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미각여행 취재는 파스타로 하자'고 결정이 나는 순간, 이미 내 입속에서는 조건반사가 일어나고 있었 |
다. 진한 토마토소스에 고기를 갈아 넣은 볼로네제, 걸쭉한 크림소스의 느끼함이 좋은 하얀 까르보나라. |
아~ 못참겠다! 오늘, 맛난 이탈리아 식당으로 파스타 먹으러 가야지 | |
|
 |
파스타? 스파게티? 이태리 국수? |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요리 파스타는 면을 좋아하는 우리나라 |
사람들에게 아주 잘 맞는 요리이다. 가까운 곳에서 늘 접하고 |
자주 먹는 음식이지만, 먹을 때마다 늘 헷갈리는 한 가지. 이 |
요리를 파스타라고 해야 하는지? 스파게티라고 해야 하는지 |
구분하기 쉽지 않다. 정확히 말하자면 둘 다 틀린 이름이다. |
‘파스타’는 수많은 면 종류를 통틀어 일컫는 것이고 ‘스파게티 |
’는 파스타 중 동그랗고 긴 기본적인 면을 일컫는 이름이기 때 |
문. 그러나 보통은 파스타에 소스를 얹어 만든 요리를 ‘파스타' |
라고 부른다. 파스타 면의 종류는 크게 롱파스타와 숏파스타 |
두 가지로 분류된다. 둥글고 가는 면이 특징인 롱파스타에는 |
데 칼국수처럼 생긴 페투치네와 넓적하고 네모난 모양의 라자 |
니아 등이 있고, 숏파스타에는 짧은 파스타의 대표격인 마카로 |
니와 펜 모양을 한 펜네, 조개 모양의 콘키리에, 고기나 치즈 |
등을 넣어 만두처럼 만든 라비올리, 꽈배기 모양의 푸실리 등 |
이 있다. 파스타 요리의 종류 또한 전통적으로 두 가지로 구분 |
된다. 토마토소스를 베이스로 한 빨간 파스타 요리와 우유와 |
생크림으로 만든 화이트소스의 하얀 파스타 요리가 그것이다. |
퓨전이 유행하는 근래에는 고추장을 넣거나 굴소스 등을 이용 |
한 아시안 파스타도 등장해 눈길을 끈다. | | |
|
맛있는 파스타 만드는 비법 한 가지! |
먼저 스파게티 면을 삶는다. 면의 굵기에 따라 |
삶는 시간이 다른데 보통은 겉봉에 쓰여진 시간 |
대로 삶으면 된다. 면이 잘 삶아졌는지 알 수 있 |
는 한 가지 방법은 면을 깨물어보고 단면 안쪽에 |
약간 덜 삶아진 면의 심지가 남이있으면 그때건 |
져낸다. 팬을 달궈 올리브유를 두르고 채 썬 양 |
파와 푸른 피망, 햄 또는 베이컨을 볶는다. | |
 | |
재료가 익으면 스파게티 면을 넣어 함께 볶다가 굴소스를 아주 약간 넣는다. 2인분에 반 스푼 정도. 간이 맞 |
지 않으면 소금으로 간을 한다. 굴소스를 많이 넣으면 굴소스의 느끼함 때문에 망칠 수 있으니 특히 조심할 |
것. 굴소스는 슈퍼마켓에 가면 어디서나 구할 수 있다. | |
|
맛난 파스타에 친절한 서비스까지, Nolita |
이탈리아의 시골 농가를 떠올리게 하는 목가적인 분위기가 파스타의 맛을 더욱 끌어올리는 곳. 명동의류 |
맞은편에 있는 노리타는 친절한 직원들의 마음 씀씀이와 맛있는 파스타가 있는 이탈리안 레스토랑이다. |
‘North of Little Italy’의 앞 글자를 따 만든 이름처럼 노리타는 이탈리아의 맛을 찾는 고객들에게 진정한 이 |
탈리아의 맛을 보여주기 위해 늘 노력하고 있다. 친절한 직원들의 서비스와 파스타의 맛에 비해 가격은 매 |
우 저렴한 편. 사실 파스타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씩은 가봤을만한 유명한 집들이 여럿 있지만, 이곳 |
은 아직 아는 사람이 다시 찾아오는 마니아 형태의 파스타 집이랄까. 그래서 더욱 믿음이 가고 또 다시 오 |
고 싶어지게 되는 곳이다. 솔직한 심정으로는 이 자리에 노리타를 소개하고 싶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뚜르 |
드 몽드를 통해 널리 알려져 손님이 너무 많아질까 걱정스럽기 때문이다. 제발, 유명해져서 손님이 많아져 |
도 노리타 고유의 맛을 잃지 않기를…. |
자세한 문의 _ 02-774-19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