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약본초 海药本草
출처:바이두백과 소스:이페어케이
본 단어는 국가에서 한의사가 관리한다.한의약사 용어 성과 변환과 보급규범 항목에서 내용을 제공합니다.
《해약본초》, 본초 저작.6권. 10세기 초에 5대 전촉인 이순(德潤)이 썼다.책에서 50여 종의 문헌에서 관련 해약을 인용하여 서술하다(해외 및 남방약) 자료에는 약물 형태, 진위 우열, 성미 주치의, 처방복법, 제약 방법, 금기 위축 등을 기술하고 있다.40여곳에 이르는 산지 명칭은 영남과 해외의 지명이 많았다.현재 산실된 문서에는 약 124종이 들어 있으며, 이 중 16개 과가 새로 추가됐다.이 책은 우리나라 최초의 해약 전문 저서로서 이채를 띠고 있다.《증류본초》는 그 산실된 글을 가장 많이 보존한다.원서는 일실되었고, 현재 상지균집본(1983년)이 있으며, 주석을 달고 상세하다.
책 이름(이명) '해약본초《작자이순》은 성서연대당(成書年代唐)에서 분류 중의전적에 귀속되었다.
카테고리
1 책배경
2유전판
3. 교주, 정리
4 작성자 소개
5 내용 소개
6 영향평가
책의 배경.
당대 강역이 확대되어, 경제가 번영했다.당시, 대외 무역이 발달해, 일본, 조선과 남양, 인도, 아라비아 등지에서 무역을 하고 있다. 이, 외래 약물이때 크게 증가하여 종합적으로 기술할 필요가 있다.페르시아의 본적인 이씨의 집은 향약을 업으로 해서 《해약본초(海藥本草)》라는 저술이씨의 집은 향약(香藥)을 업으로 한다.
판본이 전해지다.
원서는 이미 일실되었고, 《증류본초》산실된 작품을 많이 보관하고 있다.
교주, 정리
현인상지균유집교본(1)983)。
저자 소개
이순, 자는 덕윤, 태생은 사천이다.천재주(현재의 쓰촨성 싼타이)는, 대략 서기 9세기 말에서 서기 10세기 초에 생활했는데, 구체적인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다.당말 5대 때의 문학가이자 본초학자.본관은 페르시아이며 향약(香藥)을 경영하는 집으로 해약본초(海藥本草)가 있다.이재 문학에는 수양이 꽤 잘 되어 있고, 작사에 능하고, 시명이 있어, 5대 때 화간파에서 지위가 있는 문학가인데, 《십국춘추》에 이순이 《경요집》 몇 권(망일)을 지었다고 한다.만년에 은둔 생활을 하여 섭생과 단련을 잘하다.강소성, 저장성, 광동 등지에 가본 적이 있다.
내용 소개.
《해약 본초》는 전서가 모두 6권이다.현존하는 산실약 124종 중 대다수가 해외에서 들여오거나 해외에서 중국 남방으로 이식받은 것이다.또한 향약의 기재가 많아 외국에서 들여온 약물에 대한 지식과 중국 본초를 보충하는 데 기여하였다.이 책은 약물의 냄새와 주치의에 대해서도 많은 새로운 발견을 하였으며, 동시에 과거 이 초서의 오류를 수정하였다.풀잎이 통하면 진장기가 "삶는 사람이 복용하면 독을 풀 수 있다"고 했고, 이순은 "연소복복복하면 독을 받아 죽은 사람도 살 수 있다"고 했다.진 장기는 미향( 迷香)에 빠지면 "성온무독(性溫無毒)"이라고 했고, 이순은 "성평불온(性平不溫)"이라고 정정했다.또한, 이 책은 약물의 상악상사 등의 작용에 대해 새롭게 밝혀냈는데, 예를 들면, 골지악감초, 연호색과 삼릉, 대황위사가 매우 훌륭하다는 것이다.수정 보완 종합본초도 가치가 있다.
영향평가
본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해약 전문이다.저, 이채롭다. 당말 5대 때 남방 및 해외 약물을 총결집하였고, 당본초와는 다른 새로운 약들이 많이 있다. 그렇지.본초학을 연구하는 데 매우 가치가 있다.
[1-5]
海药本草
本词条由国家中医药管理局中医药名词术语成果转化与规范推广项目 提供内容 。
《海药本草》,本草著作,6卷。五代前蜀李珣(德润)约撰于10世纪初。书中从50余种文献中引述有关海药(海外及南方药)资料,记述药物形态、真伪优劣、性味主治、附方服法、制药方法、禁忌畏恶等。涉及40余处产地名称,以岭南及海外地名居多。今存佚文中含药124种,其中16种系新增。此书为我国第一部海药专著,别具一格。《证类本草》保存其佚文最多。原书已佚,今有尚志钧辑本(1983年),引注详明。
书名(异名)《海药本草》 作 者李珣 成书年代唐 归属类别中医典籍
目录
1 成书背景
2 流传版本
3 校注、整理
4 作者简介
5 内容简介
6 影响评价
成书背景
唐代疆域扩大,经济繁荣,对外贸易发达,当时跟日本、朝鲜、南洋、印度、阿拉伯等地进行贸易,外来药物在这时便大为增加,而有综合记述之必要。李氏祖籍波斯,其家以营香药为业,故有《海药本草》之撰。
流传版本
原书已散佚,《证类本草》保存其佚文较多。
校注、整理
今人尚志钧有辑校本(1983)。
作者简介
李珣,字德润,出生于四川梓州(今四川三台),大约生活于公元9世纪末到公元10世纪初,具体生卒年月不详,是唐末五代时的文学家和本草学家。李氏祖籍波斯,其家以经营香药为业,故有《海药本草》之编。李在文学上颇有修养,善于作辞,有诗名,是五代时花间派中有地位的文学家,《十国春秋》称李珣著有《琼瑶集》若干卷(亡佚)。晚年过隐居生活,好摄养、炼丹。曾到过江苏、浙江、广东等地。
内容简介
《海药本草》全书共六卷,现存佚文中载药124种,其中大多数药物是从海外传入或从海外移植到中国南方,而且香药记载较多,对介绍国外输入的药物知识和补遗中国本草方面作出了贡献。本书对药物的气味和主治也都有许多新的发现,同时修正了过去本草书中的一些错误。如草犀一药,陈藏器说:“煮者服之,能解诸毒”,而李珣则说:“研烧服之,受毒临死者亦得活。”再如迷迷香,陈藏器说它“性温无毒”,李珣则纠正说“性平不温。”另外,该书对药物的相恶相使等作用也有新的阐发,如补骨脂恶甘草,延胡索与三棱、大黄为使甚良等,因此本书对修改补充综合性本草也是很有价值的。
影响评价
本书为我国第一部海药专著,别具一格。总结了唐末五代时南方及海外药物,并有许多不见于唐本草的新增药,对于研究本草学,甚有价值。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