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ECD의 한국담당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입니다.
1. 대학전공과 기업에서 필요한 전공불일치 개선
2. 일류대학입학을 위해 적성에 맞지않은 학과지원에 대한 대책으로 전공선택 유연성강화
3.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 해소
4. 고급여성인력유지를 위한 육아및 탙력적 근로시간 등 가족 친화정책
후반부에는 인플레이션을 우선적으로 잡아야한다는 내년 경제전망과 대책에대한 내용입니다.
(INTERVIEW) OECD calls for Korea to reform college entrance exam
(인터뷰) OECD, 한국에 대학시험개혁을 요청
By Kim Yoo-chul 김유철 기자
Posted : 2022-11-24 14:58 Updated : 2022-11-25 16:02
Korea Times
Korea should also plan for prudent spending in 2023 to control inflation
한국은 2023년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위해 신중한 지출을 계획해야 함
The expansion of Korea's education system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But the education system is now facing demographic headwinds and also needs improvements to meet the needs of the modern labor market.
한국의 교육시스템 확대는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교육제도는 이제 인구 통계 학적 역풍에 직면 해 있으며 현대 노동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In short, the country's labor productivity is low while labor inputs are high because the country saw remarkable economic growth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was made possible by state intervention in the economy, with a strict focus on labor and cash-intensive manufacturing industries in such a way so as to produce manufactured products for exports.
요약하면, 우리나라는 20세기후반에 상당한 경제성장을 보였기 때문에 노동투입은 높지만 생산성이 낮다. 이것은 국가가 노동력에 개입하고 현금집약적인 제조업에 집중해서 수출용제품을 생산해서 가능했다.
A core point behind the drastic economic development was the elite strategies implemented for higher education, leading Koreans to become obsessed with prestigious and socially recognized colleges, which were prioritized over efforts to gain real-world practical skills. According to critics, the country's economic achievement and education miracle resulted in a so-called education inflation situation because of the huge mismatch between skills taught in post-secondary education and skills desired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급격한 경제 발전의 핵심은 고등 교육을 위해 시행된 엘리트 전략이었고, 한국인들은 실질적인 기술을 우선으로 하는 권위 있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대학에 집착하게 되었다. 비평가들에 의하면 한국교육은 대학교육이후 가르치는 기술과 공공 및 민간 부문이 원하는 기술 간의 큰 불일치 때문에 이른바 교육 인플레이션으로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교육의 기적을 낳았다.
A recent study by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shows that Korea has the lowest labor productivity returns from education spending among OECD member nations. Specifically, the OECD analysis showed that the country spends 40 percent more on a typical teenage student than Ireland yet obtains 60 percent less in GDP per worker.
OECD의 최근 연구에 의하면 한국은 OECD 회원국 들 중 교육지출대비 생산성이 가장 낮았다. 특히, OECD 분석에 의하면 우리는 근로자당 GDP가 아일랜드보다 60% 낮은 데도 통상 10대에게 40% 많이 교육비로 지출한다.
Speaking to The Korea Times, an OECD economist said that the country may have to reform its education systems, stressing that educational reforms should focus on boosting the productivit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even wages.
OECD 이코노미스트는 코리아 타임즈와 인터뷰에서 우리나라는 교육개혁에 중소기업과 임금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어야한다고 말했다.
"Educational reforms must be accompanied by measures to break down labor market dualism and raise SMEs productivity and wages, thereby encouraging young people with tertiary education to accept jobs in smaller firms rather than queueing for jobs in large firms and the public sector," Hwang Hyun-jeong, who covers the Korean economy at the OECD, said in a recent interview.
“교육개혁을 통해 노동시장의 이중성을 타파하고 중소기업의 생산성과 임금을 올려서 고등교육을 받은 젊은이들에게 대기업과 공공부문의 일자리를 기다리기 보다는 중소기업의 일자리를 받아들이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OECD에서 한국을 담당하고 있는 황현정 이코노미스트가 최근 인터뷰에서 말했다.
Hwang added that the education system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develop their individual interests and talents by providing a wider range of paths to success. "This requires reducing the emphasis on the standardized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allowing university students more flexibility in choosing and changing their field of study to reduce mismatches between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labor market," she said.
황 이코노미스트는 교육제도가 학생들에게 더 광범위한 성공패스를 제공해서 개인의 관심과 재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것은 표준화된 대학입시에 대한 강조를 줄이고 대학생들에게 교육제도와 노동시장 간의 불일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공선택과 변경에 유연성을 강화해야한다.”고 그녀는 말했다.
According to OECD analysis, Korean students are typically ranked among the world's top level, but just right after they enter the workforce, their cognitive strengths begin to erode at the fastest pace among OECD nations mostly because of reduced competition, independency and the discontinuance of ongoing training.
OECD분석에 의하면 한국학생들은 세계의 최고수준의 순위에 들고 있지만 지속교육의 단절, 경쟁, 독립성의 감소로 OECD 국가중 가장 빠른 속도로 지적능력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Education reforms so as to reduce the labor market mismatch need to overcome the widely held belief that the only path to success is a degree from a top university leading to a regular job at a large corporation or in the public sector. To gain admission to top-ranked universities, many students apply to department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ir interests and capabilities, resulting in sub-optimal use of talent," according to the economist.
이코노미스트에 의하면 “노동시장의 불일치를 줄이기 위한 교육개혁은 성공으로 가는 유일한 길은 일류 대학에서 정규직으로 이어지는 학위라는 널리 알려진 믿음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일류대학에 입학하기위해 많은 학생들이 그들의 관심이나 적성에 맞지 않은 학과에 지원해서 재능의 차선적인 사용을 초래한다.”
Recruitment managers at the country's leading companies often claim that the experience and skills they want have literally nothing to do with whether an applicant holds a bachelor's degree. The OECD said Korea is its only member nation where the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courses taken in tertiary education and actual employment is nearing zero.
국내 유수 기업의 채용 담당자들은 회사가 원하는 경험과 기술은 지원자가 학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는지 여부와 문자 그대로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 OECD는 한국이 3차교육과정과 실제취업과의 연관성이 거의 없는 유일한 국가라고 말하고 있다.
She said that the OECD doesn't expect any noticeable changes in the country's labor market conditions under the current administr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Moon Jae-in administration, saying that higher productivity in the labor market and a better work-life balance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그녀는 노동시장의 높은 생산성과 더 나은 일과 삶의 균형은 동전의 양면이라고 말하며 OECD는 전임 문재인정부에 비교하여 현정부의 노동시장에 주목할 만한 변화를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In particular, family-friendly policies such as parental leave or flexible working hours are essential to increase female productivity. Because in the absence of such policies, highly skilled women might leave the workforce entirely or for an extended period, deteriorating their skills and thereby ending up in low-skill jobs. This suppresses aggregate economic productivity. Despite an abundance of well-educated women, Korea has the largest gender wage gap in the OECD. Strengthening work-life balance policies will be essential to increasing productivity in Korea," according to her.
“특히 육아휴직이나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같은 가족친화적 정책은 여성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정책 없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여성들이 일자리를 떠나고 기술이 퇴화하여 저 기술 직종으로 내몰린다. 이것이 총체적인 경제 생산성을 위축시킨다. 훌륭한 교육을 받은 풍부한 여성인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OECD 내에서 한국은 가장 큰 성별급여차이를 가지고 있다. 일과 삶의 균형정책은 한국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이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BOK should bring inflation back to its target quickly
한은은 인플레이션을 신속히 목표수준으로 복귀시켜야 한다
The Korean economy, Asia's fourth-largest, is facing signs of slowing domestic growth because of the rising cost of living and its effects on household income. This has been pressuring the country's central bank ― the Bank of Korea ― to seek measures striking a balance between inflation and economic growth.
아시아 4위의 한국 경제는 생활비 상승과 가계 소득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국내 성장이 둔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사이에서 균형을 깨는 조치를 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The OECD cut its growth forecast for the Korean economy next year to 1.8 percent, down significantly from the 2.7 percent forecasted for this year. The economist said its projection is a "reflection of a weaker outlook for trade partner countries, together with higher inflation and tighter monetary and financial conditions which will reduce purchasing power and take a toll on consumer spending and business investment."
OECD는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율을 올해 2.7%의 당초 전망해서 현저히 낮은 1.8%로 전망을 낮추었다. 이 이코노미스트는 “더 높은 인플레이션과 더 엄격한 통화 및 금융 조건과 함께 무역 상대국에 대한 약한 전망을 반영하여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것을 반영한” 전망이라고 말했다.
The OECD said Korea should bring inflation back to the target level as soon as possible. The country's inflation level was at 5.7 percen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OK's target of 2 percent, meaning that the BOK has more room to raise its benchmark rate, additionally, before pausing.
OECD는 한국이 인플레이션을 가능하면 빨리 목표수준으로 복귀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인플레이션 수준은 한은의 목표수준인 2%보다 훨씬 높은 5.7%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릴 여지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Rate increases so far, and likely further increases in the future will help re-anchor inflation expectations and prevent inflation from spiraling out of control. High public spending also fuels inflation. The government is therefore right to plan for more prudent spending next year, reducing COVID-related supports. However, those who need it most, for example, low-income people and those hardest hit by inflation, may need some targeted support," the economist said.
“지금까지 금리가 인상되었고, 향후 추가 인상은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재조정하고 인플레이션이 걷잡을 수 없이 치솟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높은 공공부문지출이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코비드 관련 지원을 줄이면서 내년에 더욱 지출을 신중히 계획해야 한다. 그러나, 저소득층과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크게 받은 계층은 일부 국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라고 이코노미스트는 말했다.
Looking further ahead, Hwang said the government could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economy to boost economic growth by reducing the relatively wide productivity gaps between large and small companies.
앞으로 정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상대적으로 넓은 생산성 격차를 줄여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경제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고 황 이코노미스트는 말했다.
"A large number of policies have been put in place to support SMEs. Each policy may have some justification if seen in isolation, but they all add up to a system that promotes the survival of low-productivity firms. A better way forward would be strengthening competition and supporting people and business dynamism," according to her.
그녀에 의하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위해 많은 정책들이 시행되었다. 개개의 정책은 독립적으로 보면 정당성이 있지만 하지만 그것들은 모두 생산성이 낮은 회사들의 생존을 촉진하는 시스템에 추가되어야 한다. 개선책은 경쟁을 강화하고 사람과 사업의 역동성을 지원하는 것이다.”
Regarding the estimated effects of China's recent announcement to ease its "dynamic zero-COVID" policy on the Korean economy, Hwang said that China's recent decision will have a limited impact.
중국의 최근 완화정책발표에 대한 전망에 대해 황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최근 결정은 영향력이 한정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There are some upside risks to the outlook. We see the worst effects of China's zero-COVID policy and its real estate downturn as being in the past now, and the zero-COVID policy will be lifted gradually around the second quarter of next year. A faster relaxation of China's zero-COVID policy and/or a quicker end to Russia's illegal war of aggression against Ukraine may improve the economic outlook. But these moves are unlikely to give an immediate boost to Korean growth," the OECD economist said.
“전망에는 몇 가지 반전적인 위험이 있다. 중국의 제로코비드 정책과 부동산 침체의 최악의 영향을 지금은 과거로 보고 있으며, 내년 2분기를 전후해 점진적으로 제로코비드 정책이 점진적으로 해제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제로 COVID 정책의 신속한 완화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불법 침략 전쟁의 신속한 종식은 경제 전망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들이 한국의 경제성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라고 OECD 이코노미스트는 말했다.
"It will take some time for such upside surprises to feed through to inflation and interest rates and thereby increase private consumption and investment."
“이러한 상승적인 놀라움이 인플레이션과 금리에 영향을 미쳐 민간소비와 투자증가를 볼 수 있을 때 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China decided recently to shorten its quarantine requirements and simplify travel rules.
“중국은 최근 봉쇄요건을 완화했고 여행규칙을 단순화했다.”
#대학교육과필요기술불일치 #고급여성인력지원 #임금격차해소 #목표인플레이션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