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제로 무경작 농업은 노동력을 덜 필요로 하고 흙 다지는 것을 줄여준다.
* 농부들은 잡초와의 경쟁이 적기 때문에 더 많은 생산량을 얻는다.
* 무경작은 경작지에서 필요로 하는 석유 화학 연료의 양도 줄인다.
* 무경작은 오래전부터 주요 환경 문제였던 토양 침식을 크게 줄인다.
* 무경작은 토양에서 탄소를 분리하여, 토양을 재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o what’s not to love about Roundup Ready? There are a few main complaints—(1) the massive spraying
of the active ingredient, glyphosate, for which there is questionable evidence that it may be an endocrine
disruptor [26], (2) claims of intimidation by Monsanto of farmers who choose not to plant RR seed, and
(3)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sustainability of the sort of weed-free monoculture possible with RR crops.
So how do Roundup and RR crops relate to honey bees?
그렇다면 등록제품인 라운드업에 대해 애호하지 않는 것은 무엇일까? 몇 가지 주요한 불만 사항이
있다----
(1) 활성 성분인 제초제를 대량으로 뿌려서, 내분비 교란 물질(환경 호르몬)일 수 있다는 의심스러운
증거가 있고, (2) RR(등록제품인 라운드업 작물) 종자를 심지 않기로 선택한 농민들에 대하여
몬산토가 협박한다는 주장과, (3) RR 작물로 가능한 잡초가 없는 단일 재배 방식의 환경 영향과 환경
파괴 없이 유지 가능성.
그렇다면 등록제품 라운드업 및 RR 작물은 꿀벌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Direct Effects of Roundup Use
라운드업 사용의 직접적인 효과
Biological plausibility: either the active ingredient (glyphosate), or the adjuvants could cause
bee toxicity.
생물학적 타당성 : 활성 성분(제초제), 또는 보조제는 벌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The EPA has thoroughly reviewed the research and found glyphosate to be practically nontoxic to bees
(and humans). They have found the same for Roundup’s adjuvant polyoxyethylene-alkylamine. However,
some beekeepers tell me that they see increased bee mortality following the spraying of glyphosate (Fig. 3),
but are not sure whether it was a generic product, or perhaps contained additional ingredients (surfactants,
fungicides, or insecticides) added to the tank mix.
미국 환경보호청은 연구를 철저히 검토한 결과 제초제가 벌들 (및 인간)에게 실질적으로 무독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들은 등록제품인 라운드업의 보조제인 폴리우시틸렌-알킬아민 대해서도
동일하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나, 일부 양봉인들은 살충제를 뿌린 후 벌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안다고 나에게 말하지만 (그림 3), 그것이 상표 없는 제품인지, 아니면 아마도 탱크 혼합에 첨가된
추가 성분(계면 활성제, 살균제 또는 살충제)이 포함되어서인지 확실하지 않다.
Figure 3. A farmer spraying glyphosate herbicide over Roundup Ready corn seedlings.
Photo courtesy of beekeeper Larry Garrett.
그림 3. 등록상표인 라운드업 래디의 옥수수 묘종 위에 제초제를 뿌리는 농민.
양봉인 래리 가레트 사진 제공.
Analysis: there is no strong evidence that the spraying of Roundup or generic glyphosate herbicide
is directly causing significant bee mortality. However, Drs. Jim and Maryann Frazier have legitimate
concerns about the effect of some adjuvants—especially the organosilicones [27], [28].
분석 : 등록상표인 라운드업 제품 또는 일반 제초제의 살포가 직접적으로 심각한 벌 사망을
유발한다는 강력한 증거는 없다. 그러나, 짐 박사 및 마리안 프레이지어 박사는 일부 보조제 ---
특히 유기 화합물의 효과에 대해 진정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Indirect Effects of Roundup Use
등록 상표인 라운드업 사용의 간접 효과
Biological plausibility: the elimination of weeds reduces bee forage.
생물학적 타당성 : 잡초를 제거하면 벌의 먹이가 줄어 든다.
The success of Roundup Ready technology has allowed farmers to largely eliminate weeds from their fields
(at least until the inevitable resistant weeds take over). But they don’t stop there—nowadays they practice
“clean farming” and use herbicides to burn off every weed along the fencerows and in the ditches—
the very places that bees formerly had their best foraging. This elimination of flowering weeds severely
reduces the amount of available of bee forage, plus kills off the host plants of native pollinators (such as
monarch butterflies) and beneficial insects.
등록상표인 라운드업 레디 기술의 성공으로 농부들은 (적어도 피할 수 없는 내성을 가진 잡초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 자신의 밭에서 잡초를 대부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거기서
멈추지 않는다. 오늘날 그들은 "깨끗한 농사"를 실천하고 제초제를 사용하여 이전에 꿀벌이
가장 잘 채집했던 장소인 울타리에 인접한 땅과 도랑을 따라 모든 잡초를 말라 죽게한다. 이렇게
꽃이 만발한 잡초를 제거하는 것은 사용 가능한 벌 식량의 양이 크게 줄어 들게하고, 게다가 토착
화분 매개자 (제왕나비와 같은)와 유익한 곤충의 숙주 식물도 죽여 없앤다.
European honey bees evolved in Europe (hence the name), and are adapted to the nutrition provided by
Old World flowering plants. Many of the weeds in North America are old friends of the honey bee.
On the other hand, honey bees were never exposed to corn, soybeans, sunflowers, or squashes until
recently; neither corn nor sunflowers supply complete amino acid profiles in their respective pollens.
Until the advent of Roundup Ready, the weeds in an around crops provided alternative nectar and
pollen sources for bees; today there is often nary a bee-nutritious weed to be seen in or around a field
of corn or soybeans (Fig. 4).
유럽 꿀벌은 유럽 (따라서 이름도)에서 진화했으며 유럽대륙의 꽃 식물이 제공하는 영양에
적응했다. 북미의 많은 잡초는 꿀벌의 오랜 친구이다. 반면에, 꿀벌은 최근까지 옥수수, 대두,
해바라기 또는 호박에 결코 노출된 적이 없었다. 옥수수나 해바라기는 각자의 화분에 완전한
아미노산 분석표를 제공하지 않는다. 등록상표인 라운드업 레디가 등장할 때까지, 주변 작물의
잡초는 벌들에게 대체 꽃꿀과 화분 공급처를 제공했다. 오늘날 옥수수나 대두 밭이나 그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벌에게 영양분 있는 잡초는 대개 조금도 없다 (그림 4).
Figure 4. I took this photo of a no-till herbicide-resistant corn field, prior to the shading canopy of
the crop closing over. Note the total lack of any sort of bee forage (or any species of anything other than
corn). The soil surface is a far cry from the original densely vegetated prairie sod. Prior to RR, there was
more weedy forage for bees, and especially from the traditional weed-controlling crop rotation into
legumes or pasture.
그림 4. 나는 덮어 씌우는 작물의 차양막이 쳐지기 전에, 밭을 갈지 않는 제초제에 저항력을
가진 옥수수 밭의 이 사진을 찍었다. 모든 종류의 벌 먹이 (또는 옥수수 이외의 모든 종)가
완전히 부족하다는 것을 주목하라. 토양 표면은 원래 빽뻭하게 심어진 대초원 잔디와는 크게
다르다. 등록상표인 라운드업 레디(RR)를 사용하기 이전에는, 벌들을 위한 잡초 식량이, 특히
전통적으로 잡초를 억제해 주는 윤작으로 콩과 식물이나 목초지가 더 많이 있었다.
Some intriguing (but controversial) research by Dr. Don Huber [29] concerns the fact that glyphosate was
originally developed as a chelating agent (a chemical that binds to metal ions; from chela = claw).
Roundup does not kill weeds directly; rather it ties up certain trace metals (notably manganese),
which then stresses the plant to the extent that soil fungi and other pathogens eventually kill it.
Huber’s research found that plants following in rotation after Roundup applications the previous year
could be lacking in trace elements due to the residual glyphosate in the soil!
돈 허버 박사의 흥미롭지만 논란이 많은 일부 연구는 제초제가가 원래 킬레이트 시약 (금속 이온에
결합하는 화학 물질로, 즉 집게발 = 갈고리 발톱발인 것처럼)으로 개발되어졌다는 사실에 염려하고
있다. 라운드업은 잡초를 직접적으로 죽이지 않는다. 오히려 특정 미량 금속 (특히 망간)을 묶어,
토양 곰팡이 및 병원균이 결국 식물을 죽인다는 점에서 강조한다. 허버의 연구는 전년에 라운드업
적용 후 다음의 윤작하는 식물들이 토양의 잔류 제초제로 인해 미량 원소가 부족할 수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Lack of trace elements causes serious stress and disease in other livestock, and it’s possible that honey bees
may also be affected. The above susceptibility to fungi due to the use of Roundup may then lead to
increased application of fungicides, a number of which are demonstrably toxic to bee brood. But nothing
in nature is simple. Eliminating the competition of weeds and insects may allow plants to hold back from
the production of natural toxins. And a surprising piece of research found corn kernels from plants sprayed
with either of two different herbicides actually contain more of the healthful carotenoids [30]!
미량 원소의 부족은 다른 가축에게 심각한 스트레스와 질병이 발생하며, 꿀벌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라운드업의 사용으로 인하여 위에서 언급한 곰팡이에 영향을 주기 쉽기 때문에
그러면 살균제의 사용이 증가 할 수 있으며, 그중 다수는 꿀벌 유충에게 명백하게 독성이 있다.
그러나 자연계에서는 단순한 것은 없다. 잡초와 곤충의 경쟁을 제거하면 식물이 자연 독소 생산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놀라운 연구의 하나는 두 가지 다른 제초제 중 하나를 뿌린 농작물에서
수확한 옥수수 알갱이(낟알)에는 실제로 건강에 좋은 카로티노이드가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
The Future of Roundup
라운드업의 미래
It took Monsanto several years to genetically engineer Roundup-resistant crops, yet took farmers only
slightly longer to inadvertently produce Roundup-resistant weeds by the conventional breeding technique
of applying a strong selective pressure–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Roundup!
몬산토는 라운드업 제품에 내성을 가진 작물을 유전자 조작하는데 몇 년이 걸렸지만, 농민들이
강한 선택압(選擇壓)을 적용하는 기존의 육종 기술인 라운드 업 (Roundup)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본의 아니게 등록제품 라운드업에 내성을 가지는 잡초를 생산하는데 약간
더 시간이 걸렸다!
주) 몬산토는 라운드업 종자를생산하는 회사임.
Weed management scientists consider glyphosate to be a once-in-a-100-year discovery—it works on
140 species of weeds, and is relatively environmentally friendly. However, its overuse has led to the
creation of several “driver weeds” that could soon lead to its redundancy in corn, soy, and cotton
acreage [31]. This will drive farmers to turn to other herbicides (which will also in time fail). We can only
hope that someday they will be forced back into practicing crop rotation into legumes and pasture.
잡초 관리 과학자들은 제초제를 100년에 한 번 발견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는 140 종의
잡초에 효과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이다. 그렇지만, 제초제의 남용은 곧 옥수수, 콩,
면화 재배지에서 그것의 중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몇몇 "드라이버 잡초"를 만들게 되었다.
이것은 농부들을 다른 제초제로 눈을 돌리게 만들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 또한 실패할 것이다).
우리는 언젠가 그들이 다시 콩과 식물과 목초지로 농작물 윤작을 실행하도록 강요되기를
바랄뿐이다.
주) driver weeds : 드라이버 잡초, 사전에도 안나옵니다. 그냥 통과합니다
Reality Check
현실 확인
In order to clarify cause and effect, I often seek out extreme cases. Such would be the situation in the
Corn Belt, where I could compare the USDA’s hive and honey data from the old days to those under
today’s intense planting of GM crops (Fig. 5)!
원인과 결과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종 극단적인 경우를 찾는다. 그러한 것이 미 농무성의
벌통과 벌꿀 데이터를 오늘날 유전자 변형 작물을 집중적인 심은 과거 데이타와 비교할 수 있는,
옥수수 지대의 위치이다 (그림 5)!
Figure 5. The most intense planting of GM crops is in Iowa and Illinois (the dark green areas of the map
above). U.S. farmers planted nearly 100 million acres of corn this year, and 76 million of soy. That is enough
acreage to cover the entire state of Texas with GM crops!.
Source: http://www.nass.usda.gov/Charts_and_Maps/Crops_County/pdf/CR-PL10-RGBChor.pdf
그림 5. 유전자 변형 작물의 가장 집중적인 재배는 아이오와와 일리노이 주 (위 지도의 짙은
녹색 지역)에 있다. 미국 농부들은 올해 거의 1억 에이커에 달하는 옥수수와 7600만 에이커의
대두를 심었다. 그것은 유전자 변형 작물로 텍사스의 전체 주에 이르는 충분한 면적이다!.
출처 : http://www.nass.usda.gov/Charts_and_Maps/Crops_County/pdf/CR-PL10-RGBChor.pdf
So I went through the tedious process of downloading and transcribing the NASS agricultural census figures
for Iowa. I entered the amount of corn acreage, the total number of colonies in the state, and what I
consider to be the best measure of colony health—honey yield per hive (which of course is largely weather
dependent, but should show any trends). I plotted the data below (Fig. 6):
그래서 나는 아이오와의 NASS 농업 인구 조사 수치를 다운로드하고 복사하는 지루한 과정을
거쳤다. 나는 옥수수 경작지의 양, 주에 있는 총 봉군 수, 그리고 봉군 건강의 가장 좋은 척도라고
생각하는 벌통 당 꿀 수확량을 입력했다 (물론, 대부분 날씨에 따라 달라지지만, 추세를 보여야
한다). 아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림 6).
Figure 6. Bee and corn data from Iowa, and the dates of introduction of corn pest conrol technologies.
The dotted line is median honey yield per colony. No factor appears to have affected honey production,
but colony numbers have decreased since the arrival of varroa. Gaps are missing data. Source NASS.
Note: for non beekeepers, varroa is a parasitic mite that arrived in the U.S. around 1990 and quickly
became, and still remains, the Number One problem in bee health–far more than any other factor.
그림 6. 아이오와의 벌과 옥수수 데이터, 및 옥수수 해충 방제 기술 도입 날짜. 점선은 봉군 당
평균 꿀 생산량이다. 꿀 생산에 영향을 준 요인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바로아 응애가 도래한
이후 봉군 수는 감소했다. 공백은 데이터가 없다. 자료 NASS. 참고 : 양봉인이 아닌 사람을
위해서 덧붙이면, 바로아 응애는 1990년경 미국에 도래한 기생 응애이며, 다른 어떤 요인보다도
빠르게 벌 건강에 있어 훨씬 더 가장 큰 문제가 되었고,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Over the years, corn acreage increased by 18%. Other than the prodigious crop of 1988, honey production
has averaged around 67 lbs per hive. The thing that stands out is the plot of number of colonies. Hive
numbers jumped up in the late 1980’s, likely due to federal honey price support payments, which peaked in
1988, and were cut off in 1994 [[i]]. Colony numbers peaked in 1990, the same year that varroa arrived in
Ohio, and went down from there, leveling off to about half the number of hives present in the 1970’s.
몇 년 동안 옥수수 면적은 18% 증가했다. 1988년의 엄청난 수확을 제외하고, 벌꿀 생산량은
벌통 당 평균 약 67 파운드이다. 눈에 띄는 것은 봉군 수를 그래프로 나타난 것이다. 벌통 수는
1980년대 후반에 급증했는데, 이는 연방 정부의 꿀 가격 지원 지급으로 인해, 1988년에 정점을
찍었고 1994년에 중단되었다. 봉군 수는 바로아 응애가 오하이오 주에 도래한 같은 해인,
1990년에 정점에 이르렀다가, 거기에서 떨어져서, 1970년대에 존재했던 벌통 수의 약 절반으로
떨어져 변동이 없다.
I fully expected honey yields to decrease concurrent with the adoption of Roundup Ready varieties, but
they didn’t! Colonies still produce as much honey today as they did in the past, but this might be partially
due to having fewer bees working the same amount of land, or to increased soybean nectar (which saved
a number of Midwestern beekeepers from disaster during this year’s droughts).
나는 등록상표인 라운드업 레디 품종을 채택함에 따라 꿀 수확량이 동시에 감소할 것으로 예상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봉군은 오늘날에도 과거와 마찬가지로 많은 양의 꿀을 생산하지만,
이는 부분적으로 같은 면적의 땅에서 작업하는 꿀벌의 수가 적거나, 대두의 꽃꿀이 증가했기
때문일 수 있다 (올해의 가뭄이 계속되는 동안 많은 중서부의 양봉인들을 재난으로부터 구해
주었다).
Perhaps even more surprising is the fact that in a state covered in corn and soy, colony productivity
did not appear to be affected by the introductions of either Bt or Roundup Ready corn, nor by the
universal use of neonicotinoid seed treatments (between corn and soy, on over roughly two thirds of
the entire state land area). Note that honey yields actually increased for a few yea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clothianidin seed treatment! Tellingly, hive numbers started to decrease after the arrival
of varroa, and plummeted in the late 1990’s as fluvalinate failed as a miticide, and many beekeepers
simply threw up their hands and quit the business.
아마도 더욱 놀라운 사실은 옥수수와 콩으로 덮힌 州에서 봉군 생산성이 Bt 또는 라운드업 레디
옥수수의 도입이나 네오니코티노이드(살충제) 종자 처리 (옥수수와 콩 모두 합하여, 전체 주
토지 면적의 약 2/3 이상)의 전반적인 사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는 사실이다.
클로티아니딘 수화제 종자 처리 도입 후 실제로 꿀 수확량이 몇 년 동안 증가했다는 것을 주목하라!
바로아 응애 도입된 후 현저하게, 벌통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플루발리네이트 농약이
응애 살충제로 도움이 되지 않았고, 많은 양봉가들이 단순히 포기하고 사업을 그만두면서
1990년대 후반에 급감했다.
주) Bt 작물의 뜻 : 바실루스 튜링겐시스 박테리아를 이용한 천연 살충제 작물
Verdict on herbicide tolerant crops: from a nutritional standpoint, the increased use of herbicides,
and the associated weed free “clean farming” has certainly not helped the bees in corn/soy areas,
but it is hard to make a case for them causing colony collapse.
Verdict on GM crops in general: Allow me to quote from the USDA:
제초제 내성 작물에 대한 의견 : 영양적 관점에서 보면, 제초제의 사용 증가하고, 연관된 잡초가
없는 “깨끗한 농업”은 옥수수/대두 지역의 꿀벌에게 확실히 도움이 되지는 않았지만, 그런 것이
봉군 붕괴 현상을 유발한다는 주장을 펴기는 어렵다.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where GM crops are planted and the pattern of CCD incidents. Also,
GM crops have been widely planted since the late 1990s, but CCD did not appear until 2006. In addition,
CCD has been reported in countries that do not allow GM crops to be planted, such as Switzerland [33].
… GM 작물이 재배되는 장소와 CCD(봉군붕괴 현상) 사건의 유형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다.
또한, 유전자 변형 작물은 1990년대 후반부터 널리 심어졌지만, CCD는 2006년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CCD는 스위스와 같이 유전자 변형 작물을 심을 수없는 국가에서도 보고되었다.
Looking Ahead: The Chemical Treadmill & Pest Resistance
미리 보기 : 화학제품 반복 및 해충 내성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the evolution of agri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a biologist. Simple systems
in nature are inherently less stable than complex systems. The current agricultural model in the U.S.
exemplifies simplicity to the extreme—plant a single species into bare soil year after year, killing any
competitive weeds or insects with pesticides (either sprayed, systemic, or engineered into the plants),
and attempt to maintain fertility by adding energy-costly fertilizer. From a biological perspective,
such a strategy is little more than an intense selective breeding program for the most resistant pests,
and doomed to escalating chemical and energy inputs until the system collapses under its own weight.
생물학자의 관점에서 농업의 진화를 관찰하는 것은 흥미롭다. 사실상 단순한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복잡한 시스템보다 덜 안정적이다. 미국의 현재 농업 모델은 극도로 단순함을 보여 준다. 해마다
단일 종을 맨땅에 심고, 살충제로 경쟁적인 잡초나 곤충을 죽이고 (분무, 식물 전체에 침투하게
하고, 또는 식물에 유전자 조작), 에너지와 비용이 많이 드는 비료를 추가하여 비옥함을 유지하려고
시도한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그러한 전략은 가장 내성이 강한 해충에 대한 강력한 선택적 육종
프로그램에 지나지 않으며, 시스템이 자체 중량으로 붕괴될 때까지 화학 물질 및 에너지 투입을
증가시킬 운명에 처해있다.
I’m anything but a salesman for either Bt nor RR crops. Both are mere short-term solutions—resistant bugs
and weeds are already starting to spread. I also have questions about the benefits of herbicide-intense
no till planting [34], and hope that farmers return to alternative methods of weed control [35]. Luckily,
the system will likely be self correcting, eventually forcing humanity to practice more sustainable methods
of farming the land. However, I suggest that those methods may well include the wise use of biotechnology.
나는 결코 Bt 나 RR 작물의 세일즈맨이 아니다. 둘 다 단기적인 해결책에 불과하다 --
저항성 있는 벌레와 잡초가 이미 확산되기 시작했다. 나는 또한 경작하지 않는 집약적인 재배에
제초제 이점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고, 농부들은 잡초 방제의 대안 방법에 되돌아 가기를 희망한다.
운 좋게도, 이 시스템은 스스로 수정할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 인류는 더 지속 가능한 토지 경작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그러나, 나는 그러한 방법들이 생명공학의 현명한 사용에 충분히 포함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주) Bt 작물 : 바실루스 튜링겐시스 박테리아를 이용한 천연 살충제를 내는 작물
RR 작물 : 등록상표 라운드업 레디의 유전자 조작 작물
Additional Discussion
The Back Story on Plant Breeding and GM Crops
추가 토론
식물 육종 및 GM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뒷이야기
Traditionally, farmers simply replanted with the seeds from the most desirable individual plants year after year;
this is the simplest form of “selective breeding.” For example, all the various cole crops (cabbage, kale,
broccoli, cauliflower, kohlrabi, Brussels sprouts) were developed by intentionally selecting for unusual forms
of the species (resulting from random recombination of the natural allelic diversity, spontaneous mutants, or
natural hybrids). This sort of selective breeding tends to result in a diverse assembly of locally-adapted cultivars.
전통적으로, 농부들은 매년 가장 바람직한 개별 농작물에서 추출한 씨앗을 단순히 옮겨 심었다.
이것은 "선택적 육종"의 가장 단순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모든 다양한 십자화과 유채속의 작물
(양배추, 케일, 브로콜리, 꽃 양배추, 콜라비:구경 양배추, 브뤼셀 스트라우트:양배추 일종)은 독특한
형태의 종을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개발되었다 (자연 대립 유전자의 다양성, 자연 발생적인 돌연변이,
또는 자연 잡종의 무작위 재조합 결과). 이러한 종류의 선택적 육종은 지역적으로 적응된 품종의
다양한 조립을 하는 결과가 되는 경향이 있다.
In Oaxaca, Mexico– the birthplace of corn–some 150 traditional varieties of maize are grown without
pesticides or herbicides, thereby maintaining an invaluable reservoir of genetically-diversity “germplasm,”
which breeders can then cross and backcross in order to develop new cultivars (e.g., for pest or drought
resistance).
옥수수의 발상지인 멕시코의 오악사카에서는, 약 150종의 전통적인 각종의 옥수수가 살충제나
제초제 없이 재배되고 있고, 따라서 육종가들은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교배 및 역교배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유전적 다양성 "생식세포질(生殖細胞質)" 축적을 유지하고 있다 (예 : 해충
또는 가뭄에 대한 내성을 갖기 위해).
In the early years of the U.S., seeds from desirable cultivars were distributed to farmers by the government,
and plant breeding was performed at universities and at the USDA [36]. But since every strain breeds true,
a farmer could save the seed and replant, leaving little opportunity for seed companies to make a buck.
So in 1883, they formed the American Seed Trade Association and began to lobby for the cessation of
the government programs.
미국의 초창기에는, 유망한 품종의 씨앗을 정부에 의해 농민들에게 배포했고, 식물 육종은 대학과
미 농무성에서 수행되었다. 그러나 모든 종류는 전형적인 번식하고 있기 때문에, 농부는 종자를
구하고 다시 심을 수 있어, 종자 회사가 돈을 벌 수있는 기회가 거의 없다. 그래서 1883년에,
그들은 미국 종자 무역 협회를 결성하고 정부 프로그램의 중단을 위한 로비를 하기 시작했다.
The Profit Motive
수익을 얻고자 하는 동기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the companies began to promote hybrids— crosses of two (or more)
different strains or species that exhibited some sort of “hybrid vigor”—offering greater production, tastier
fruit, or some other desirable characteristic. Hybrids were a godsend to the companies, since they are often
sterile or don’t breed true, meaning that farmers needed to purchase (rather than save) seed each season.
20 세기 초반에, 이 회사들은 잡종을 홍보하기 시작하였는데, 두 가지의(또는 그 이상의) 다른 품종
또는 일종의 "잡종 강세"를 나타낸 종으로 더 많은 생산, 더 맛있는 과일, 또는 약간 다른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하고 있다. 잡종은 종종 씨가 맺히지 않거나 전형적인 번식이 아니기 때문에, 회사에게는
뜻밖의 행운이었고, 이는 농민들이 계절마다 종자를 (저장하는 대신에) 구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seed lobby eventually shifted public funding away from the free distribution of selected seedstocks
to instead encouraging the USDA and universities to develop inbred parental lines and breeding stock
that the seed trade could then use to create proprietary hybrid varieties. By 1960, farmers planted less than
5% of corn from saved seed; and less than 10% of soybeans by 2001. As on-farm familiarity with the saving
of seed was forgotten, farmers became willing consumers of produced seed.
종자 로비는 결국 선별된 종자의 무료 배포에서 벗어나, 대신 미 농무부와 대학들이 종자 거래가
전매 특허의 교잡 품종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는 근친 자식계통(子殖系統)과 육종 종자를
개발하도록 장려하는 쪽으로 공적자금이 대체되었다. 1960년까지, 농민들은 저장된 종자에서
옥수수를 5% 미만으로, 그리고 2001년까지 대두의 10% 미만으로 심었다. 농장에서 종자 저장에
대한 친숙함이 잊혀지면서, 농민들은 생산된 종자의 자발적인 소비자가 되었다.
Enter GM Crops
GM(유전자 변형) 작물을 (법정에) 제출.
Then in 1980,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seed companies could patent new varieties if they contained
distinct and novel genetic markers. This meant that farmers (in some countries) could now be required to
sign licensing agreements to allow them to use the patented seed each season [37] (there is a hodge-podge
of international patent laws in this regard [38]).
그 후 1980년 대법원은 종자 회사들이 명료하고 독창적인 유전자 표지를 포함한다면 새로운
품종에 특허권을 얻을 수 있다고 판결하였다. 이것은 농민들(일부 국가에서)이 이제 각 계절마다
특허받은 종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 계약에 서명하도록 요구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 특허법이 난립하고 있다).
The Second “Green Revolution”
두 번째 “녹색 혁명”
The first “green revolution” was based upon fertilizer, pesticides, and hybrid seed (and also resulted in
forcing farmers onto “agricultural treadmills”–making them less self sufficient and sustainable, and
more reliant upon purchased seed, pesticide and fertilizer use, and upon borrowed money).
In 1950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Ezra Benson said to farmers, “Get big or get out.” His 1970s
successor, Earl Butts, repeated that message, and exhorted farmers to “plant fence row to fence row”
and to “adapt or die.” Politicians who understood that a well-fed electorate is a happy electorate
promoted policies that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the small family farm.
첫 번째 "녹색 혁명"은 비료, 살충제 및 잡종 종자에 기반을 두었다 (또한 농부들로 하여금
"농업용 쳇바퀴"를 강요하는 결과를 낳았는데, 이는 자급 자족과 지속 가능성을 떨어지게 하고,
구입한 종자, 살충제 및 비료 사용, 그리고 빌린 돈에 더 의존하게 만들었다). 1950년에, 농무부
장관 에즈라 벤슨은 농부들에게 “많은 수확을 얻든지 아니면 철수하든지”라고 말했다. 1970년대
그의 후임자인, 얼 버츠는 그 말 되풀이하며 농민들에게 “울타리가 열을 지은 같이 심고” "적응하든
말라 죽든” 강력히 권고했다. 잘 먹고 사는 유권자가 행복한 유권자임을 이해한 정치인들은 소가족
농장을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Our policy of price supports and favorable treatment of agribusiness has changed the face of the American
farm and the composition of the American diet [39]. Today’s “second green revolution” is based upon
technological advances in plant genetics (including GM) and the (at least partial) replacement of nasty
pesticides with “biologicals.” As an environmentalist, I find the new revolution to be more promising for
ecological sustainability, but it is not without its downside—the current consolidation of agribusiness.
As I mentioned before, farms, seed companies, and chemical companies are all being bought up by a
few main players. Philip Howard details this consolidation in a free download [40], from which I quote:
우리의 가격 지원과 농업에 대한 우대의 정책은 미국 농장의 모습과 미국 식단의 구성을 변화
시켰다. 오늘날의 "2차 녹색 혁명"은 식물 유전학 (유전자 변형 포함)의 기술 발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메스꺼운 살충제를 "생물학적"으로 대체하는데 기반을 두고 있다. 환경 주의자로서,
나는 새로운 혁명이 생태학적 지속 가능성에 더 유망하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그것의 불리한
면이 없는 것은 아니다. 즉, 현재 농업 사업의 합병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농장, 종자 회사 및
화학 회사는 모두 소수의 주요 기업체에 의해 인수되는 것이다. 필립 하워드 (Philip Howard)는
이 통합을 무료 다운로드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This consolidation i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impacts that constrain the opportunities for renewable
agriculture. Some of these include declining rates of saving and replanting seeds, as firms successfully
convince a growing percentage of farmers to purchase their products year after year;
a shift in both public and private research toward the most profitable proprietary crops and varieties,
but away from the improvement of varieties that farmers can easily replant; and a reduction in seed
diversity, as remaining firms eliminate less profitable lines from newly acquired subsidiaries.
이러한 합병은 회복 가능한 농업의 기회를 제약하는 많은 영향과 관련이 있다. 이들 기업 중
일부는 점점 더 많은 농민들이 해마다 제품을 구매하도록 성공적으로 설득함에 따라, 종자를
저장하고 다시 심는 비율의 감소를 포함한다. 공공 및 민간 연구 모두가 가장 수익성이 높은
독점 작물 및 품종 쪽으로 이동을 하고 있지만, 농부가 쉽게 다시 심을 수 있는 품종의 개량에서
멀어지고; 그리고 나머지 기업이 새로 인수한 자회사에서 수익성이 떨어지는 라인을 제거함에
따라, 종자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He then speaks of the concept of the “treadmill”:
그런 다음 그는 "쳇바퀴"의 개념에 대해 말한다.
For the majority of farmers, however, the result is that they must constantly increase yields in order to s
imply maintain the same revenue. [Monsanto’s sales pitch is that economic success in farming is driven
by yield per acre [41]. Those that are unable to keep up with this treadmill will “fall off,” or exit farming
altogether.
Their land ends up being “cannibalized” by remaining farmers who seek to increase scale of production
as another means of keeping up with the treadmill, leading to the increasing centralization of agriculture.
Farmers who have managed to stay in business have adapted to this process, and are typically on the
leading edge of the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As a result, they have a high degree of confidence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그러나 대부분의 농민들에게, 결과는 단순히 동일한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확량을
늘려야한다는 것이다. 몬산토의 판매 관점은 농업의 경제적 성공은 에이커 당 생산량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다. 이 쳇바퀴의 유행을 따를 수 없는 사람들은 "손을 떼거나" 농사를 모두 종료
해야 할 것이다. 쳇바퀴의 유행을 따르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생산 규모를 늘릴려고 추구하는
남아있는 농민들에 의해 결국은 잠식되어, 농업의 중앙 집중화로 이어진다. 사업을 가까스로
유지한 농민들은 이 과정에 적응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신기술 채택의 최첨단에 서 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과학 및 기술 혁신에 있어 높은 수준의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is problem has nothing to do with GMO’s, but is rather due to the public’s unknowing acceptance
of the practice. Capitalism inevitably leads to consolidation unless consumers stop supporting corporate
agribusiness with their pocketbooks and their votes, and start demanding that their government enforce
antitrust efforts and better support small farmers. But we are allowing economics and politics to distract us
from the topic at hand—the technology of genetic engineering in plant breeding.
그러나, 이 문제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대중들이 이 관행을
모르고 받아들인데 따른 것이다. 소비자가들이 그들의 주머니 사정과 투표를 통해 기업 농업을
지원하는 것을 중단하고, 그들의 정부가 독점 금지 노력을 시행하고 소규모 농민을 더 잘
지원하도록 요구하지 않는한,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통합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우리는
경제학과 정치가 당면한 주제인 농작물 육종의 유전 공학 기술에서 우리를 혼란시키게 하고 있다.
Cautions About GM
유전자 변형에 대한 주의 사항
The most vocal critic of genetic modification is Jeffrey Smith, fear-mongering author of Seeds of Deception,
producer of the film Genetic Roulette, and executive director of the inappropriately-named Institute for
Responsible Technology. Smith is a gifted and effective communicator, as well as being a practitioner of
“yogic flying” [42]. I will be the first to say that Smith’s anti-GMO claims [43] would scare the pants off
of anyone, and make for compelling story!
유전자 변형에 대한 가장 목소리가 높은 비평가는 제프리 스미쓰로, 공포를 불러 일으키는
"기만의 씨앗"의 저자이며, 영화 제네틱 룰렛(Genetic Roulette)의 프로듀서이고, 어울리지
않게 직함을 가진 "책임 기술 연구소"의 전무 이사이다. 스미쓰는 재능 있고 유능한 자기의사
전달자일 뿐만 아니라 “요가 비행”의 실무자이다. 나는 스미쓰의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을
반대하는 주장은 누군가를 놀라게하여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제일 먼저
말할 것이다!
The problem is that he plays loose with the facts—most of his claims simply do not stand up to any
sort of scientific scrutiny. I suggest that for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facts, that you visit
AcademicsReviewed.org, a website that tests popular claims against peer-reviewed science.
They address each of Smith’s alarming “facts” one by one [44]. It is a thrilling ride to open the two
web pages side by side, first being shocked by Smith’s wild and scary claims, and then reading
the factual rebuttal to each!
문제는 그가 그 사실에 대해 절제없는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그의 대부분의 주장은 단순하게
어떤 종류의 과학적 정밀조사에도 과감하게 맞서지 못한다. 사실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하기
위해, 동료가 평가한 학문에 대한 대중적 주장을 테스트하는 웹 사이트 AcademicsReviewed.org를
여러분들이 방문할 것을 제안한다.
웹사이트들은 스미쓰의 놀라운 “사실들”을 하나하나 이야기한다. 두 개의 웹 페이지를 나란히
여는 것은 스릴이 넘치는 기분이며, 처음에는 스미쓰의 거칠고 심술궂은 주장에 충격을 받은
바로 뒤에는, 각각에 대한 사실적 반박을 읽는 것이다!
The thing that most bothers me about Smith’s writing is that he treats GM cultivars generically, rather
than specifically addressing the merits or concerns for them individually. This makes little sense, since
any conventional crop has cultivars that cause human allergy or contain excessive levels of natural toxins,
yet no one calls for the testing of each of them!
스미스의 글에서 가장 신경이 쓰이는 점은 그가 유전자 변형 품종을 개별적으로 장점이나 문제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보다는 일반적인 것으로 취급한다는 것이다. 어떤 전통적인 작물에도 사람의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과도한 수준의 천연 독소를 함유하는 품종이 있지만, 아무도 그것들의
각각에 대한 검사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의미가 없다!
Perspectives On GM Crops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관점
As you may have guessed by now, to me, the GM debate should not be about being pro or con, rather
it should be about the intelligent discussion of reconciling its promise with its problems. The GE genie
is out of the bottle, and I can’t see that anyone is going to put it back in–so we might as well work with it!
So let’s cut through the hype and hysteria, the fears and judgments, and try to objectively look at the
facts of the matter:
여러분들은 지금쯤 짐작하였겠지만, 나에게, 유전자 변형에 대한 논쟁이 찬성하거나 반대할 것이
아니라, 그 문제와 더불어 밝은 전망을 조정하는 현명한 토론이 되야 한다. 유전자 조작한 요정이
병에서 나왔는데, 누가 그것을 다시 집어 넣을지 모르겠다 ---그래서 우리는 또한 그것을 풀어가야
한다! 그래서 과대 광고와 과잉반응, 불안과 판단을 잘라 내어, 그 문제의 진실을 객관적으로
살펴 보겠다.
1. From a plant breeder standpoint, genetic engineering holds incredible promise for the development of
crops that could be tremendously beneficial to humans or the environment. For example, “Transgenic
cotton has reduced the need for conventional insecticides used against lepidopteran [pests] an average
in the USA about 59.4% [and] Texas 74.7%…an average number of pesticide applications in conventional
cotton has fallen from 4.3 in 1995 to 2.1 in the USA… with benefits to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45].
* 농작물 육종가의 관점에서, 유전 공학은 인간이나 환경에 엄청나게 유익을 줄 수 있는 작물 개발에
대한 놀라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유전자를 이식한 면화는 나비목 [해충]에 대해
사용되는 기존 살충제의 필요성을 미국에서 평균 약 59.4 % [및] 텍사스 74.7 %로 감소시켰습니다.
기존 면화의 평균 살충제 사용 횟수는 미국에서 1995년 4.3에서 2.1로 … 이는사람의 건강과 환경에
이득이 되었다.
2. GM is only a part of plant breeding—most advances continue to be in conventional breeding, now assisted
by “marker assisted selection,” which is embraced by environmentalists [46].
유전자 변형은 농작물 육종의 일부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진행은 기존의 육종에서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환경 운동가들이 받아 들이는 "표지유전자 보조 선택"에 의해 지원된다.
3. However, someone needs to pay for the research, and the taxpayer is not doing it! For a thoughtful
discussion of the benefits of gene patents, see [47].
그러나 누군가 연구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데, 납세자는 그렇게하지 않는다! 유전자 특허의
이점에 대한 자세한 논의에 대해서는 [47]을 참조하라.
4. Novel genetic markers can be patented, and a licensing fee can be charged,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not GM!
새로운 표지 유전자는 특허를 받을 수 있으며, 유전자 변형이 아니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라이센스 비용이 청구될 수 있다!
5. From a consumer standpoint, advanced breeding techniques can result in cheaper and more nutritious
food, and less environmental impact from farming.
소비자 관점에서, 고급 육종 기술은 더 저렴하고 영양가가 높은 식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농업으로 인한 환경의 영향을 덜 줄 수 있다.
6. Consumers have erroneously been led to believe that GM crops are dangerous to their health, and
call for application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My gosh, please read “Misconceptions about the causes
of cancer” [48]. Few foods are entirely “safe”! And “safety” can never be proven—it can only be disproven.
And no studies have ever disproven the safety of GM crops, nor have doctors noticed anyone ever getting
sick from them, despite our eating them for 15 years!
소비자는 유전자 변형 작물이 그들의 건강에 위험하다고 잘못 믿어 왔고, 사전 예방 원칙의 적용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세상에, “암의 원인에 대한 오해”를 읽어 보라. 완전히 "안전한" 음식은 거의
없다! 그리고 “안전성”은 결코 증명될 수 없으며-- 반증할 수는 있다. 그리고 어떤 연구도 유전자
변형 작물의 안전성을 반증한 적이 없으며, 의사들은 우리가 15년 동안 그것을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누구도 그 작물로 인해 아프다는 것을 알아 차리지 못했다!
7. In truth, some scientists argue that plants produced by classical breeding methods should undergo the
same safety testing regime as genetically modified plants. There have been plenty of instances where plants
bred using classical techniques have been unsuitable for human consumption, causing toxicity or allergic
reactions.
사실, 일부 과학자들은 고전적인 육종 방법으로 생산된 농작물은 유전자 변형 농작물과 동일한
안전성 테스트 체계를 거쳐야한다고 주장한다. 고전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길러진 농작물은 사람의
소비에 적합하지 않아 독성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례가 많이 있어 왔다.
8. Those that speak of applying the “precautionary principle” should read Jon Entine’s trenchant analysis
of the fallacy of overapplication of that principle [49]. In truth, our regulators (EPA and FDA) vigorously
apply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 the form “reasonable certainty of no harm.”
“사전 예방 원칙”을 적용하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그 원칙을 과도하게 적용하는 오류에 대한
존 엔틴의 날카로운 분석을 읽어야 한다. 사실, 우리의 감독기관 (미국 환경청 및 식품 의약국)은
“무해하다는 합리적인 확실한 것”이라는 형태로 사전 예방 원칙을 강력하게 적용한다.
9. The benefits of seed biotechnology cannot be realized without good seed germplasm to start with.
So a few large seed companies started buying up their competitors to acquire the most productive and
desirable varieties.
종자 생명 공학의 이점은 좋은 종자 생식세포질(생식질:生殖質이라고도 함) 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 그래서 몇몇 대형 종자 회사는 가장 생산적이고 바람직한 품종을 얻기 위해 경쟁사를
인수하기 시작했다.
10. The downside of the above practice is that by 2008, 85% of GM maize patents and 70% of non-maize
GM plant patents in the U.S. were owned by the top three seed companies: Monsanto, DuPont, and Syngenta [50].
Note that economists figure that when four firms control 40% of a market, it is no longer competitive; in the
case of GE crops, the top four seed firms control 56% of the global proprietary seed market!
위 실행의 불리한 면은 2008년까지, 미국에서 유전자 변형 옥수수 특허의 85%와 비 옥수수 유전자
변형 농작물 특허의 70%가 몬산토, 듀폰 및 신젠타의 상위 3개 종자 회사에 의해 소유되었다는
것이다. 경제학자들은 네 회사가 시장의 40%를 장악하면 더 이상 경쟁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주목하라. 유전자 조작 작물의 경우, 상위 4개 종자 회사가 전세계의 독점권을 가진 종자
시장의 56%를 장악하고 있다!
11. On the flip side, these profits are an incentive for the large corporations to invest in innovative plant
breeding research—Monsanto spends about $2 million a day on this. This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in an increasingly hungry world.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이익은 대기업들이 혁신적인 농작물 육종 연구에 투자하도록 하는
인센티브이다. 몬산토는 하루에 약 2백만 달러를 지출한다. 이것은 점점 더 굶주리는 세상에서
명심해야 할 중요한 일이다.
12. On the dark side, Monsanto’s nearly $12 billion in annual sales allows the company to lobby regulators,
influence universities, and spin the news. These are standard business practices for any large corporation,
but hardly make Monsanto uniquely evil.
부정적인 면에서 보면, 몬산토의 연간 매출액은 거의 120 억 달러에 달하므로 회사는 감독 기관에
로비하고, 대학에 영향을 미치며, 뉴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것은 대기업의 표준 비즈니스
관행이다, 그러나 몬산토를 유일하게 부도덕한 것으로 만들지는 않다
13. Be aware that patented genes are of use only if inserted into high-producing cultivars–which are
developed by conventional breeding (which constitutes nearly half of Monsanto’s plant breeding budget).
These desirable cultivars have no patent protection. Monsanto uses a non GE technology called SMART =
Selection with Markers and Advanced Reproductive Technologies. SMART technology is warmly embraced
by environmental groups [51].
특허받은 유전자는 기존 육종 (몬산토 농작물 육종 예산의 거의 절반을 구성하는)에 의해 개발된,
고생산 품종에 삽입된 경우에만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품종은 특허
보호가 없다. 몬산토는 SMART 즉, "표지 유전자 및 고급 번식 기술을 가진 선택" 이라고 부르는
비 유전자 조작 기술을 사용한다. SMART 기술은 환경 단체에 의해 열렬히 받아들여지고 있다.
14. Adding a genetic marker allows a company to identify its proprietary strains, like putting a nametag
on a dog. But clever breeders can back engineer the desirable germplasm out from patent protection.
유전자 표지를 덧붙이면 회사가 개에게 이름표를 붙이는 것과 같은, 독점 정도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영리한 육종가는 특허 보호에서 벗어난 바람직한 생식세포질(생식질)을
다시 가공할 수 있다.
15. And remember that patents expire after 20 years. The patents for Roundup Ready soybeans expire
in 2014—at which time farmers, universities, and seed companies will then be free to propagate and sell
the variety [52]. Patents are granted in order to spur innovation; by filing for patent protection,
a company must make its discoveries public knowledge. This is a good thing.
그리고 특허는 20 년 후에 만료된다는 것을 기억하라. 등록상표인 라운드업 레디의 대두에 대한
특허는 2014 년에 만료되며, 이때 농부, 대학 및 종자 회사는 품종을 자유롭게 번식하고 판매할
수 있다. 혁신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특허가 부여된다; 특허 보호를 신청함으로써, 기업은 자신의
발견을 공공의 지식으로 삼아야 하다. 이것은 좋은 일이다.
16. Monsanto invests 44% of its R&D on conventional (as opposed to GM breeding).
몬산토는 연구 개발비의 44 %를 기존 육종에 (GM 육종과는 반대로) 투자를 한다.
17. Monsanto has also given rights to some of their patented crops to poorer countries, and recently
donated a database of some 4000 genetic markers from cotton to Texas A&M [53]. The university plant
breeders are excited in that the information will assist them in their conventional (non-GM) breeding of
cotton, to the benefit of the environment [54 ].
몬산토는 또한 빈곤국에 자기의 특허 받은 일부 작물에 대한 권리를 인도하였으며, 최근에는
면화에서 나온 약 4000개의 유전자 표지 데이터베이스를 텍사스 A&M 주립대에 기증하였다.
대학 농작물 육종가들은 이 정보가 환경의 이익을 위해, 기존의 (비GM) 목화 품종개량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흥분하고 있다.
18. From the farmer’s standpoint, he has the choice of purchasing GE varieties that may be more
productive, reduce insecticide use, or reduce tillage costs [55]. Keep in mind that there is nothing
keeping him from purchasing “conventional” non-GM seed—it is available (I checked, and it sells
at about half the cost of GM seed). In our free enterprise system there is nothing to keep non-GM seed
companies from selling an alternative product if there is a demand. Farmers who are unimpressed by
GM varieties freely switch back to conventional seed.
농민의 입장에서, 그는 더 생산적이거나, 살충제 사용을 줄이거나, 경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유전자 조작 품종을 구매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그가 “기존의” 비유전자 변형 종자를
구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것을 명심하라. 그것은 이용할 수 있다 (내가 확인했고,
유전자 변형 종자 가격의 약 절반에 판매된다). 우리의 자유기업 제도에서는, 수요가 있다면,
비유전자 변형 종자 회사가 대체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유전자 변형
품종에 감명받지 못한 농민들은 자유롭게 기존의 종자로 되돌아 간다.
19. From an agricultural standpoint, the widespread adoption of a few favored crop varieties (GM or not)
can result in the irreplaceable loss of crop genetic diversity—this is of great concern to plant breeders.
If you haven’t yet seen the graphic of our loss of crop genetic diversity from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you should! [56]. Luckily, this does not appear to be occurring yet with maize in Oaxaca [57], but there is
a legitimate concern that economics will force traditional farmers out of business, leading to the loss of
heirloom varieties. However, this is not a GM issue, but rather an effect of consolidation.
농업적 관점에서, 몇 가지 선호되는 작물 품종 (유전자 변형이든 아니든)의 광범위한 채택은
작물 유전적 다양성의 화복할 수 없는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농작물 육종가들에게
큰 관심사이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잡지에서 작물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우리의 손실이라는
그래픽을 아직 보지 못했다면, 봐야 한다! 운 좋게도, 오악사카(Oaxaca)의 옥수수에서는 아직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경제가 전통 농민을 폐업하게 하여, 조상 전래 품종의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는 정당한 관심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유전자 변형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통합의 결과이다.
20. From a sustainability standpoint, there is nothing to prevent constant breeding innovation to keep
pace with pest evolution.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can play a role in sustainable farming as our
agricultural practices begin to shift to more ecologically sustainable methods.
지속 가능성 관점에서, 해충 진화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지속적인 육종 혁신을 막는 것은 없다.
우리의 농업 관행이 더 생태학적으로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바뀌기 시작함에 따라 유전적으로
조작된 작물들은 지속 가능한 농업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
21. One should keep in mind how the simple splicing of a virus gene into the papaya saved the Hawaiian
papaya growers from the ravages of ringspot virus—the GE papaya is the mainstay of the industry, and by
virtue of keeping the virus in check actually allows nearby organic papayas to thrive. Yet ecoterrorists
recently hacked down thousands of GM trees [58]. It’s interesting to read the history of “Golden Rice” [59]
to see how the anti-GMO lobby is specifically scared that the success of such a lifesaving crop might open
the door for acceptance of other GM plants!
파파야에 바이러스 유전자의 간단한 접합은 하와이 파파야 재배자들이 원형 반점 바이러스의
참화(慘禍)로부터 어떻게 구했는지 명심해야 한다--- 유전자 조작 파파야는 산업의 기둥이며,
검사에서 바이러스를 유지하는 장점에 의해 실제로 인근의 유기농 파파야가 번성하도록 해 준다.
하지만 과격한 환경보호 운동가들은 최근 수천 그루의 유전자 변형 나무를 마구 짤라내어 버렸다.
유전자 조작 농산물을 반대하는 로비가 어떤한 방법으로 그러한 생명을 구하는 작물의 성공이
다른 유전자 변형 농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문을 열지도 모른다는 것을 특별히 두려워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황금 쌀"의 역사를 읽어 보는 것은 흥미롭다!
Update Jan 2013
2013년 1월 업데이트
News item: Leading Environmental Activist’s Blunt Confession: I Was Completely Wrong To Oppose GMOs.
Blog in Slate Magazine “If you fear genetically modified food, you may have Mark Lynas to thank. By his own
reckoning, British environmentalist helped spur the anti-GMO movement in the mid-‘90s, arguing
as recently at 2008 that big corporations’ selfish greed would threaten the health of both people and
the Earth. Thanks to the efforts of Lynas and people like him, governments around the world—especially
in Western Europe, Asia, and Africa—have hobbled GM research, and NGOs like Greenpeace have spurned
donations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But Lynas has changed his mind—and he’s not being quiet about
it. On Thursday at the Oxford Farming Conference, Lynas delivered a blunt address: He got GMOs wrong.”
Anyone opposed to GMO’s should read Mr. Lynas’ well thought out address:
http://www.marklynas.org/2013/01/lecture-to-oxford-farming-conference-3-january-2013/
뉴스 기사 : 선도적인 환경 운동가의 솔직한 고백 : GMO(유전자 변형 농산물)을 반대하는 것은
완전히 잘못되었다. 슬레이트 매거진의 블로그 “만약 당신이 유전자 변형 식품을 두려워한다면,
마크 리나스에게 감사해야 할지 모르겠다. 영국의 환경 운동가는 자기의 계산으로, 90년대 중반에
대기업의 이기적인 욕심이 사람과 지구의 건강을 위협할 것이라고 최근 2008년 주장하면서,
反GMO 운동에 박차를 가하는데 기여했다.
리나스와 그와 같은 사람들의 노력 덕분에 전 세계 정부--- 특히 서유럽,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정부는 GM(유전자 변형) 연구를 방해했으며, 그린피스와 같은 시민 환경운동은 유전자 변형
식품의 기부를 거절하였다. 하지만 리나스는 그의 마음을 바꾸었고-- 그는 그것에 대해 조용히
있지 않았다. 목요일 옥스포드 농업 회의에서 리나스는 솔직한 연설을 했다. 그는 GMO를 잘못
알고 있었다.” GMO에 반대하는모든 사람은 리나스의 심사숙고한 연설을 읽어야 한다.
http://www.marklynas.org/2013/01/lecture-to-oxford-farming-conference-3-january-2013/
Update May 2014
2014년 5월 업데이트
I’ve compiled a list of recent worthwhile reading on the “other side” of the GMO debate at
http://scientificbeekeeping.com/gmo-updates/
나는 http://scientificbeekeeping.com/gmo-updates/에서 GMO 토론의 "다른 측면"에 대한
최근 읽을 가치가 있는 목록을 작성했다.
So What’s The Problem?
그래서 무엇이 문제인가?
The problem is that anti-GMO advocacy groups are determined to put a stop to all GE technology.
They targeted California with Prop 37, which applied only to packaged foods and produce. A more cynical
take on Prop 37 was that it was all about marketing: “If your produce is no different in terms of taste, safety
and nutrition from a competitor, and costs more, apparently the only marketing option is to create a negative
image of your competitor’s product” [60]. If Prop 37 had been successful, the promoters would then have
targeted restaurants, the meat and dairy industry, and the beverage industry. I personally feel that this is
an extreme position, what with the human population growing hungrier every day, and climate change
threatening agriculture worldwide with heat, drought, pestilence, and salinity problems. Not only that,
but GM crops hold promise for cheap omega-3 fatty acids (so that we don’t have to harvest fish for them),
cost-effective biofuels, and less expensive pharmaceuticals.
A good blog on the problem with the anti-GMO fear campaign can be found at [61], from which I quote:
문제는 GMO 반대 지지단체들이 모든 유전자 조작기술을 중지할 것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포장 식품 및 농산물에만 적용되는, 발의안 37에 대해, 캘리포니아를 표적으로 삼았다.
발의안 37에 대한 보다 냉소적인 견해는 마케팅에 관하여 전부였다 : “당신의 농산물이 맛, 안전 및
영양적인 조건에서 경쟁 업체와 다르지 않고, 더 많은 비용이 든다면, 분명히 유일한 마케팅 옵션은
경쟁사의 농산물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다”.
발의안 37이 성공했다면, 발의안 기안자들은 식당, 육류 및 유제품 산업, 음료 산업을 목표로 삼았을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것이 극단적인 상태라고 느낀다. 인류 인구가 매일 굶주려 가고 있고,
기후 변화가 열, 가뭄, 전염병 및 염분 문제로 전세계 농업을 위협하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GM(유전자 변형) 작물은 값싼 오메가-3 지방산 (그들을 위한 어류를 수확할 필요가 없음), 비용이
효율적인 바이오 연료, 및 저렴한 조제약품을 약속한다. 반 GMO 공포 캠페인의 문제에 대한 좋은
블로그는 [61]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서 인용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It would be bad enough if something like the Seralini study simply contributed to the unnecessary angst
amongst consumers around the world. It also has very real political, economic and practical effects.
For instance brand conscious food companies have used their leverage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GMO versions of potatoes, bananas, coffee and other crops because they fear controversy. Apple growers
worried about the market response are opposing the introduction of a non-browning apple even though
it was developed by one of their own fruit companies. French activists destroyed a government-run
field trial of a virus-resistant root stock which could have made it possible to produce good wine on sites
that have become useless because of contamination with sting nematodes and the virus they vector.
세랄리니 연구와 같은 어떤 것이 단순히 전 세계 소비자들 사이의 불필요한 걱정에 기여했다면
충분히 나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또한 매우 실질적인 정치적, 경제적, 실제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브랜드 의식을 가진 식품 회사는 논란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GMO 버전의 감자,
바나나, 커피 및 기타 작물의 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그들의 영향력을 사용하여 왔다. 시장 반응을
걱정하는 사과 재배자들은 자기들의 과일 회사 중 한 곳에서 개발했지만 갈변이 없는 사과의
도입을 반대하고 있다. 프랑스 운동가들은 정부가 운영하는 바이러스에 내성을 가진 뿌리 줄기에
대한 현장 시험을 훼손하였는데, 이것은 침 선충류와 그들이 매개하는 바이러스의 오염으로 인해
쓸모 없게 된 현장에서 좋은 와인을 생산할 수 있었다.
California voters have the potential to pass a seriously flawed “GMO labeling” initiative next month that
could only serve the purposes of the lawyers and “natural products” marketers who created it. More
importantly, European and Japanese importers of wheat essentially blackmailed the North American wheat
producers into blocking biotech wheat development because those companies were nervous about
consumer response in countries where GMO angst is so high. This has delayed by decades not only
specific desirable trait development, but also what might have been an enormous private investment in
a crop tha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feeding a lot more people than just those in those rich countries.
There is a huge cost of “precaution” based on poor science.
캘리포니아 유권자들은 다음 달에 변호사와 그것을 만들어 낸 “천연 제품” 회사의 목적에만
부합할 수 있는 심각한 결점이 있는 “유전자 조작 농산물 식품 표시” 국민발안을 통과시킬
가능성이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유럽과 일본의 밀 수입업체가 GMO에 대한 불안이 매우 높은
국가에서는 소비자 반응에 대해 불안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북미 밀 생산자들이 생명공학
밀 개발을 차단하도록 협박했다. 이것은 특정 바람직한 특성 개발뿐만 아니라, 부유한 국가의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을 공급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농작물에 대한 막대한 민간
투자이었을 수도 있는 것으로 수십 년에 걸쳐 지연되어 왔었다. 열악한 과학을 바탕으로한
“사전 예방”에는 막대한 비용이 든다.
I believe that people should be well informed before taking a stance on important issues. I’d like to
suggest one last excellent blog by an independent U.C. Berkeley evolutionary biologist and medical
researcher: “How Bt Corn and Roundup Ready Soy Work – And Why They Should Not Scare You [62].
나는 사람들이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입장을 취하기 전에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나는 독자적인 U.C. 버클리의 진화 생물학자이며 의학 연구자가 쓴 마지막 훌륭한 블로그
하나를 제안하고 싶다 : “Bt 옥수수와 등록상표 라운드업 레디의 대두가 작용하는 방법 –
그리고 그들이 당신을 놀라게 해서는 안되는 이유에 대해 [62].
주) Bt : 바이러스를 이용한 천연 살충제를 내는 작물
Acknowledgements
감사의 말
As always, thanks to my friend and collaborator in research Peter Loring Borst, and to anyone who
still reads my articles after finding out that I’ve collaborated with Monsanto!
언제나 그렇듯이, 제 친구이자 연구 동료인 피터 로링 보스트, 그리고 내가 몬산토와
협력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에도 여전히 제 기사를 읽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
References
너무 많아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