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은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함세웅 평전 : 정의이 길, 세 개의 십자가>(저 김삼웅)
항일운동, 민주화운동, 평화통일운동 세 개의 십자가
함세웅 신부님을 모시고 북토크를 합니다.
일시 : 2024년 1월 27일(토) 오후 2시
장소 : 홍대 가톨릭 청년문화공간 5층 니콜라오홀
북토크 신청 링크 : https://url.kr/arsj57
교보 : https://url.kr/y29ld5
알라딘 : https://url.kr/7u8hig
예스24 : https://url.kr/diatcw
쿠팡 : https://url.kr/snwle6
SNS서평 이벤트 : https://url.kr/fahcom
민주주의의 길, 항일운동의 길, 평화통일의 길
정의의 길, 세 개의 십자가
함세웅 평전
한평생 걸어온 민주주의의 한 길.
민중과 함께하는 영원한 현역, 함세웅.
"누가 정의로 가는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그의 삶을 보게 하라!"
역사는 기록으로 남지만 이름으로도 남는다. 윤동주라는 이름에는 젊은 시인이 살았던 일제강점기의 쓰라린 역사가 담겨 있고, 전태일이라는 이름에는 청년 노동자가 스스로를 불살랐던 1970년대의 혹독한 노동현실이 응축되어 있다. 개인적 삶의 서사를 뛰어넘어 한 시대의 상징으로 남은 이름들! 치열했던 1970~80년대 또한 후인들에게는 누군가의 이름으로 기억된다. 그중 하나가 바로 정의구현사제단의 함세웅 신부다.
이 책은 사제이자 사회운동가로 평생을 살아온 함세웅 신부의 삶의 기록이다. 삼엄한 독재의 70년대, 찬란한 항쟁의 80년대, 좌절과 반성의 90년대 그리고 새로운 모색의 2000년대까지, 그의 이름에 응축되어 있는 이 땅의 현대사가 수많은 자료와 인터뷰를 통해 생생하게 재현된다. 굴곡진 시대였던 만큼 사연 또한 많았을 터, 그것을 담아낸 책의 밀도 역시 그만큼 높을 수밖에 없다.
글쓴이는 김구, 홍범도, 안중근, 김대중, 김근태 등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에 헌신한 많은 인물들의 삶을 책으로 엮어낸 바 있다. 하지만 동시대 인물의 평전을 쓰는 것은 아무리 베테랑이라도 쉽지 않은 일이다. 많은 부담을 무릅쓰고 굳이 ‘지금’ 이 책을 펴낸 이유를 그는 이렇게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낸 것은 바야흐로 ‘공정과 상식’이라는 관제 구호가 나부끼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중략) 또다시 정의의 탈을 쓴 불의가 횡행하는 지금, 함세웅 신부의 강고한 삶의 궤적을 살펴봄으로써 진정한 정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세인들을 미혹하는 ‘관제 정의’가 뿌리 내리지 못하도록 경계하고자 한다.” (‘들어가는 글’ 중에서)
교보 : https://url.kr/y29ld5
알라딘 : https://url.kr/7u8hig
예스24 : https://url.kr/diatcw
쿠팡 : https://url.kr/snwle6
#함세웅 #김삼웅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50주년 #민주주의 #민주화 #가톨릭 #카톨릭 #서울의봄 #1987년 #6월항쟁 #명동성당 #항일운동 #평화통일 #도서관 #베스트셀러 #추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