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초보라서..
(지문중에..)
특정차입금 50,000
차입일 2007,1,1
상환일 2008,12,31
이자율 12%
이자지급조건 분기별복리/만기지급
이중 10,000은 2007,1,1,~2007,6,30동안 연 9%(단리) 이자지급조건의 정기예금에 예치하였다
(풀이에서)
-특정차입금범위내에서 자본화할 금융비용-
당기중 발생한 금융비용 50,000x(1+0.12/4)^4-50,000 = 6,275
일시투자수익 10,000x0.09x6/12 = 450
50,000x(1+0.12/4)^4-50,000 이 식이 이해가 안되요.. 분기별복리/만기지급 때문인거 같은데
이 식의 의미를 알려주세요.
이 계산 쌀집계산기로 가능한가요??
-일반차입금 범위내에서 자본화할 금융비용-
[평균지출액-(50,000x12/12-10,000x6/12)]x자본화이자율
연평균지출액에서 특정차입금으로 지출한 금액을 제외하고 ..라고 설명이 나와있어요
근데 10,000x6/12는 뭔가요? 수입금 같은데
10,000x0.09x6/12 하는거 아닌가요??
첫댓글 1. 50,000x(1+0.12/4)^4-50,000 말씀하신대로 이식은 분기별복리 적용시 1년동안 발생하는 이자금액입니다... 보통 금리는 연복리로 적용되는데...분기별적용시도 논리는 마찬가지입니다. 현금100을 이자율 r(연복리)로 운용시 2년후 원리금은 100x(1+r)^2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논리입니다.. 2. 총지출액, 일반차입금지출액,특정차입금지출액을 모두 연평균지출액으로 환산후 계산하므로 특정차입금 지출금액도 연평균지출액으로 환산해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