也.
야사씨가 말하기를, "양자는 털 하나를 뽑아 천하를 이롭게 한다 하더라도, 오히려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하물며 한 여자에 미혹되어, 기꺼이 이를 빼어주고, 부모님께서 물러주신 몸을 돌아보지 않았으니, 유혹됨이 심한 사람이라 할 것이다.
及聞樹下兩人之言後, 大悟娼女之淫穢, 乃欲還已拔之齒, 齒雖可推, 其能復植耶.
또한 나무 밑에서 두 사람의 말을 들은 후에, 창녀의 음란하고 더러움을 크게 깨달아, 이에 뽑은 이를 다기 가져오고자 하였으니, 이는 비록 가져올 수 있으나, 다시 심을 수야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