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권대가는 전환사채의 발행가액에서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차감한 잔액이 전환권대가가 됩니다. 이 현금흐름에는 상환할증금도 포함해서요. 숫자가 너무 커서 위에식으로 말고 쉽게 예를 들면 현재가치는 90원인데 100원에 액면 발행한 1년만기 사채의 현재가치. 즉 90원 ( 액면가 할인해서 80원 액면이자 할인해서 5원 상환할증금 할인해서 5원으로 가정) 과 100원의 차이인 10이 전환권대가가 됩니다. 두번째 질문하신 대가+할증금 = 조정 맞습니다.
첫댓글 ㅡㅡ
전환권대가는 전환사채의 발행가액에서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차감한 잔액이 전환권대가가 됩니다. 이 현금흐름에는 상환할증금도 포함해서요. 숫자가 너무 커서 위에식으로 말고 쉽게 예를 들면 현재가치는 90원인데 100원에 액면 발행한 1년만기 사채의 현재가치. 즉 90원 ( 액면가 할인해서 80원 액면이자 할인해서 5원 상환할증금 할인해서 5원으로 가정) 과 100원의 차이인 10이 전환권대가가 됩니다. 두번째 질문하신 대가+할증금 = 조정 맞습니다.
전환권대가 = 발행가액 -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위에선 1,000,000,000 - 1,227,248,000*8%의 3기간 현재가치계수 - 1,000,000,000*1%*8%의 3기간 정상연금의 현재가치계수가 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