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하는 교실
일본말을 만들 때 모델이 된 말은 ‘안았다가 끼워 봐버려!’이다.
이 말을 일본인들은 사투리로 ‘아나따, 끼바삐!’라고 했다.
이 말을 다시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백제글자와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あなた, 貴方彼!
아나따, 귀방피! (이두한자의 종성을 없애면)
아나따, 귀바피! (한자에는 ‘삐’ '끼'자가 없으므로 ‘피’ '귀'자로 대용하고 있다.)
아나따, 끼바삐! (현대인이 알기 쉽게 고치면)
안았다(가) 끼워 봐버려! (의 뜻이 된다)
* ~다; ‘~다가’의 사투리. (비가 오다 그쳤다.)
* 貴方彼(귀바삐)→끼바삐; ‘끼워 봐버려’의 이두, 사투리.
2. 명치이후 일본정부 산하 조선말 비밀연구원들이 위의 말을 함부로
가르고, 없던 말도 덧 붙여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어 내었다.
사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 말(조선 말)과 일본 말?과의 경계선이다.
あなた[貴方]; 당신. (貴; 높임말의 접두어.)
[彼方]; 저쪽, 저편.
3. 켜켜이 묻혔던 과거를 캐어냈으니, 후예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까?
*** 彼자 옆에 있는 方자는 ‘貴方’과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일본정부와
어용학자들이 만들어 써넣은 글자이다.
*** 여기에서 백제 말이라고 하는 것은, 정체성이 백제에 있었기 때문에 여러
지방 사투리가 나와도 ‘백제 말’이라고 하였다.
** 위 단어는 이두인 ‘貴方’과 ‘彼方’자를 뜻으로 해석하여 ‘안았다(가)’라는
백제말을 ‘당신’과 ‘저편’이라는 뜻으로 바꾸어버렸다.
이렇게 단어를 만든 결과 "貴方, 彼方"을 “あなた(아나따)”라고 읽는 웃지 못할
꼴이 되었다.
이런 것을 우리는 “명치 식 읽기”라고 명명해 왔다.
*** ‘貴方, 彼方’자가 없었다면 ‘あなた’가 원래 무엇을 의미했던 백제말인지
영영 몰랐을 것이다.
*** 모든 일본말이라는 것은 이렇게 만들어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