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산업특성
□ 산업 개관
ㅇ 수전력 산업 GDP 규모
- 2019년 수전력 산업의 GDP 규모는 20억 달러로 전년 대비 28% 성장
- 수전력 산업은 전체 GDP의 1%에 불과하나, 인구 증가* 및 담수·발전 설비 확충에 따라 지난 5년간 연평균 17% 성장
* 카타르의 인구는 2020년 5월 기준 280만 명(10년간 연평균 5% 증가)
수전력 산업 GDP 규모
(단위: 백만달러)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YoY | CAGR |
1,085 | 1,643 | 1,693 | 1,593 | 2,045 | 28% | 17% |
주: 담수·발전 산업 GDP는 Sewerage, Waste Management 등 주요 자원 생산.공급 활동을 포함
자료: Qatar Central Bank
ㅇ 가스 연료 활용 및 해수 담수화를 통한 수전력 자원 생산
- (전력) 카타르는 세계 최대 천연가스 수출국으로, 전력 생산량의 99.7%는 가스를 활용해 생산
- (수자원) 부족한 지하수 자원(2016년 수자원 생산량의 25%)으로 인해 수자원의 62%는 해수 담수화를 통해 생산되고 있음. 13%에 해당하는 하수(TSE)는 수처리 후 농경 용수로 활용
카타르 수자원 생산 동향 (1991~2016년)
자료: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2020년 6월 기준 최신자료)
□ 주요 국가 정책 및 이슈
ㅇ 수전력 생산 부문 민영화
- 담수·발전 및 송배전 산업은 1999년까지MEW(Ministry of Electricity and Water)에서 관할했음.
- 정부는 민간 분야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2000년 수전력 생산 부문을 민영 사업으로 분리
- 카타르 주식거래소 상장회사인 QEWC(Qatar Electricity & Water Corporation)가 수전력 생산 부문을 맡고 있으며, 송배전 분야는 국영 기업인 카타르수전력청(Kahramaa)을 통해 운영
ㅇ 에너지 효율화 정책 ‘타르시드(Tarsheed)’
- 카타르 수전력청(Kahramaa)에서 추진하는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 프로그램
- 1단계(2012~2017) 정책 이행 결과, 이행 전과 대비해 1인당 전기 및 수도 사용률은 각각 18%, 20% 감축했으며, 탄소배출량 1,400만 톤, 2,600억 큐빅피트 규모의 천연가스 사용량 감축
- 2단계(2018~2022) 정책은 1인당 하루 전기 사용량을 14%(43kWh → 35 kWh)로 감축하고, 물 사용량은 17%(595L → 459L) 감축을 목표로 함.
타르시드 주요 내용
기술 및 수요 관리 | ㅇ 절약형 수도꼭지 보급 및 설치 ㅇ 에너지절약시스템(EMS) 시행 ㅇ 에너지 다소비 업종 감시 강화 ㅇ 에너지효율화 기기 사용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
시민사회 참여 | ㅇ Tarsheed 프로그램 유공자 시상 및 홍보 ㅇ 모든 분야에 Tarsheed 프로그램 교육 훈련 ㅇ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 전시회 개최 ㅇ 건물 에너지 절약 촉진 ㅇ 그린카(전기차) 보급을 위한 충전소 보급 확대 |
규정 및 제도 | ㅇ 규제이행 및 준수 확인을 위한 건물 허가절차 강화 ㅇ 에너지 절약 규정 이행 모니터링 제도 강화 ㅇ 가전제품에 최소 에너지성능표준(MEPS) 등 라벨링 규정 강화 ㅇ 에너지 관리 및 효율화를 위한 소비자 교육 |
대체 에너지 | ㅇ 모범 학교에 재생 에너지 기술 적용 ㅇ 태양광 패널 및 태양광 난방기 기준 설정 ㅇ 스마트 그리드 테스트 베드 프로젝트 ㅇ 수전력청 시설 내 재생에너지 기술 적용 ㅇ 태양광 패널 가로등 설치비율 10% 확대 |
자료: Kahramaa
ㅇ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 ‘타우틴(TAWTEEN)’
- 카타르 에너지 분야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해외기업에 조달, 생산, 서비스 등 현지 진출조건을 부가함으로써 현지 공급망 육성 및 산업기반 확대를 목표로 하는 현지화 프로그램
- 프로그램은 ①현지 재화 및 서비스 활용 정도를 나타내는 ICV(In-Country Value) 제도 도입, ②현지화가 유망한 6개 분야 100대 투자기회 제공, ③현지 에너지 분야 공급자 육성(Supplier Development) 프로그램 지원으로 구성
- 2020년 7월 1일부터 QP(Qatar Petroleum), QEWC를 포함한 15개 주요 에너지 기업 입찰 참가 시 ICV 점수 제출 의무화
* (타우틴 상세 정보) KOTRA 해외시장뉴스 카타르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 타우틴(TAWTEEN) 발표 (클릭)
□ 주요 프로젝트
수전력 분야 주요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 발주처 | 예산규모 (백만 달러) | 진행현황 | 공사기간 |
Facility E IWPP | QEWC | 3,000 | Main Contractor | 2020년 12월~ |
Qatar Transmission: Phase 13: Cables, Substations 송전용 케이블 및 변전소 건설 | QEWC | 3,610 | Execution(69%) | 2017년 3월~ |
800 MW Solar PV Plant in Al Kharsaah(IPP) | Siraj Energy | 467 | Execution(18%) | 2020년 1월~ |
Facility E Transmission Pipeline | QEWC | 100 | Execution(5%) | 2020년 4월~ |
자료: Meed Projects (2020년 6월 확인 기준)
나. 산업 수급 현황
□ 생산 현황
ㅇ 공급 구조
- QP(Qatar Petroleum)에서 생산한 가스를 연료로 사용해 민자발전담수플랜트(IWPP) 가동
- 민간담수·발전플랜트(IWPP)에서 생산한 담수·발전 자원을 카타르수전력청(Kahramaa)의 송배전망 및 수도 설비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
카타르 수전력 공급 구조
자료: Kahramaa
ㅇ 발전·담수 플랜트 운영 현황
- 총 12개 플랜트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6개 플랜트에서 담수·전력 동시 생산
2018년 발전담수 플랜트 운영현황 및 생산용량
기업명 | 플랜트 현황 | 전력 생산용량(MW) | 물 생산용량(MIGD) |
QEWC | Ras Abu Fontas A1 | - | 44.31 |
Ras Abu Fontas A2 | - | 35.14 | |
Ras Abu Fontas A3 | - | 35.14 | |
Ras Abu Fontas B | 609 | 33.00 | |
Ras Abu Fontas B1 | 377 | - | |
Ras Abu Fontas B2 | 567 | 29.14 | |
Dukhan Desalination Plant | - | 2.00 | |
Ras Laffan Power Company | Ras Laffan A | 756 | 40.00 |
Q Power | Ras Laffan B | 1,025 | 60.00 |
Ras Girtas Power Company | Ras Laffan C | 2,730 | 63.00 |
Mesaieed Power Company Limited | Mesaieed Power Station | 1,995 | - |
Umm Al Houl Power Company | Umm Al Houl Power | 2,520 | 136.50 |
합계 | 10,579 | 476.23 |
주: MW(Mega Watt), MIGD(Million Imperial Gallon per Day)
자료: Kahramaa
ㅇ 변전소 운영 현황
- 2018년 기준 카타르 내 변전소는 총 16,300개로 2013년 대비 38% 증가
변전소 운영 동향
(단위: 개)
구분 | 400 kV | 220 kV | 132 kV | 66 kV | 33 kV | 11 kV | 11 kV | 11 kV PM PMT | 합계 |
2013년 | 9 | 25 | 37 | 172 | 7 | 3,993 | 6,246 | 1,337 | 11,826 |
2018년 | 11 | 39 | 78 | 199 | 6 | 6,464 | 8,031 | 1,472 | 16,300 |
자료: Kahramaa
ㅇ 생산 동향 및 소비 현황
- (전력) 연간 생산량은 약 4만 8천 GWh로 지난 5년간 연 평균 5.5% 증가. 가정용으로 27%, 산업용으로 73% 소비
- (수도) 연간 생산량은 6억 3,700만 ㎥ (약 384 MIGD) 로 지난 5년간 연 평균 6.6% 증가. 가정용으로 94%, 산업용으로 6% 소비
2018년 전력 생산량 | 2018년 물(담수) 생산량 |
자료: Kahramaa
□ 주요 기자재 수입 동향
수전력 분야 주요 기자재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품목 | 2016 | 2017 | 2018 | 총수입 증감 | ||||
총수입 | 한국 (점유) | 총수입 | 한국 (점유) | 총수입 | 한국 | 전년대비 | 연평균 | |
절연전선류 | 409,705 | 12,825 | 339,511 | 19,249 | 355,166 | 126,742 | 5% | △13% |
배전반 및 제어반 | 303,908 | 9,117 (3%) | 346,931 | 6,582 | 342,968 | 249 | △1% | 13% |
탭, 코크, 밸브류 | 347,754 | 19,656 | 163,779 | 2,320 | 272,281 | 3,964 | 66% | △22% |
변압기 | 262,203 | 42,113 | 217,406 | 25,884 | 209,615 | 16,003 | △4% | △20% |
전기회로 접속용 기기 | 126,648 | 286 | 87,401 | 989 | 133,691 | 694 | 53% | 6% |
철강관 | 91,849 | 5,767 | 88,995 | 661 | 131,553 | 174 (0%) | 48% | 43% |
발전세트와 회전변환기 | 125,178 | 11,397 | 83,621 | 2 | 71,379 | 0 | △15% | △43% |
전동기 및 발전기 | 92,391 | 4,357 | 24,626 | 1,571 | 66,018 | 536 (1%) | 168% | △29% |
전기회로 개폐, 보호, | 105,682 | 3,271 | 100,385 | 2,640 | 49,491 | 5,495 (11%) | △51% | △53% |
주: 한국 통계 중 퍼센트(%) 는 한국산 제품 점유율 의미
자료: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KITA
□ 정부기관 및 주요 기업 현황
Weakness | |
- 천연가스 및 석유 자원 수출로 축적한 정부 및 국영기업의 | - 국제 유가에 좌우되는 에너지 의존 경제 단교로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 애로 높은 해외 수입 의존도 |
Opportunity | Threat |
- 인구 및 여행객의 꾸준한 증가에 따른 수도전기 수요 증대 | - 코로나19에 따른 정부 프로젝트 지출 감축 확대 및 경쟁 불가피 |
□ 유망 품목
ㅇ 플랜트 및 송배전 공급망 기자재
- 대형 담수·발전 플랜트 및 송배전망, 하수처리 시설 확충과 관련한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중
- 신규 프로젝트 및 기존 플랜트 유지보수 수요에 따라 관련 기자재(변전소 설비, 전선류, 밸브 및 파이프류 등) 수출 유망
- 카타르 현지 에이전트 발굴 및 카타르수전력청 벤더 등록을 통해 진출 기회 모색 가능
ㅇ 전기차 충전소
- 카타르수전력청은 2022년까지 주유소 및 공공시설 등에 전기차 충전소 400개소 설치 계획
- 카타르수전력청 본사, 포르쉐(Porsche) 센터, QNB(Qatar National Bank) 사옥을 포함해 약 20개소 미만 충전 시설 운영 추정
- 정부 주도의 전기차 판매율 확대 목표(2022년까지 10% 확대) 및 충전소 확충 계획에 따라 파워뱅크, 케이블, ESS 등 관련 기자재 수요 확대 전망
ㅇ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 카타르수전력청은 독일의 지멘스(Siemens)와 함께 수도전기 계량 시스템 고도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으로, 2020년 말까지 스마트 계량기 약 6만 개 설치 예정 (추후 추가 설치 계획 중)
- 정부 주도의 에너지 효율화 정책과 함께 에너지 수요 및 데이터 관리, 자동 분석 및 원격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스마트 그리드 기술* 수요 확대 전망
- 한편, 지난 2015년 12월 카타르에서 개최된 '제3차 한-카타르 고위급 전략회의'를 통해 한국전력과 카타르수전력청은 스마트 그리드(지능형 전력망) 및 스마트 시티 기술 협력에 관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음.
* 스마트 계량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 지능형 송배전 시스템 등
□ 진출 방안
ㅇ 현지 생산시설 설립 등 현지화 기반 확대
-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 타우틴(TAWTEEN) 도입에 따라 2020년 7월부터 QEWC에서 발주하는 입찰 프로젝트 참가 시 ICV(In-Country Value) 제도 본격 도입
- 발주처는 기본적으로 기술 요건을 검토하는 동시에 카타르 내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지출 정도를 나타내는 ICV 점수 검토 예정
- 입찰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지 조립 및 생산 시설 설립 및 현지 재화 및 서비스 활용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 필요
ㅇ 현지 프로젝트 및 수전력 관련 기자재 수요 발굴을 통한 진출 모색
- 정부의 수전력 네트워크 확충 프로젝트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 에너지 정책 수행으로, 중대형 프로젝트 진행과 함께 수전력 관련 기자재 수요 지속 발생 예정
- 카타르수전력청 및 QEWC 홈페이지의 입찰 정보를 통해 수전력 관련 주요 프로젝트 및 기자재 관련 입찰 수요 파악 가능
- 수출 위주 기업의 경우 현지 수입 에이전트 발굴을 통해 현지 입찰 동향을 파악하고 기자재 공급 기회를 모색해 볼 수 있음.
수전력 분야 관련 유용한 링크
ㅇ 카타르수전력청(Kahmraa) 입찰 정보 - https://www.km.qa/Business/Pages/Tenders.aspx ㅇ QEWC(Qatar Electricity and Water Corporation) 입찰 정보 - https://www.qewc.com/qewc/en/tenders/ |
자료: Kahramaa, QEWC(Qatar Electricity and Water Corporation),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QCB(Qatar Central Bank), Meed Projects, 주요 일간지(Gulf Times, Peninsula, Qatar Tribune), KITA, 한국전력공사, KOTRA 도하무역관 자체 조사 자료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