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은 어제 기준금리를 0.25% 올리고 경제성장과 신용경색에 대한 우려가 커졌습니다.
낸년 기준슴리 상한을 3.5%로 잡고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GDP 보다 많은 가계부채, PF대출 등 신용경색이 구체적인 우려입니다.
한국은행의 지혜로운 금융정책을 기대합니다.
Bank of Korea flags growth, credit fears as it reins in interest rate hike
한국은행, 금리인상과 함께 성장과 신용에 대해 우려 표명
By Choi Si-young 최시영 기자
Published : Nov 24, 2022 - 16:02 Updated : Nov 24, 2022 - 21:56
Korea Herald
The Bank of Korea raised its policy rate by 25 basis points Thursday, returning to its usual pace of tightening as growth and credit markets falter in the face of 24-year-high inflation running close to three times the central bank’s 2 percent target.
한국은행은 목요일, 목표물가 2%의 3배에 가깝게 올라 24년만에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에 성장과 신용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통상적인 긴축속도로 복귀하여 기준금리를 25 베이시스 포인트 인상했다.
The unanimous decision the seven-member board reached to put the current rate at 3.25 percent -- a rise of 275 basis points since August last year -- underscored the central bank’s commitment to more increases despite their impact on growth. Two hikes of 50 basis points, twice the usual size, took place for the first time in July and October, separately, to bring down soaring consumer prices -- the top priority for the bank, according to its governor.
7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의 만장일치로 성장에 대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중앙은행의 추가인상을 강조하며 기준금리를 작년 8월이후 275 베이스포인트를 인상한 3.25%로 결정했다.
Gov. Rhee Chang-yong said the majority of BOK policymakers expect the rate to peak at 3.5 percent, noting it was too premature to discuss loosening policy. The central bank slashed next year’s inflation outlook, saying consumer prices are expected to rise 3.6 percent on annual average, lower than the current reading but still higher than the 2 percent goal the banks sees as agreeable.
이창용 총재는 완화정책을 논의하기에는 너무 이르지만 한국은행의 정책결정자들은 3.5%를 최고점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중앙은행은 내년의 인플레이션 전망을 은행이 목표로 생각하고 있는 2% 보다 아직 높은 3.6%로 전망하고 있다.
For 2023, Rhee also sharply revised down the growth forecast to 1.7 percent from 2.1 percent, the first time the annual reading fell below the 2 percent mark. The “conservative estimate” -- 0.1 percentage point lower than the forecast released this week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 is the result of an “avoidable slowdown” in the global economy, according to Rhee.
이총재는 또한 2023년 경제성장전망을 처음으로 2% 아래로 하락한 2.1%에서 1.7%로 대폭 수정했다. 이번 주 OECD(경제협력기구)에서 발표한 수치보다 0.1% 낮은 “보수적인 전망”은 이총재에 의하면 세계경제의 “피할 수 있는 침체”의 결과이다.
Still, there is no need to sound the alarm over Asia’s fourth-largest economy, Rhee noted, adding it would start a rebound as early as in the third quarter next year on strong chip exports. And in no way is the country entering a coupling of low growth and high prices, or stagflation, Rhee stressed in a repeat of his earlier assessment.
이총재는 내년 3분기부터 반도체수출증가로 회복할 것을 언급하며 아시아 4위경제인 한국경제에 경고음을 울릴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정성장과 고물가 또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진입하는 것은 아니라고 종전의 평가를 반복했다.
Rhee added that he would closely monitor the liquidity stress in the short-term money markets, the other reason behind the smaller rate hike, as banks with outstanding project financing loans for the real estate sector find it increasingly harder to attract investors, amid the default a state-backed local developer reported in late October. The government had injected liquidity worth billions of US dollars into the wider financial market to prevent a spillover, but restoring investor trust remains a work in progress.
이총재는 10월말 도가 지원하고 있는 지장 개발회사가 지급불능을 선언한 후 부동산부문에 PF대출이 있는 은행이 투자자를 찾기 어려워지면서 단기금융시장의 유동성 스트레스를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유출을 막기 위해 수십억 달러 상당의 유동성을 금융시장에 투입했지만 투자자들에 대한 신뢰구축은 진행중이다.
Meanwhile, higher borrowing costs over the last year reduced household debt or at least capped it, Rhee said. Mortgage loans, which make up a big chunk of such debt, do not pose an imminent threat to the economy, but the bank will keep a close eye on the level, he added. According to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Finance, the household debt made up 102.2 percent of Korea’s gross domestic product as of the second quarter this year. That is the highest among 35 major economies.
이총재는 한편 지난 1년간 차입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가계부채가 감소하거나 최소한 상한선을 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러한 부채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주택대출은 경제에 즉각적인 위협을 초래하지 않지만 은행은 대출금액을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제금융연구원에 의하면 올해 2분기현재 GDP 대비 가계부채는 102.2% 이다. 이것은 35개 주요국 경제 중에서 최고치이다.
The central bank governor essentially dismissed the possibility of holding an unscheduled board meeting to soothe investor pessimism over a growing interest differential with the US. The Korean won is currently hovering near a 13-year-low against the dollar, as investors price in bigger yields from the greenback amid a hawkish US Federal Reserve.
중앙은행 총재는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커지는 것에 대한 투자자들의 비관론을 달래기 위해 예정에 없던 이사회를 개최할 가능성을 본질적으로 일축했다. 원화는 투자자들이 미국 연준의 공격적인 정책속에 달러로 더 많은 수익을 내면서 달러에 대비하여 지난 13년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The dollar appreciation makes the won weaker but that doesn’t mean we have a crisis,” Rhee said, referring to worries over the country burning through its currency reserves as it did at the onset of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when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tepped in for help.
“달러강세가 원화가치를 하락시키지만 이것이 위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라고 이총재는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가 시작될 때와 마찬가지로 국제통화기금에 협조를 요청하며 외환 보유고를 통해 위급해지고 있는 국가에 대한 우려를 언급하면서 말했다.
“The appreciation and depreciation go hand in hand,” Rhee said. “We could hold a previously unannounced meeting (to address that) and it could look reassuring to us, but I don’t know how that’s going to look on the outside, in the eyes of foreign investors.”
“원화강세와 약세는 같이 일어나다.” 고 이총재는 말했다. “우리는 이전에 예고되지 않은 회의를 열 수 있고 그것은 우리에게 안심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들의 눈에 어떻게 비쳐질 지는 모르겠다.”
The minutes from the Fed’s Nov. 1-2 meeting showed that a “substantial majority” of the policymakers expect to slow the pace of policy tightening -- the latest sign that the US central bank could revert to rate hikes smaller than 75 basis points. The four straight hikes of 75 basis points, the last of which came Nov. 3, brought the US rate to the 3.75-4 percent range. The Fed meets for the last time for the year in December.
연준의 11월 1일부터 2일까지의 회의록은 정책 입안자들의 '실질적인 다수'가 정책 긴축 속도를 늦출 것으로 예상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미국 중앙은행이 75 베이시스 포인트 이하로 금리인상을 축소할 수 있다는 최근의 신호였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11월3일 4번째 75 베이시스 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연준은 12월에 올해 마지막 FOMC를 개최할 예정이다.
#금리인상과신용경색 #경제성장위축 #3.5% #내년물가3.6% #내년경제성장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