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완벽주의적 성향때문에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영어같은경우는 익힐려면 틀려도 상관없으니 틀리던 맞던 되는대로 말을 해보고 해야하는데
완벽하게 잘하려고하니 안하게되고 그런 시간이 쌓이다보니 점점 뒷쳐집니다.
또 수학같은 경우는 다른것과 달리 답이 딱 떨어지는 과목인데
잘 되는것은 더 하려고 하지만 자꾸 틀리는건 그걸 왜 틀리는지 알아내야 하는데
틀리는 자기자신에게 짜증만 내고 안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쨋든 전 아이가 스스로의 기준을 낮추는게 수준이 떨어지는게 아니란걸 인지시켜주고 싶은데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 모르겠어요.
좀 조와주세요..
A.
안녕하세요?
네, 어머니 말씀처럼 완벽주의 성향이 있는 아동들은 자존감이 많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또한 또래관계에서 친구들과 사이가 벌어지는 영향이 있을 수 있지요. 아이의 성향과 더불어 부모님의 피드백이 중요한데요. 결과에 중심을 두신 칭찬의 방법은 아동의 이러한 성향에 불을 붙이는 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온라인 상담만으로는 아이에게 정확한 도움을 주기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아이의 어떠한 측면이 원인이 되었는지 보다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져야 그에 맞는도와줄 수 있는 방식을 찾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가능하시다면 센터를 내방하셔서 아동에 대해 보다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주시고,아동의 심리검사를 통해 아동에 대해 파악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전문가의 도움 없이 현재의 상태가 지속되면 자존감이 많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가까운 센터를 방문하셔서 도움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감사합니다.
자신의 세계에 갇혀 있는 우리 아이, 세상 밖으로
1. 아이가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아이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알아야 합니다.
아이가 어떤 가치를 침범 당했을 때 자존심이 상해하는지, 어떤 가치를 유독 과장하여 드러내고 싶어하는지를 유심히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가치를 통해 아이의 숨은 욕망을 파악하고, 건강한 충족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2. 아이에게 타인의 감정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돕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아이와 동일한 상황에 놓인 타인의 감정은 어떨 것 같은지 함께 이야기 나누고, 아이의 행동에 타인은 어떤 감정을 느끼며 반응할지 주변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 아이는 자신만의 세계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상을 볼 수 있게 됩니다.
3. 아이가 타인의 평가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합니다.
‘자기애’라는 말이 주는 느낌과 다르게, 자기애는 자존감의 적입니다.
자존감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타인의 부정적 평가에도 스스로를 지킬 힘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기애 성격특성은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쉽게 좌절하고 무너집니다.
아이가 타인의 평가가 아닌 스스로에서부터 만족하고 단단해지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스스로와의 약속 지키기 활동은, 이러한 아이의 내면 성장을 돕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초등 고학년 사회성 증진 집단 프로그램 종결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4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29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d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참고문헌
김선호, “’나르시시즘’에 빠진 아이들”, 한겨레, 2019.09.30.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911530.html
나빛나,and 장성숙. "고등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우울 관계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8.1 (2016): 1-23.
김지선,and 이소연.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상담연구 26.2 (2018): 365-383.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정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