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대동 도시 사회 경제 포럼
카페 가입하기
 
 
 
 

자주가는 링크

 
등록된 링크가 없습니다
 
 

카페 통계

 
방문
20250217
2537
20250218
2394
20250219
2341
20250220
2159
20250221
1847
가입
20250217
2
20250218
0
20250219
0
20250220
0
20250221
0
게시글
20250217
65
20250218
47
20250219
70
20250220
56
20250221
37
댓글
20250217
35
20250218
53
20250219
39
20250220
45
20250221
39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seo123
    2. real
    3. 성하
    4. 김종학
    5. Kenshin
    1. 시리메테우스
    2. 김연이
    3. 라온아띠
    4. 카이Q
    5. 능소니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그림그리기
    2. 작나무
    3. 하이원
    4. jinee
    5. 맨조포
    1. 짜루짜루
    2. JF산업개발
    3. 이미나에게로
    4. 파스텔그린
    5. 남산동구야
 
 

지난주 BEST회원

다음
 
 
 
 
 
 
카페 게시글
생활 경제 이야기 2017 가계 금융복지 조사 결과(대체 한국사람의 재산 평균은?)
대도는아재가아니야 추천 0 조회 1,284 17.12.24 14:27 댓글 1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7.12.24 14:49

    첫댓글 기사에서 이 그림이 가장 인상적이네요. 상위 20% 분위 집단의 소득이 그 아래 분위보다 월등히 높아요. 증가율도 가장 높지요.
    빈부격차가 자산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소득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동국대 김낙연교수의 연구와 일치하는군요.

  • 작성자 17.12.24 15:07

    상위 20%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부동산은 매년 올랐습니다. 경기도 주택은 많이 공급되는데 서울 주택 공급이 적었거든요. 한국인 가구 재산의 70%가 부동산 실물 자산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자산의 차이가 소득의 격차보다 더 커질 것이라는 토마스 피케티 이론에도 맞아들어갑니다. 작년보다 10억원 이상 보유한 가구수가 많이 늘었습니다.

  • 17.12.24 14:55

    @대도는아재가아니야 그렇군요.

  • 17.12.24 14:53

    우리가 흔히 통계숫자로 주로 인용하는 평균 값은 단지 계산일 뿐이지 현실이 제대로 안보여서요. 빈부격차가 커진 현 상황에서는 분위값, 중위값을 파악하는 것이 더 적절할 듯 해요.

  • 작성자 17.12.24 14:56

    저 블로그 밑쯤에 첨부파일이 있습니다. 첨부파일 60쪽쯤 넘어가면서 마지막쯤에 보시면 중위값도 계산되어졌으니 도움이 되실 겁니다.

  • 17.12.24 14:58

    @대도는아재가아니야 순자산 기준으로 울산이 가장 부자 도시네요. 서울이 아니라.. 신기한 현상입니다. 그러나 대체로 서울이 부자인 것은 사실이네요.

  • 17.12.24 14:59

    @대도는아재가아니야 자산에서 얻어지는 소득은 서울이 압도적으로 높군요. 아마 임대소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만,...

  • 작성자 17.12.24 15:09

    @미천왕 서울에 주요 대학교, 정부기관, 국회, 주요 의료시설, 문화시설, 대기업 본사 등이 몰려있고 지하철이 계속 뚫릴 예정이어서 해가 갈수록 지가가 상승할 것 같아요. 통일되면 더 올라갈 거구요. 서울의 집 한채가 등락은 있지만 가지고 있어서 나쁠 건 없지 않은가 뭐 전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지방의 여수 순천 거제 울산 창원 구미 등이 제조업으로 부유한 곳입니다. 그러나 노동집약적인 사업인 조선산업 등에서 임금가격이 계속 상승하면 공장이 해외로 나가게 되고 이 영광이 끝나지 않을까도 우려됩니다.

  • 17.12.24 15:08

    @대도는아재가아니야 네, 동의합니다. 서울이 살기 좋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죠. 결국 주변에서 부를 축적하면 수도권, 서울 진입을 시도할 것이고 그래서 장기적으로 보면 부동산이 상승할 것이라는 해석은 가능하다고 봅니다. 다만 그 과정이 험난할 것 같아요. 지정학적 특징부터 워낙 변수가 많은 나라이니... 말이죠.

  • 작성자 17.12.24 15:11

    @미천왕 집은 사는 게 아니라 사는 거라고 하니까요. 거기서 거주하다보니 가격이 오르고 떨어지고 그러다가 세월이 흘러보니 많이 올라있고 그렇게 될 거 같아요. 뉴스레터 연구소 중에 수도권규제완화해서 경쟁력 높여야 한다는 연구도 있었구요.

  • 17.12.24 15:18

    @대도는아재가아니야 맞습니다. 부동산이든 무엇이든 자산이란 어찌어찌 하다보니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어느덧 올라있는 그 무엇이 아닐까 싶습니다.

  • 작성자 17.12.24 15:23

    @미천왕 그런 의미에서 보유세가 검토되고 있지 않을까 싶어요. 다주택자의 경우 1%씩 매기면 1억에 연 100만원 정도네요. 서울 주택가격 6억 5천만원이라고 계산하면 다주택자에게 1년에 650만원씩 꼬박꼬박 걷을 수 있어요.

  • 17.12.24 15:36

    @대도는아재가아니야 선진국에 비해아 턱없이 낮은 보유세를 인상하자는 사회적 합의는 이미 이루어진 것 같더군요. 처음에는 조심스러웠는데 투기 등 워낙 폐단도 크고 일부 소득이 높은 부유한 계층에서 자각도 일어나는 듯 해요.

  • 17.12.24 15:38

    @대도는아재가아니야 그 동안 부동산 투기 바람을 일으켜 세금도 많이 걷고 국가나 지자체 입장에서도 나쁘지 않은 정책이었는데, 가계부채 폭발을 앞두고 이런 정책을 더 끌고 나가기 어렵게 되었죠. 그렇다면 어떻게 세금을 걷어들일 것인가? 결국 보유세가 답이 될 수 밖에 없겠다 생각했습니다.

  • 작성자 17.12.24 19:29

    가구주 연령대별 순자산

  • 17.12.25 14:05

    저임금 중소기업 근무로 노후가 염려되요

  • 17.12.25 14:05

    저임금 중소기업 근무로 노후가 염려되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