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아들의 엄마입니다. 아들이 정상적으로 사고하지 못하는 거 같아 걱정이 너무 큽니다. 아이의 변화가 갑작스러웠던 것은 아닙니다. 어느날부터인가 친구들도 안만나고, 옷도 매일 같은 옷만 입는 듯 싶더니, 잘 씻지도 않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말을 하려 해도 들은척도 안합니다. 아이가 가족들과는 대화를 거의 하지 않습니다. 혼잣말을 하는 모습을 자주 보기도 합니다. 가족들과 이야기를 해도, 친구가 정부에서 자기를 감시하기 위해 보낸 사람인거 같다고 이야기 하거나, 다니는 학원이 범죄조직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루는 학교에서 친구가 자신의 돈을 가져가고, 자신의 물건을 훔치려고 의심했다고 합니다. 아이의 사고가 정상적인 범위에서 너무 벗어난거 같아 어떻게 해야할지 너무나 당혹스럽습니다.
>>편집성 인격장애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PPD)
청소년 편집성 인격장애는 사람을 믿을 수 없다는 기분, 비이성적인 공포, 그리고 사람들이 자신을 해치려한다(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기분이 심해지면 믿을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해치려고 하거나, 숨은 의도가 있어서 행동하고 있거나, 무언가를 꾸미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로 인해 모든 인관관계를 끊으려고 하기도 하며, 지나치게 독립적으로 행동합니다. 전반적인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입니다 (Paradigm Treatment, n.d.).
편집성 인격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자신을 해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 특히 자신에게 가까운 사람들을 경계하기도 합니다. 이는 선생님, 가족, 친구를 포함합니다. 아이는 특정한 사람을 의심하기도 하며, 의심으로 인해 불필요한 공격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Paradigm Treatment, n.d.).
청소년기는 높은 타인의식, 또래관계, 거절에 대한 불안함 등의 성격을 띄는 불안정한 시기입니다. 영국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편집증의 스펙트럼안에 있다고 보고하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사회적으로 불안함을 가지고 있으며, 육체적 위협에 대한 공포, 그리고 음모에 대한 걱정이 있다고 합니다. 이 연구에서 약 20-30%의 아이들이 매주 다양한 편집증적인 생각을 한다고 답하였습니다. 여기서 육체적 위협이나 모르는 사람에게 느끼는 공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하였으며, 친구들이 자신을 거절하거나, 교묘하게 따돌릴 것이라는 불안감이 그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습니다. (Bird, J. et al., 2019).
>>원인
편집성 인격장애의 다양한 요소들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 원인을 하나로 규명하기가 어렵습니다 (Paradigm Treatment, n.d.).
그중 가장 큰 원인으로 보는 것 중 하나는 가족의 정신질환 병력입니다. 가족 중 조현병을 경험한 사람이 있는 청소년들이 편집증 증상이나 편집성 인격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됩니다 (Paradigm Treatment, n.d.).
어린 시절 트라우마 또한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트라우마는 아이를 위축되게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서 자신을 분리시키고, 자신을 고립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람에게 배신당하는 등의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대처방식으로 타인에 대한 불신을 키우게 되는 것입니다. 트라우마 경험이 있는 아이의 경우 발달 중 사람에 대한 믿음이 부서지면서 편집성 인격장애를 발전시키기도 합니다 (Paradigm Treatment, n.d.).
편집증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부정적 감정조절 (Negative Affectivity), 부정적 신체상, 또래관계 어려움, 왕따 및 따돌림, 그리고 소셜미디어, 수면 등을 포함합니다. 부정적 감정조절은 낮은 자기상과 부정적 감정경험을 포함합니다. 소셜미디어에서는 위협회피 행동, 소셜미디어 감수성, 소셜미디어 부정적 비교 등을 포함하였습니다. 이 중 가장 직접적이고 상호적인 연관성을 보인 것은 부정적 감정조절이었습니다 (Bird, J. et al., 2019).
>>치료
편집성 인격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의 경우 불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치료를 받도록 하는 거 자체가 시작입니다. 편집성 인격장애의 경우 자신의 생각이 비이성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자신에게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아이들이 치료를 받겠다고 결심하거나, 이에 마음을 조금이라도 열게 하는 것이 치료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aradigm Treatment, n.d.).
이후 청소년과 상담사간의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의 관계가 어느정도 안정적으로 생성되면 부정적인 생각과 비이성적인 생각을 이성적인 것으로 바꾸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Paradigm Treatment, n.d.).
편집성 인격장애의 경우 약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약물을 통해 아이가 가지고 있는 불안함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신하고 있는 아이에게 약물을 권하는 것 자체가 위험한 일일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합니다 (Paradigm Treatment, n.d.).
>>편집증 청소년, 부모님을 위한 팁
##1 아이와 솔직하게 대화하셔야 합니다. 편집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주변의 말과 행동을 더욱 유심히 관찰하며, 그로 인해 더욱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솔직한 마음으로 아이를 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지지를 표현하고, 아이가 좋아지길 바라는 마음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종 아이가 원치 않음에도 상담을 받게하려고 외식을 하러가자고 해놓고 병원에 슬쩍 들리는 방법을 사용하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아이가 신뢰를 잃게 하며, 더욱 움츠러 들게 할 수 있습니다. 편집성 인격장애 아동과는 신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Paradigm Treatment, n.d.).
##2 아이에게 감정을 잘못 표현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편집성 인격장애의 경우 아이가 비이성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그것을 지켜보는 부모님은 답답함을 느끼고 불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으로 인해 아이에게 덜컥 화를 내거나, 자신의 답답함을 쏟아 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을 아이에게 잘못된 방법으로 쏟아내는 것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역시 상호간에 신뢰를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Paradigm Treatment, n.d.).
##3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한대로 많은 청소년들은 편집증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모두가 편집성 인격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정에서 적절한 대처 및 지도를 통해, 또는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아이가 좋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편집성 인격장애를 가지거나, 망상의 정도가 심하면 가정에서 지도하는 것이 어려우며, 아이의 병을 악화시키는 선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상태에 따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 (Paradigm Treatment, n.d.).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 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Paradigm Treatment. (n.d.). Teen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Paradigm Treatment Center. Retrieved from https://paradigmtreatment.com/personality-disorder-teen-young-adult/paranoid/#:~:text=Teen%20paranoid%20personality%20disorder%20consists,t%20feel%20anyone%20is%20trustworthy.
Bird, J., Evans, R., Waite, F., Loe, B., & Freeman, D. (2019). Adolescent paranoia: Prevalence, structure, and causal mechanisms. Schizophrnia Bulletin, 45(5), 1134-1142.
사진출처: Pixabay (재사용가능)
작성자: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목동영
온라인 상담 하러 가기